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자 한자어
1.1. 계(契), 전통 협동조직
1.2. -계(系), 물리학반응계(system)
1.3. -계(系), 차량의 형식(철도 용어)
2. 한자
3. 인명
3.1. 계씨(桂, 季)


1. 1자 한자어



1.1. 계(契), 전통 협동조직


한국의 전통 협동조직이다. 계회(契會) 또는 회(會)라고도 부르며, 모임이라는 뜻이다. 돈이나 곡식 등을 얼마씩 거두어 그것을 여러 사람이 서로 이용한다. 상부상조, 친목, 공동이익 등을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나,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투기성의 목적을 띤 계도 많아졌다.
'계'는 상고 시대부터 있었으며, 사상 · 감정 · 생산 등 생활양식이 같은 분야에서 성립되어 모든 행사를 공동으로 도와서 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 풍습은 삼국시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로 오면서 몇백 년 동안 여러 종류의 계모임이 조직되면서 민중 속에 자리잡았다. 일종의 품앗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은행은 커녕 자본주의신용이 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이 잉여 자산을 모아 비축하여 구성원들의 비상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원 내의 복지까지 해결하는 본능적인 자본주의 공동체의 실현 수단이 계였던 것.
하나의 사회조직으로서 계의 형태·기능을 보는 것은 농촌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계의 성격에는 마을의 성격이 그대로 반영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어, 계의 형태와 기능의 변모는 농촌의 사회와 문화의 변질을 보는 데 좋은 지표가 된다. 옛날에는 마을 전체가 계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계의 성격에는 다분히 지역적 연대와 전통주의 및 도의적인 성격이 농후하였다.
현재에도 한국 농촌에는 동계(洞契)와 종계(宗契)·산림계(山林契)·성황계(城隍契)·혼인계(婚姻契)·회갑계(回甲契)·위친계(爲親契)·상포계(喪布契), 기타 돈계와 오락 친목을 위한 여러 가지 계조직이 있다.
이들 계의 주요 기능은 농민들이 일시에 큰돈을 마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마을의 큰 행사나 문중행사·부락제·혼인·환갑·초상을 당할 때 계원끼리 물질적으로나 노력으로 상호부조하면서 친목을 도모하는 것이다.
꼭 계의 형태를 취하지 않더라도 첫돌과 혼인·환갑·장사·제사에는 가까운 친척과 친지, 마을사람들간에 돈과 음식·기념품·노력 등을 증여의 형식으로 주고 받는 일이 허다하다. 이러한 협동생활은 도시보다 농촌에서 훨씬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으며 그로 인한 공동체 의식도 더욱 공고하게 된다.
현대에는 기존의 '계'가 가지고 있던 공동체적 의미는 거의 모두 사라졌으나, 노동력을 상부상조하는 대신 소위 '곗돈'이라고 하는 현금화폐의 형태로 바뀌어 지속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계모임 문서 참조. 강남에서는 수백억 단위의 계모임도 있다고 한다. 최근에 어마어마한 돈을 들고 계주가 잠적하는 바람에 큰 논란이 되기도 했다.#

1.2. -계(系), 물리학반응계(system)


관찰자가 관심 있어하는, 다시 말하면 관찰하려는 공간. 그리고 그 바깥을 주위라 한다. 계는 다시 세 가지로 나뉘는데,
  • 고립계(Isolated system, 절연계): 주위와 에너지도, 물질도 교환할 수 없는 완벽히 단절된 계. 우주에서 완벽하게 고립된 계는 우주 그 자체 뿐이다.[1]
  • 닫힌계(Closed system, 밀폐계): 주위와 물질은 교환할 수 없지만, 에너지는 교환할 수 있는 계. 기초 열역학에서 흔히 다루는 외연 열기관이 여기에 속한다.
  • 열린계(Open system, 개방계): 주위와 물질과 에너지 모두 교환할 수 있는 계. 한쪽이 열려있는 용기가 대표적이다.
지구태양계등은 무엇을 보고자 하느냐에 따라 고립계로도, 닫힌계나 열린계로도 설명할 수 있다.

1.3. -계(系), 차량의 형식(철도 용어)


한국에서 사용되는 호대와 비슷하게 주로 일본 철도에서 차량의 형식 구분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예: E231계 전동차, 신칸센 0계 전동차) 계 이외에 형(形, 型)도 사용된다.

1.4. -계(界), 생물 분류 단계(kingdom)


문(門)의 상위 분류이고, 역(域)의 하위 분류. 생물 분류 단계#s-3.2 문서 참조.

2. 한자


교육용 한자에서 '계'로 읽는 글자는 아래 16자이다.
  • (끝 계)
  • (시내 계)
  • (지경 계)
  • (열째 천간 계)
  • (꾀 계)
  • (닭 계)
  • (걸릴 계)
  • (열 계)
  • (맺을 계)
  • (경계할 계)
  • (계수나무 계)
  • (형틀 계)
  • (이을 계)
  • (맬 계)
  • (이을 계)
  • (섬돌 계)

3. 인명



3.1. 계씨(桂, 季)




[1] 참고서에서는 보온병도 예시로 나온다. 물질도 교환할 수 없고(닫혀있는 병이므로) 에너지도 교환할 수 없기(보온이라 열이 새지 않으므로) 때문에 이해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지만, 사실 아무리 좋은 보온병도 언젠간 결국 물이 식는다. 완전히 물질과 에너지가 드나들 수 없는 보온병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 고립계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