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름(한복)

 

[image]
[image]
매듭을 지었을 때.
풀었을 때.
1. 개요
2. 매는 순서
3. 여담


1. 개요


한복을 입을 때 저고리/도포/원삼/창옷/활옷 기타 등등을 비롯한 상의류의 옷자락을 여미기 위해 매는 끈. 저고리 고름[1] 이란 표현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고가 한 방향으로만 나오는 외매듭 방식으로 매었다.[2]
천민은 자신 기준 오른쪽으로 고를 만들어야 했다. 형태는 착용자를 기준으로 고리가 왼쪽을 향하는 반 리본 모양(외매듭)이다.[3]
북방계 호복에 근간을 두고 있는 한복은 본래 앞섶을 여미는 허리띠가 있었으나 고려 시대를 기점으로 저고리가 점차 짧아짐에 따라 허리띠 대신 작은 고름을 달기 시작했고, 그것이 점차 크고 넓어져서 조선시대에는 옷깃의 선이 회장으로 변하게 되면서 흔히 알고 있는 조선시대 복식의 형태를 띄게 된다.
옷고름 자체는 북방계 호복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되는데, 고구려 벽화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단령 형태 복식들은 앞자락에 작은 고름을 달고 있으며, 역시 호복의 영향권에 있는 한푸기모노에도 옷자락을 고정시키기 위해 작은 끈으로 만든 고름이 달려있는 경우가 있다. 모든 한푸나 기모노에 해당하는 사항은 아니나, 중국 웹에서 소개하고 있는 한나라 저고리[4]입는 법을 보면 작은 겉고름과 속고름이 달려있고, 기모노의 경우 남성이 간단한 일상복으로 입는 진베이(甚兵衛) 등에 역시 작은 겉고름과 속고름이 있고, 일부 유카타에도 옷고름이 존재하고 있다. 물론 이렇게 고름이 달려 있는 형태의 유카타는 기존 유카타 기츠케(착장)의 불편함을 덜기 위한 것으로 현대에 와서 달리게 된 것이다. 에도 시대 이후로 발전하고 성립된 기모노에는 옷고름이 없다. 기모노로 분화하기 전 나라/아스카 시대까지의 옷에는 있었다. 일본 정창원(正倉院.쇼소인)에서 보관하고 있는 의복 중 한반도 계통 혹은 한반도 복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일부 옷에서도 작은 고름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을 볼 때 옷고름 역시 허리띠만큼이나 동아시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넓고 길게 흘러내리는 고름이 겉으로 드러나는 형태는 조선의 한복에서만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옷고름이 한복 특유의 멋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치맛고름/치마고름이라는 부속은 없다. 치마에 달린 끈은 그냥 끈이다. 엄밀히 말하면 말기끈/치마끈으로 부른다. 고름은 오로지 상의를 여미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끈 형태의 부속을 말한다.
조끼허리(어깨허리)식 말기가 생겨나기 전 띠허리식 말기의 치마끈은 상의의 옷고름보다 넓고 길어서, 치마를 여민 뒤 남는 부분을 저고리 밑 치마 위로 늘어뜨리고 다녔다. 구한 말 사진이나 회화에서 볼 수 있는, 하얀 치마끈을 마치 고름처럼 늘어뜨리고 있는 모습이 그렇게 해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치마끈은 반드시 물들이지 않은 무명이나 마(삼베, 모시)재질로 만들었고, 자수 장식은 하지 않았다. '''조선 전기의 출토복식부터 구한말까지 내려오는 전세유물까지, 치마끈이나 말기에 자수 장식을 한 물건은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자수 장식은 현대의 한복 디자이너 '''이영희'''[5]의 아이디어이기 때문이다. 자세한 사항은 말기가슴가리개항목을 참조.

2. 매는 순서


[image]
1. 겉섶(왼쪽)에 달린 게 긴고름, 앞길(오른쪽)에 달린 게 짧은고름이다.
[image]
2. 짧은고름이 긴고름 위쪽으로 오도록 교차시킨다.
[image]
3. 짧은고름이 긴고름 밑으로 오도록 통과시킨다.
[image]
4. 아래쪽으로 나온 긴고름으로 Z자 접기로 고[6]를 만든다.
[image]
5. 위의 짧은고름을 아래로 접는다.
[image]
6. 짧은고름을 안쪽으로 반바퀴 감는다.[7]
[image]
7. 5,6번 순서에서 만든 고리[8]에다 (입은 사람의 기준으로 보았을때)오른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접어 짧은고리를 넣는다.
[image]
8. 긴고름과 짧은고름은 함께 안쪽으로 자연스럽게 접어 늘어뜨린다.
출처
  • 그냥 빼내는 가닥도 고를 만들어 넣으면 쌍고름이 된다. 이건 대대 등 허리띠 종류를 묶을 때에나 사용하는 방식으로, 조선시대 저고리의 고름을 묶을 땐 잘 쓰지 않는다. 조선 이전 한복은 허리띠를 묶는 방식이나 매듭 위치가 자유로웠다.

3. 여담


매듭을 짓고 나서 긴고름과 짧은고름의 길이 차이가 1~2cm 정도 나면 가장 아름답다고 한다. 그런데 이렇게 되려면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가 애초에 좀 나야 한다. 길이 차이가 거의 없으면 매듭을 지은 뒤의 고름 길이를 맞추기 어렵다.

[1] 치마고름이란 표현은 없다. 말기가슴가리개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치마끈은 그냥 끈이다.[2] 고름을 나비 모양의 리본처럼 묶는 방식은 전통적인 한복에는 없었으며, 상의의 고름을 비롯해 옷을 여밀 때 사용하는 거의 모든 매듭을 외매듭으로 매었다. 남자 바지의 허리띠, 여자 바지 말기끈, 남자 한복 밑단을 정리하는 대님이나 행전, 심지어 갓이나 유건 등 모자류의 끈도 외매듭으로 매었다. 외매듭으로 매지 않는 것은 여자 원삼/활옷의 대대 정도였다. 물론 고려 이전에 고름 없이 허리띠를 두를 때는 딱히 매듭 양식에 구애되지 않는다.[3] 퓨전한복 같은 경우 형태 면에서 훨씬 자유로운 편이라 리본 매듯이 묶을 수도 있다.[4] 소매가 좁은 형태 등으로 미루어보아 호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5] 저고리 없이 치마만을 입는 "바람의 옷" 스타일을 창시하고 세계에 한복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린 디자이너이다. 배우 전지현의 시할머니이기도 하다.[6] 옷고름의 리본같은 개념.[7] 여기서 2~3번 더 감으면 아주 튼튼한 고름이 된다.[8] [image]이 사진에서 보이는 원래 고름이 시작한 부분과 매듭의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