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된 형과 착한 아우
1. 의미
서브컬쳐(주로 전래동화)의 클리셰 중 하나. 반대 개념으로는 형만한 아우 없다가 있다.
말 그대로 형제를 주인공으로 하는데 형이 악인이고 아우가 착한 사람.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흥부전이 있다.
이런 류의 이야기는 대개 부모를 여의고 재산을 상속받는 과정에서 형이 아우 몫까지 스틸하는 경우가 많다.
동양이든 서양이든 동생이 먼저 태어나 성장한 손윗형제보다 신체적으로나 가정 내 위치상으로나 약할 수밖에 없으며, 사회적으로 약자가 괴롭힘을 당하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다.[1] 이런 이야기를 듣는 어린이들은 주로 집안에서 가장 어리고 약한 구성원이기 때문에 공감을 주기 위해 이러한 클리셰가 널리 퍼진 것으로 보인다. 또 맏이의 권위를 앞세워 약자인 동생을 괴롭히던 형은 결국 벌을 받고, 동생은 형에게 좋은 것은 많이 빼앗겼지만 결국 주변 사람들이나 신적 존재의 도움을 받아 크게 성공하는 모습에서 일종의 인과응보의 형태를 보여준다. 어떻게 보면 착하게 살아야 복을 받는다는 이야기의 일종.
약간의 바리에이션은 있지만 대부분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1. 위에서도 말했듯이 부모의 유산을 형이 독차지하고 아우를 쫓아낸다.
2. 아우는 그래도 착실하게 살아간다.
3. 어느날 갑자기 아우가 큰 복을 받으면서 형보다 더 잘 살게 된다.
4. 그 소문을 들은 형이 배가 아파서 아우를 찾아간다.
5. 아우로부터 자초지종을 들은 형은 자신도 아우의 흉내를 낸다.
6. 욕심 많은 형은 나중에 "어디 제까짓 놈만 부자가 돼?"라며 동생을 비웃지만, 복을 받긴커녕 큰 벌을 받게 된다.
7. 아우가 형을 용서해 주자 형이 개과천선하고 아우와 함께 행복하게 살면서 끝. (이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8. 동생이 용서해 주든 말든 끝내 형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거나(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같은 경우), 심하면 형들이 동생의 행운을 강탈하기 위해 개과천선한 척 하고 접근한 뒤 동생을 역으로 해친다거나. 이런 막장인 형은 흔하지 않지만 그림 동화에서는 (전자와 더불어) 의외로 자주 나온다. 그 밖에 역시 그림 동화인 "배낭, 모자, 그리고 뿔피리"에서는 행운을 얻은 동생이 자신을 비웃었다는 이유로 '''형들을 관광보냈다.'''
속담 형만한 아우 없다와는 뜻이 반대에 가깝다. 물론, 뜻에 약간 차이가 있다. 못된 형과 착한 아우는 성격이나 인품의 차이를 뜻하지만, 형만한 아우 없다는 능력의 차이를 말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갈모형제가 형만한 아우 없다와 반대 의미다.2. 아우는 그래도 착실하게 살아간다.
3. 어느날 갑자기 아우가 큰 복을 받으면서 형보다 더 잘 살게 된다.
4. 그 소문을 들은 형이 배가 아파서 아우를 찾아간다.
5. 아우로부터 자초지종을 들은 형은 자신도 아우의 흉내를 낸다.
6. 욕심 많은 형은 나중에 "어디 제까짓 놈만 부자가 돼?"라며 동생을 비웃지만, 복을 받긴커녕 큰 벌을 받게 된다.
7. 아우가 형을 용서해 주자 형이 개과천선하고 아우와 함께 행복하게 살면서 끝. (이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8. 동생이 용서해 주든 말든 끝내 형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거나(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같은 경우), 심하면 형들이 동생의 행운을 강탈하기 위해 개과천선한 척 하고 접근한 뒤 동생을 역으로 해친다거나. 이런 막장인 형은 흔하지 않지만 그림 동화에서는 (전자와 더불어) 의외로 자주 나온다. 그 밖에 역시 그림 동화인 "배낭, 모자, 그리고 뿔피리"에서는 행운을 얻은 동생이 자신을 비웃었다는 이유로 '''형들을 관광보냈다.'''
자매들이라도 얄짤없는 법칙. 대부분의 동화 속에는 언니들은 못되고 막내딸은 착하고 예쁘다고 나온다. 외모의 경우 언니들도 예쁜 경우가 있지만 어쨌든 성격은 더러워서 안 좋은 결말을 맞게 된다.
현실 형제들이 싸움을 벌일 때 동생이 형을 공격하기 위해 꺼내드는 스킬이기도 하다. 대략 '옛날 얘기를 보면 어딜 가든 동생이 착한 놈이고 형은 나쁜 놈이다 ㅡ> 따라서 우리 형은 나쁜 놈이다'라는 식으로 형을 도발하면 형 입장에서는 멘탈이 나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학부모들이 "어린이들의 정서에 맞지 않고 편견을 조장할 수 있다"라고 하며 반발하며 형을 나쁘게 묘사하는 전래동화는 어린이들에게 형이 무조건 나쁘다는 편견을 심어줄 수 있다고 주장해 현대 동화는 이 클리셰를 비틀거나 옛 판본을 조사해 형을 상냥하고 착한 성격으로 바꾸고 동생을 못된 사람으로 바꾸어 편견을 심지 않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