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판
1. 개요
선박에 설치하는 갑판보 위에 설치하게 되는 편평한 구조물, 그러니까 철판때기다.
쉽게 말하자면 배에서 바닥이라고 부를만한곳은 전부 갑판. 선실이나 온갖 구조물은 갑판 위에 설치된다.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갑판은 배 밖에 노출되는 상갑판이지만 그 외에도 온갖 갑판이 있다.
2. 상선에서의 갑판
여객, 화물등 운반 대상과 승조원, 그리고 승조원과 승객이 쓸 각종 기자재/침구류들, 화장실, 샤워실, 전기시설, 엔진, 보일러 등 추진및 편의시설등 온갖 시설이 들어찬다. 거기에 항법 레이더와 통신시설및 여가시설(여객) 등등이 즐비한 상부구조물도 올라간다. 따라서, 상선이나 후술할 함정이나, 그것이 배라면 갑판은 중요하지 않을수가 없다.
3. 군함에서의 갑판
3.1. 전투함에서
군함의 여러 무기들을 올려두는곳.
당장 배 위에 판때기 몇 장 더 얹는 생각하기 쉬운 개념이지만 의외로 등장이 늦고 또한 중요하다. 갑판이 생긴다는 것은 배 위에서 활을 당기거나 하는 선상 전투가 가능해진다는 것인데 그 이전의 군선은 상륙정 용도였다. 바이킹의 배를 생각해 보자. 이집트의 배들도 전통적으로 u자 형의 갑판 없는 배였고 투퀴디데스의 저서에서도 오랫동안 지중해를 오가는 배들에는 갑판이 얹혀져 있지 않고 따라서 해군 vs 해군 전투는 아무도 생각지 않았다고 썼다.
과거의 군함들은 선체도 그러했듯 나무로 만들었는데 전투 중에 포탄맞고 구멍나면서 파편을 뿌려대는 바람에 부상자가 속출했다. 대전기 전함들은 나무갑판을 붙이고 다녔는데 나무 하나로 끝이 아니라 그밑에 두꺼운 강철로된 갑판장갑이 있다. 어차피 철갑선 시기부터는 전투 중에는 갑판이나 상부구조물로 들어가므로 파편상도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굳이 있어봐야 관리도 귀찮고[1] 재수없으면 파편이 튀어들어올 수도 있으니 현대에는 나무를 쓰지 않고 바닥재를 도포하거나 아니면 쇳덩이 그대로 쓴다.
또한 유틀란트 해전 이후의 함포를 주무장으로 쓰는 군함들은 갑판타격을 중요시 여겼지만 갑판에 착탄할 정도면 이미 고각으로 내려오는 중인지라 측면에 비하면 장갑은 얇게 배당했다
3.2. 항공모함에서
항공기의 이착륙을 담당하는 공간을 비행갑판이라고 부른다
여기서도 대전기 때는 몇몇 항공모함을 제외하면 대부분 나무갑판으로 만들었는데 전투 중 갑판에 난 구멍을 빠르게 떄우기 위해서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비행갑판에 무거운 철판을 올리면 무게중심이 올라가서 전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대한 넓은 크기를 할당하려곤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좁기 때문에 보통 박살난 함재기는 재활용이나 수리 같은 건 포기하고 바다에 던져버린다.
4. 관련 문서
[1] 금속제 갑판의 경우 발이 닿는 곳마다 페인트가 벗겨지고, 그 자리에 녹이 슬어서 내구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니 매일같이 관리해 줘야 해서 나무갑판보다 오히려 관리가 더 어렵다. 현대에는 코팅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지만, 대전기에는 그런 기술이 없어 나무 갑판을 올려서 해결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