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e me☆Take you
1. 소개
2016년 11월 16일 발매된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제5회 총선거 앨범인 THE IDOLM@STER CINDERELLA MASTER Take me☆Take you의 메인 수록곡. 참여한 아이돌은 5회 총선거 1위부터 9위 멤버인 시마무라 우즈키, 타카가키 카에데, 미후네 미유, 모리쿠보 노노, 요리타 요시노, 혼다 미오, 아베 나나, 마에카와 미쿠, 사토 신.
곡의 전주 파트는 총선거 상위 5인이 진행한 라디오 '''샤이니 넘버즈'''의 배경음악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2017년 7월 31일에 시작한 라이브 퍼레이드 6차 이벤트곡으로 데레스테에 추가되었는데, 공개된 인게임 커버가 포토샵으로 대충 그려넣은 듯 한 무성의함이 보이는 자켓이라 까였다. 그러나 이벤트 보상 메뉴에서의 선행해금 앨범커버는 원본 앨범과 동일한 커버를 사용한 점을 들어 이벤트 종료 후에는 Yes! Party Time!!이나 ゴキゲンParty Night의 사례처럼 원본 앨범커버를 사용하고 음원도 원곡버전이 같이 수록될 것으로 예상되었고 이벤트 종료 후엔 원곡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 여담으로 이벤트 버전이 욕을 얻어먹던 ゴキゲンParty Night를 이어 이 이벤트 버전도 욕을 먹고 나서 사운드 부스의 맨 뒷자리로 물러나게 된다. 이러한 점은 이후에 나온 너의 곁에서 계속, 사랑이 꽃피는 계절, Always 또한 마찬가지이다.
타케메 타케요우란 밈이 있으며, 이 문서를 찾아올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2.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에서
이벤트 커뮤에서는 마에카와 미쿠와 이 곡으로 데뷔한 미후네 미유, 모리쿠보 노노, 요리타 요시노, 사토 신이 출연한다.
MV (클릭해서 보기)
무대 형태는 BEYOND THE STARLIGHT와 EVERMORE와 비슷하다.
2D모드의 경우는 처음에 없다가 우측에서 하나하나 나와서 무대에 서게 되며, 런웨이의 측면을 비추는 구도라서 배경에도 군중들의 펜라이트가 보인다.(움직이지 않는 배경일 뿐이지만)
데뷔, 레귤러, 프로까지 전부 '''롱 노트를 중심으로''' 패턴이 짜여졌다. 레벨 값에는 셋 다 적당하지만 프로에서는 3연속 플릭 따닥이가 두 번 등장하니 주의.
마스터는 그나마 단타의 비중이 더 많아지긴 했지만 롱노트+플릭 3연타가 의외의 복병으로, 여기서 플릭의 유무나 방향을 착각하여 농락당해 콤보가 끊기기 쉬우니 주의. 하이파이 데이즈와 함께 이벤트 악곡 마스터 최저 레벨이지만, 사람에 따라 With Love 마스터보다 어려울 수 있다.
레거시 Master+ 채보 영상
레거시 마플은 '''이벤트 악곡 마플 사상 최저 레벨'''을 갱신했지만, 共鳴世界の存在論 MASTER를 제치고 27레벨 최다 노트수를 경신한 만큼 27레벨 치고 체감 난이도가 의외로 높다.[1] 다행스럽게 난이도는 노트가 곡 전체에 꽤 골고루 퍼져 있는 느낌이라 채보 자체에는 크게 두드러지는 구간은 없다. 하지만 프로에서부터 계속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정박에서 1/16박을 에는 엇박'''이 은근히 신경을 건드리는 게 문제. 특히 그냥 롱노트만 쳐도 실수했다가 점수 날려먹기 좋은 저 엇박을 '''슬라이드까지 동원해서''' 쳐야 된다는 게 심히 괴롭다. 이거 치고 라이브의 마플 카테고리로 넘어가서 같은 날에 먼저 해금된 마플 두 개를 플레이하다 보면 아이쿠루시이 신규 마플이 물렙으로 보이는 기현상까지 일어난다(...). 지력요구가 27레벨 치곤 꽤 높아 대체적으로 28레벨 하위권 그룹들에 비해선 어렵다는 평.
반복 플레이가 원활한 라이브 퍼레이드의 특성과 더불어 해볼만한 난이도로 풀콤율이 높아져서 해당 이벤트의 스코어 랭킹은 덱 파워가 높은 과금러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기도 하였다.
Master+ 채보 영상
2018년 2월 12일 ALBUM C로 통상해금 되었다. 咲いてJewel처럼 리뉴얼하면서 레벨이 변경되었다. 패턴은 레거시와 비교하면 초반 전주부분에 나오는 동시치기 러시에 플릭이 좀 추가된 것과[2] 후반에 노트가 약간 추가된것 밖에 없기에 실질적으로 난이도가 실제로 올랐다기보다는 레벨만 상향된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레벨이 상향되면서 きみにいっぱい☆ 마스터+가 가지고 있던 28레벨 최다 노트수를 39개 차로 갱신하였다.[3] 노트수는 많지만 대체로 정직한 패턴을 보여주기 때문에 28레벨 내에선 중하급. 더불어 레거시 마스터+의 난이도는 그대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혼자서 27레벨, 28레벨 최다 노트수를 가져가게 되었다.[4]
3. 가사
보라색은 사토 신, 빨강색은 마에카와 미쿠, 진분홍색은 아베 나나, 주황색은 혼다 미오, 다홍색은 요리타 요시노, 남색은 모리쿠보 노노, 하늘색은 미후네 미유, 초록색은 타카가키 카에데, 연분홍색은 시마무라 우즈키 파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