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7 / M7

 



[image]
1. 제원
2. 개요
3. 개발
4. 매체에서의 등장


1. 제원


'''분류'''
중형전차
'''개발'''
International Harvester Corp
'''생산연도'''
1942년
'''총 생산량'''
7대
'''무게'''
11.6톤 - E1, 11.8톤 - E2 (T7)
25.4톤 (M7)
'''길이'''
5.13m - E1, 5.21m - E2 (T7)
5.33m (M7)
''''''
2.74m (T7)
2.84m (M7)
'''높이'''
2.35m (T7)
2.40m (M7)
'''승무원'''
5명(전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부조종수(수리병 역할도 맡음)
'''장갑'''
19 ~ 64mm
'''주포'''
53구경 37mm 전차포 M3A1 (120발) (T7E1)
50구경 57mm 전차포 M1 (90발) (T7E2)
40구경 75mm 전차포 M3 (71발) (M7)
'''부무장'''
7.62mm 경기관총 M1919A4 × 2
7.62mm 경기관총 M1919A5 × 1 (4,500발 × 3)
'''엔진'''
콘티넨탈사 R975 C1 V형 9 기통 공랭 가솔린 - 340 마력 (T7)
콘티넨탈사 R975 C2 V형 9 기통 공랭 가솔린 - 400 마력 (M7)
'''톤당 마력'''
16.3 hp/t
'''현가장치'''
수직 류트 스프링 방식 (VVSS)
'''항속거리'''
도로 161 km
'''최대속도'''
48 km/h (T7)
50 km/h (M7)

2. 개요


[image]
M7 전차는 M3, M5의 경전차를 대체 하고자 개발된 전차였다. M4 셔먼을 경량화 시키고 M3 스튜어트의 기동성을 가지게끔 설계되었다. 프로토타입이 만들어지던 중, 미국 육군 표준을 벗어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셔먼에 비해 훨씬 더 얇은 장갑을 지닌데다가 화력도 부실했다는 점도 한몫한다. 또한 이때는 이미 셔먼이 양산된 시기라서 양산에 돌입하지 못했다. 다만 기동성 면에서는 셔먼보다 약간 우위에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3. 개발


1941년 1월에 새로운 경전차를 목표로 하고 설계안을 내놓았는데, 그 중 채택된 것이 T7이었다. M3 스튜어트가 14톤이었는데, T7은 27톤으로 14톤 증가했다.
  • T7 - 볼트 스프링 서스펜션이 장착되었고 5단 수동 변속기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용접 장갑으로 이루어져 있다.
  • T7E1 - 리벳 장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납작한 모양의 포탑을 탑재했다.
  • T7E2 - Converter에 장착된 QF 6- 파운더 Mark III 주포와 R-975 엔진을 장착했다.
  • T7E3 - 용접으로 주조되었고, 헤라클레스 DRXBS 디젤 엔진을 탑재했으며 자동 변속기가 도입되었다.
  • T7E4 - 캐딜락 엔진을 장착한 버전이다.
  • T7E5 - T7E2 함께 75mm M3로 무장을 했으며, 1942년 8월에 개발되었다.

4. 매체에서의 등장


[image]
월드 오브 탱크에서 미국 5티어 수집 경전차로 등장한다.
월드 오브 탱크의 모바일 버전인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서는 미국 4단계 중형전차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