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antom Forces/액세서리/조준경
1. 개요
대부분 취향을 탄다. 다 써보고 자신과 잘 맞는걸 쓰면 된다. 그러나 몇몇 스코프는 오히려 안 좋을수도 있으니 조심해서 구매하자.
- 스나이퍼는 스나이퍼의 기본 조준경을 다른 스나이퍼에도 달 수 있다! 예를 들어, Hecate II의 기본 망원 조준경을 다른 스나이퍼에도 달 수 있는 것.
- 모든 총기에는 여러 총기의 아이언 사이트를 달 수 있다. 예를 들어 AUG A1에 H&K MP7의 아이언사이트를 달 수 있으며, 가늠쇠가 없는 M231에도 여러 총기의 아이언사이트를 달 수 있다. AUG A1에 AUG A1 기본 조준경을 달면 이중 조준경으로도 운용 가능하다. 또한 스나이퍼에도 KRISS VECTOR의 아이언사이트도 달 수 있다. 자신만의 조합을 만들어보자.
- 원래 상부 레일이 달려있는 총에는 총의 위에 깔끔하게 붙지만, 일부 액세서리를 붙일 상부 레일이 없거나 레일이 짧은 총들의 경우[1] 총의 외관에 변화가 온다. 대부분 철로 만든 죔쇠가 총에 붙지만, FAMAS와 AA같이 장전손잡이가 위에 있는 총과 AR 계열들은 각각 기계식 조준기가 사라지고 그 위치에 레일이 부착된다. AA의 경우 위로 튀어나온 삼각형의 장전손잡이가 그 위에 달린 레일에 맞추어 동그란 막대기 형태의 레버로 바뀌어 장전모션에 변화가 온다. 예외적으로 G36 계열은 높이가 맞지 않는 조준기가 붙을 경우 기본 스코프가 따라와 두 조준기를 번갈아 쓰며 배율을 변경할 수 있고, AUG A1은 스코프 위에 레일이 장착된다.
- 도트사이트들의 도트는 시야를 움직이거나 반동에 영향을 받아 도트가 움직인다. 정확히는 총구의 방향에 따라 바뀌고 즉 이 게임에서 도트 사이트의 도트는 총구가 향하는 방향을 알려준다는 것.
- 조준경마다의 배율은 Advanced 칸의 Sight magnification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만약 3.0이라면 3배율인것이다.
- 한 종류의 도트사이트로 1000킬을 하면 그 사이트의 레티클 색을 바꿀 수 있다.
1.1. 광학 조준경
[image]
- PM II: 0킬시 해금. AW계열과 모든 SCAR계열의 총[2] 에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다. 설명에 따르면 10배율 이라고 한다. 모신나강을 제외한 다른 저격총들의 기본 조준경도 이것을 기본으로 한듯하다[3] . 여담으로 렌즈의 색은 살짝 붉은색이지만 조준하면 투명해진다.
- Z-point: 10킬시 해금.조준력 상승 및 반동을 줄여주지만 배율이 없다시피하고 시야가 좁아 초반말곤 다 갈아탄다. 모델은 자이스사의 Z-point. 다만 특유의 좁은 시야와 조그마한 닷 덕분에 지정사수소총에는 최적화가 되어있는 옵틱이다. 모든 기본 아이언 사이트의 상위호환. 물론 ACOG를 개방한다면 버려지겠지만. 여담으로 총의 측면에는 자이스 로고가 아니라 Stylis가 비슷한 모습으로 각인되어있다.
- EOTech XPS2: 55킬시 해금. 모델은 Eotech사의 XPS2. 업데이트로 모델링이 바뀌었다. 레티클이 552보다 복잡해 시야에 방해가 될때가 있다.
[image]
- Delta Sight: 60킬시 해금. 삼각형 도트가 있는 조준기. 패치로 일반 주무장에도 달리게 되었다.
- EOTech 552: 85킬시 해금. 일부 총기는 능력치를 깎아먹으니 주의. 모델은 eotech사의 552. 배터리 삽입구가 앞쪽에 있다. 레티클 때문에 체감반동이 적어져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레티클이 복잡해서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 Mini Sight: 120킬시 해금. 권총용 도트 사이트. 주무기에도 달리며, 점이 커서 반동이 쎈 총에 추천.(HK416이나 TAR21 같은총. G18이나 TEC-9도 나름 적합하다.)
[image]
- C79: 125킬시 해금.[6] C7A2 위에 달 수 있는 그 조준경이다. T를 눌러 위쪽 예비조준기를 사용할수 있게 되었다. 모델은 캐나다군의 제식 저배율 조준경인 C79A2.[7][8] 이번 업데이트로 시야가 좁아졌다. 배율은 3.5배율.
- Comp Aimpoint:130킬시 해금. 이다. 모델은 실존하는 Aimpoint Comp. 스코프 업데이트로 태두리가 두꺼워져 위상이 떨어졌다. 대신에 1.9배율이 되었다.
[image]
- PK-A: 165킬시 해금. 빨간색 닷이 달려있다.T를 눌러 줌 인을 할 수 있다. 유리가 푸르스름 하다. 줌 인을 토글할 수 있는 첫 번째 조준경이고, 토글하면 배율이 3.5~4배율정도로 꽤 많이 늘어나는데다가 안정성을 깎지도 않아서 맨 처음 총기를 얻었을때 중장거리 커버용으로 사놓는 유저도 있다. 모델은 러시아제 PK-A.
- M145: 185킬시 해금. 모델은 C79의 파생형인 M145. [9]
- PKA-S: 225킬시 해금. PK-A와는 다르게 검은색 큰 원 안에 빨간색 닷이 찍혀있다.[10] 모델은 PK-A의 파생형인 PK-AS. 스코프 업데이트로 배율이 꽤 높아졌다.
- Reflex Sight: 285킬시 해금.위의 z-point와 레티클은 비슷하지만 시야가 더 좁다. 쓰는 사람이 정말 많다. 모델은 다른 조준경 위에도 붙일수 있는 Reflex sight.
- Kobra Sight: 330킬시 해금. 십자 형태에서 위의 선이 빠진 모양. 모델은 러시아제로 잘 알려진 Kobra sight.
- Coyote Sight: 380킬시 해금. 육각형 모양이라 시야가 매우 많이 트이고 하얀색 닷을 가지고 있다. 유리가 푸르스름 하게 변함. 여담으로 스코프 업데이트 직후에는 십자가 모양에 안에 점이 찍힌 모양으로 바뀌었지만 반발이 많았는지 원래대로 돌아왔다. 시야각을 잡기에 아주 좋기에 총기를 갓 언락했을때 크레딧이 많은 유저는 이 조준경을 먼저 사놓는 경우가 많다. 모델은 Coyote sight.
- Acog Scope: 430킬이란 위엄넘치는 요구킬수가 인상적. 숨을 안 참아도 되는 모든 스코프중 가장 배율이 높아[11] 이걸 DMR에 달아서 저격수와 같이 저격할 수도 있다. 물론 돌격소총으로 해도 된다. 근접에서도 취향을 타겟지만 나쁘지 않다. 모델은 ACOG로 유명한 Trijicon 사의 ACOG 이번 업데이트로 다시 시야가 넓어졌다.
- VCOG 6x Scope: 455킬시 해금.
VCOG 8x Scope에서 6배율로 바꾸고 총기안정성을 덜 낮춘 스코프다.
[image][image]
- VCOG 8x Scope[12] : 3455킬시 해금.주로 DMR에 장착해서 사용한다. 숨을 참아야 한다는것과 총기 안정성이 상당량 깎인다는게[13] 큰 단점. T로 줌 인을 토글[14] 하는게 가능하다. AR또는 배틀라이플에 이것과 Canted delta sight를 달면 근거리든 원거리든 상관없이 쓸수 있다. 모델은 Trijicon사의 VCOG.
- PILAD 3: 500킬이라는 높은 킬수에 해금이 되는 도트사이트이다. 리플렉스보다 시야가 깔금해서 리플렉스 상위호환 취급을 받는다.
[image]
- TA33 ACOG: 650으로 높은 킬수가 인상적. T로 줌 인을 토글할수 있다. 근데 배율은 ACOG보다 낮아보이며[15] , 스코프 시야가 좁아그냥 줌인 토글이 되는 것에 위안을 두자.
- BARSKA ELECTRO: 해금 조건이 750킬로 높다. 이 도트는 코요테 사이트에 홀로그램 레티클이 달려있는 조준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OKP-7: 900킬에 해금이라는 매우높은 해금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일단 조준경 시야는 탁 트여 있어서 좋지만 조준경 레티클에서 호불호가 갈린다.
- DDHB REFLEX: 무려 1200킬이라는 높은 해금 조건을 자랑한다. 조준경은 두꺼워진 코요테 사이트에 십자선 레티클이 달린것이다.
[image]
- TA11 ACOG: 1750킬이라는 매우 높은 해금 조건을 가지고 있다. T키를 눌러 줌 인을 토글 할 수 있다.
[image]
- TA01 ACOG: 무려 2500킬(!!!) 이라는 정신나간 해금 조건을 자랑한다. T키를 눌러 보조 기계식 조준기를 사용할수 있다.
[image]
- PSO-1 Scope: 250킬시 해금되는 소련제 스코프. 배터리 내장식이라 숫자와 화살표 등이 초록색으로 발광하기에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써먹기 좋다. SKS는 240킬에 해금된다.
[image]
- PSO-1M2 Scope: Dragonuv SVDS 전용 스코프였으나 현재는 모든 총기에 사용이 가능하다. PSO-1 Scope에서 배터리를 이용한 발광기능이 삭제되었기에 전체적으로 모든 선이 붉은색으로 바뀐데다 레티클이 얇아졌다. 7.5배율이다.[16] 저격용 망원조준경 치고 숨 참는 시간이 매우 짧다는 점이 문제.
- PU-1 Scope: 2000킬시 해금. Mosin Nagant과 OBREZ는 기본적으로 해금되는 스코프. 기계식처럼 보이는 레티클이 특징이며 6.2배율이다.
- LEUPOLD M8-6X: STYER SCOUT에 달리는 전용조준기. 이름 뒤에 붙은 것에서 알수 있다시피 6배율이며, 레티클이 깔끔하다. 다만 레티클이 전부 검정색인지라 야간에 조준하긴 매우 불편한 편.
- LEUPOLD M8-2x: 데저트 이글 전용 조준경으로 1500킬시에 해금이며 시야가 많이 좁다...[17]
- MALCOLM 3X Scope : 215킬 시 해금되는 조준경. 상당히 길쭉한 모양을 하고있다. 배율은 나와있는대로 3배율이며 매우 깔끔한 레티클을 자랑한다.
HENRY 45-70, JURY, KAC SRR, 1858 CARBINE 에는 기본적으로 지급된다. 이 총들에게는 더 길쭉한 MALCOLM 6X Scope를 485킬에 해금가능하다.
- 0:00부터는 Animu sight, 2:44부터는 Furro sight
- Animu Sight & Furro Sight : 각각 4,500 킬, 5,000 킬에 해금
어마어마한 킬을 요구하는 스코프이다. 해금 조건에 비해 Animu 조준경은 옆의 큰 고양이 캐릭터[18] 가 시야를 가려 불편하다. 배율도 없다. Furro sight[19] 는 그나마 나은데, 일반적인 아이언 사이트처럼 운용하는게 추천된다. 참고로 furro sight의 설명은 특이한 말투로 적혀있는데 w를 남발한다든지, 뒤에 OwO가 붙어있는걸 보면 딱 이거다.
공통적으로 레티클[20] 이 코딱지만한데다가 그냥 사이트 자체도 워낙 작아 매우 비실용적이다. 이걸 돈을 주고 살 가치는 거의 없으니 애정 쓸게 아니라면 그냥 성능 좋은 다른 조준경 사자(...)
여담으로 Furro sight는 Dual aperture sight를, animu sight는 double open sight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물론 마개조 수준이라 원본과 달리 기계식 조준기가 아닌 광학조준기로 분류된다.공통적으로 레티클[20] 이 코딱지만한데다가 그냥 사이트 자체도 워낙 작아 매우 비실용적이다. 이걸 돈을 주고 살 가치는 거의 없으니 애정 쓸게 아니라면 그냥 성능 좋은 다른 조준경 사자(...)
- 👌👍[21] :
# 만우절 업데이트로 추가된 조준경으로, 위의 furro sight보다 더 극악인 5,250킬의 해금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름 그대로 노란색 플라스틱 손 2개가 가늠자와 가늠쇠 역할을 한다. 만약 괴상한 사이트를 원하는데 위의 두개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이걸 사자.
- Anti sight
위의 Animu sight의 소형화 버전. Animu sight와는 달리 캐릭터가 furro sight처럼 가늠좌 밑에 붙어 있어 일반적인 아이언 사이트처럼 운용할 수 있다. 해금 시점은 5,500킬.
- Plague insight
# 2020 할로윈 업데이트에 추가된 '광학' 조준경. 눈이 4개 달린 풍뎅이가 겉날개를 펴고 그 사이에 빨간 눈 모양 마법진이 떠 있다. 설정상 다른 차원에서 넘어온 곤충으로, 일반적인 홀로그래픽 사이트처럼 보이지만 조준을 하면 스코프와 같이 시야가 가려지고 마법진 모양 레티클이 뜬다.[22] 특이한 점은 망원조준경 판정이 나지 않아 레티클이 위아래로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마법으로 조준을 하는 설정이라 시야가 붉어지고, 조용한 곳에 있거나, 메뉴에서 확대를 해보면 날개가 움직이는 소리가 난다![23] 평범한 건 싫은데 위 animu, furro sight처럼 유치하거나 , 아니면 hand sight처럼 쓰기 힘든 사이트가 영 내키지 않는다면 제일 실용적인 이 사이트를 사자.
- Sagittarius 40x scope
인터벤션의 레티클을 공유하는 40배 스코프. 배율이 매우 높아 눈 앞에서 쏘는 느낌이 들 정도이다.[24] 배율은 10배, 40배 중 골라 쓸 수 있으며 사실상 엄청나게 줌이 되기 때문에 몇천 스터드 단위의 저격을 할 게 아니라면 비실용적인 스코프. 어차피 업데이트로 모든 총에 각 저격총의 기본 스코프를 달 수 있고, 이렇게 멀리서 저격할 일은 없기에[25] 위의 세 스코프처럼 예능 찍을 때 쓴다. 해금 시점은 모든 스코프들 중 제일 높은 6,000킬.
- AMT-Terminator
말이 조준경이지, 사실 조준경 위치에 달리는 레이저다. 크기가 상당히 크고 레이저 광선이 두꺼우니 견착사격할 때 유용한데, 문제는 이걸 끼면 당연히 정조준 기능이 막힌다 주로 견착사격에 유리한 총인 LMG류나 M231, AA-12에 부착하는 것이 추천된다.
- Maglite
근접무기 항목의 maglite club을 레일에 부착한 것으로 AMT-terminator의 손전등 버전이라 보면 된다. 사실 어두운 곳에서 전투할게 아니면 쓸모가 없으니 견착사격이 된다는 점에 위안을 갖자.
- Homemade sight
종이와 마분지로 만들어진(...) 조준경이다.
1.2. 아이언 사이트
[image]
- H&K Sight: MP7 아이언 사이트. 사이트 자체가 꽤 작아서 크로스헤어와 간섭을 안 하므로 저격소총 패줌용으로 쓰기 알맞다.
- Backup Sight: P90 아이언 사이트.
- Steyr Sight: 슈타이어 AUG 계열 아이언 사이트. 다만 AUG A2와 HBAR에 기본으로 달린 사이트와는 달리 가늠쇠에 빨간색 야광도료가 없다.
[image]
- Super Slim Sight: AUG A3 아이언 사이트.
- Diopter Sight: MP5 / G3 계열 아이언 사이트. AG-3의 경우 가늠좌에 하얀색 선이 그어져 있다.
- BUIS Sight: Beowulf ECR 아이언 사이트.
- Kal-Tec Sight: KSG-12 아이언 사이트.
[image]
- Kac Sight: MK11 아이언 사이트.
- 1200M Sight: HK21과 MSG90 아이언 사이트. 시야가 좁아 근접 전투 등에는 쓰기 불편하나 배율이 높은 편이라 원거리 저격 등에 조금 도움된다.
- Anti-aircraft irons: M60, Mg3kws 전용 구식 대공용 조준기로, 동그란 가늠좌가 있어 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배율이 낮으니 넓은 면적을 공격할 때 좋다. M60은 굵은 조준선 4개, MG3KWS는 얇은 조준선 8개 구성으로 모습이 서로 다르니 참고.
- Carry Handle sight: AR-15 계열과 famas에 기본적으로 해금되어 있다. ar-15 계열은 중거리 저격에 좋은 개방형 가늠쇠와 동그란 가늠좌 구성이다. famas의 경우 시야가 매우 좁아 쓰기 어려우니 다른 조준기/조준경을 달자.
- Diamondhead sights
AWP, AWM, 벡터의 기본 아이언사이트이며 이름답게 야광도료가 칠해진 마름모의 가늠쇠가 인상적이다. 다만 약간 복잡하게 생겨 패줌보다는 원거리 저격, 벡터의 경우 지향사격에 맞는 조준기.
1.3. 권총 전용
- Full Ring Sight: 50킬시 해금. 고리형 조준기다.
- Half Ring Sight: 90킬시 해금. 반고리형 조준기로 Full Ring Sight에서 가늠좌의 반을 자른것이다.
[1] 대부분의 권총, AK 계열 소총 등[2] 사실 SCAR 계열 중 SCAR SSR을 제외한 총들에게는 크게 효율적이지는 않다. [3] 그러나 저격총마다 기본 조준경의 레티클이 전부 다르고, HECATE II 같이 기본 스코프가 다른 경우도 있어 같다고는 할수 없다.[4] 이거 가지고 3종 레이저를 만들수있다(?)[5] 몇몇 상황에서는 AMT보다 얘가 더 좋을 수 있다. AMT가 힙파이어 안정성을 더 올려주긴하지만, M231같이 원중거리 교전을 포기한 애들이 아니면 정조준이 가능한 MARS가 더 낫기 때문[6] C7A2는 기본 제공[7] Ballistics tracker와의 시너지가 좋은 편이다. 그 이유는 이 조준경의 레티클이 T형에서 가운데만 쏙 빠진 모양인데, 그 빠진 곳이 뭔가 작고 하얀 점을 끼우기에 딱 알맞기 때문이다.[8] 밤하늘을 조준하면 레티클이 보이지 않는다.(?!)[9] 배율도 꽤 높은 편(3.8배)이라 ACOG보다 쓰기 편하다.[10] 홀로그램 사이트들처럼 가운데 빨간 닷이 매우 작다.[11] 4배율 [12] 패치로 인해 6x에서 8x로 바뀌고 VCOG 6x 스코프가 생겼다.[13] 총기 안정성은 숨을 참아야 하는 고배율 조준경의 배율이 클수록 대체로 더 크게 깎인다. 그래도 PM II보다는 훨씬 덜 깎인다.[14] 토글하면 약 2.5~3배율로 줄어든다.[15] 3.2배율[16] 사실 이것도 고증오류인게 PSO-1 스코프와 실제 PSO-1M2 스코프는 4배율 밖에 안된다. 게임에서야 배율이 적당히 높기에 장거리 저격용으로 쓸만하다.[17] 충격적인건 이 조준경은 슈타이어 스카웃의 조준경이고 6배율이 아니라 2배율로 굉장이 줌 배수가 낮다.[18] 스타일리스 스튜디오의 관리자 Sumerikan이 그린 Anti라는 이름이 붙은 캐릭터로, 게임 내 Ghosts 팀의 마스코트이다. 팬텀포스 공식 디스코드의 이모티콘으로도 존재한다.[19] 이 역시 Sumerikan의 작품으로 이름은 Toben. Phantoms 팀의 마스코트이지만 커뮤니티 내에서는 Anti의 위상에 가려 안습하게도 인기가 없다. [20] 이 둘만 하트모양 레티클을 쓴다.[21] 그냥 간단하게 hand sight라고도 부른다.[22] 다른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T를 누르면 배율이 줄어들며, 눈 모양의 일반적인 홀로그래픽 사이트로 바뀐다.[23] 작게 부웅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들리는 사람에 따라 징그러울 수 있으니 주의.[24] 적의 얼굴을 조준하면 스코프에 얼굴만 보인다..[25] 앵간한 원거리 저격은 평균적으로 300스터드 이상의 거리가 안 나온다. 또 1000스터드 이상의 저격도 10배에 탄낙차만 고려해도 잘 맞는다.[26] 소련 당시의 칼라시니코프 회사명. 아무래도 밑에 칼라시니코프 사이트랑 이름이 뒤바뀐 듯 하다.[27] 다만 AK-12에 달리는 것과 달리 가늠쇠가 조금 더 가늠좌와 가까워서 레티클이 크다.[28] 웃기게도 소련 시절에는 칼라시니코프라는 이름이 아닌 이즈마시라는 이름을 썼다(...) AK-12 사이트랑 이름이 뒤바뀐 것.[29] AK-47, AKM, AK-74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