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鼓'''북 고
'''부수
나머지 획수'''

鼓, 0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고등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つづみ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3.2. 지명
3.3. 고사성어·숙어
4. 부수
5. 일본어에서 보이는 쓰임새

[clearfix]

1. 개요


북 고(鼓)
유니코드는 9F13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3급으로 분류된다.
대나무 가지를 뜻하는 支(지)와 북을 뜻하는 壴(주)가 합쳐져 만들어진 회의자로, 막대기로 북을 친다는 뜻에서 북 자체를 뜻하게 되었다. 고대 중국의 도시에선 종과 북을 통해 사람들에게 시간을 알렸으며, 명청시대엔 신종모고(晨鐘暮鼓)라 하여 연못 동쪽의 종루에서 종을 울리고 서쪽 고루에서 북을 쳐서 아침과 저녁의 시간을 알렸다 한다.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3.1. 단어


  • 고녀(鼓女)[1]
  • 고동(鼓動)
  • 고막(鼓膜)
  • 고무(鼓舞)
  • 고자(鼓子)
  • 고취(鼓吹)
  • 신문고(申聞鼓)

3.2. 지명


  •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무고리(慶尙南道 泗川市 昆陽面 舞鼓里)
  •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고곡리(慶尙南道 昌寧郡 南旨邑 鼓谷里)

3.3. 고사성어·숙어


  • 고분지통(鼓盆之痛)
  • 함포고복(含哺鼓腹)

4. 부수



명칭 : 북고부
강희자전에서 207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마흔여섯 자다. 부수로 붙을 때에는 북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鼛(큰북 고) · 鼕(북소리 동) · 鼙(마상고 비)

5. 일본어에서 보이는 쓰임새


  • つづみ 장구 모양의 손북
  • 鼓動 こどう 고동

[1] 고자의 반대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