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모형제

 

1. 의미
2. 아우가 형보다 나은 경우의 예시
3. 관련 문서


1. 의미


형만한 아우 없다와는 반대로, '''아우가 형(맏이)을 능가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말. ‘갈모’는 비가 올 때에 갓 위에 덮어 쓰는, 기름 먹인 종이로 만든 물건으로, 펴면 고깔 비슷하게 위는 뾰족하며 아래는 동그랗게 퍼지고 접으면 쥘부채처럼 홀쭉해지는데, 이렇게 위보다 아래가 넓은 갈모의 모양에 빗대어 형보다 아우가 잘난 경우에 쓰이는 말이 되었다.
하지만 정작 이 말을 들을 정도면 형도 어느 정도 능력자였거나 반대로 안 좋은 쪽으로라도 어쨋든 이름이 알려진 사람이라는 의미도 된다. 왜냐하면 형쪽이 아예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사람일 경우 단지 그 사람이 특출난 것일 뿐, 형하고 굳이 비교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1]
창작물에서는 형제의 관계가 능력과는 괴리가 큰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즉, 객관적으로는 누가 봐도 동생이 더욱 뛰어나지만, 정작 동생은 형에게 진심으로 고개를 숙이고 형으로서 존대해주며 어려워하는 형태.

2. 아우가 형보다 나은 경우의 예시




3. 관련 문서




[1] 예를 들어 한고제 유방은 넷째 중에 막내였는데 이는 역으로 말하면 위에 형이 세명이 있었다는 말이 되지만 갈모형제 소리를 듣지 않는다. 왜냐하면 유방이 농민에서 황제가 되었다는 것이 유독 특출난 것일 뿐, 그들의 형들이 무언가 업적을 이룬 것도 없고 크게 잘못한 것도 없어서 비교할 이유가 없다. 반면 세종대왕은 갈모형제 소리를 듣는데 이는 양녕대군이 태종의 장자임에도 유독 자질이 형편없이 떨어졌기에 비교가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