'''NGC 1'''
|
[image]
|
'''관측 정보'''
|
'''위치'''
| 적경
| <color=black> 00h 07m 15.84s
|
적위
| <color=black> +27° 42’ 29.1”
|
별자리
| 페가수스자리
|
'''겉보기 등급'''
| <color=black> +13.65(±0.05)
|
'''물리적 성질'''
|
'''형태'''
| <color=black> SABbc형 정상나선은하
|
'''거리'''
| <color=black> 211,000,000(±14,000,000) 광년 64,700,000(±4,500,000) 파섹
|
'''운동'''
| 시선속도
| <color=black> 4550(±1) km/s (적색편이량 : z = 0.015177±0.000002)
|
'''규모'''
|
'''지름'''
| <color=black> 14만 광년
|
'''겉보기 크기'''
| <color=black> 1.6′ × 1.2'
|
'''명칭'''
|
<color=black> NGC 1, UGC 57, PGC 564, Holm 2A, Z 0004.6+2726 IRAS 00047+2725, SDSS J000715.86+274229.0, MCG+04-01-025
|
1. 개요
NGC 1은
페가수스자리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2억 1,100만 광년 떨어진
은하이다.
허블 분류상 정상 나선 은하인 SABbc형에 속한다. 1861년 9월 30일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가 발견했다.
2. 역사
1860년 하인리히 루트비히 다레스트는 코펜하겐 천문대에서 11인치 망원경을 시험하던 중 NGC 1을 발견했다. 이 은하의 발견은 다레스트가 발견한 최초의 심원천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그는 NGC 1의 발견을 '희미하고, 작으며, 둥글고, (북쪽과 남쪽에 있는) 11 ~ 14 등급 밝기 항성들 사이에 있음'이라고 기술했다. 1866년과 1868년 헤르만 슐트스도 웁살라에서 9.6인치 반사 망원경을 이용하여 NGC 1을 관측했다.
3. 특징
우리 은하와 비슷한 규모이나, 광도는 2~3배 가량 더 밝다. NGC 1의 남동쪽 가까이에 14.2등급의
NGC 2가 있으며, 다음으로 가까운 NGC 천체로는 15등급의
이중성 NGC 7839가 있다. NGC 천체들 중 발견 당시 적경 순서가 가장 앞쪽이어서 NGC 천체 목록 1번으로 지정되었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