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의환향

 

1. 겉 뜻
2. 속 뜻
3. 유래
4. 기타
5. 관련 문서

'''고사성어'''
'''錦'''
'''衣'''
'''還'''
'''鄕'''
비단 금
옷 의
돌아올 환
시골 향

1. 겉 뜻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옴.

2. 속 뜻


타지에서 출세를 하여 고향에 돌아오는 것을 뜻한다.

3. 유래


유래는 초한대전 시기 초패왕으로서 이름을 천하에 떨친 항우거록대전에서 진군을 대파한 기세를 몰아 진의 마지막 대들보이던 장한의 항복까지 받아 함양에 입성하면서 진을 멸망시키고 난 후, 지리나 자원 면에서 유리한 관중에 남아 확실하게 천하를 잡을 기틀을 마련할 것을 권하는 의견에

''''내가 공을 세웠는데 고향에 돌아가 자랑하지 않으면 비단옷을 입고 밤에 돌아다니는 꼴이 아니고 무엇인가. 비단옷을 입었으면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이 마땅하다.''''

고 하면서 그 의견을 무시하고 관중을 항복한 장한, 사마흔, 동예를 삼진왕으로 삼고, 그 외에 공을 세운 제후들과 자기 심복들의 논공행상을 끝낸 뒤 관중에서 한참 떨어진 곳인 초나라의 근거지 팽성으로 돌아간 것에서 유래.
항우에게 관중에 남을 것을 권유한 인물은[1] 항우의 능력과 식견의 한계를 알자 ''''초나라 촌뜨기들은 원숭이에게 관을 씌운 꼴로 머리를 쓸 줄 모른다더니 정말이구나.' '''하면서 냉소했다. 그 뒤 그 말을 들은 항우에 의해 삶아져 죽임을 당했다.
다만 이 때 관중의 상태가 안 좋기는 했다. 항우가 대략 세 달 간 관중 땅을 워낙에 파괴했다보니, 이 말이 나올 때는 관중 땅이 생산력이고 방어력이고 기대할 수 없는 쑥대밭 그 자체였기 때문. 오죽했으면 유방이 관중 땅의 무한한 생산력의 힘으로 싸웠다는 인식과는 달리, 사실 유방이 북진한 해의 관중은 대기근이 돌아서 사람들이 서로를 뜯어먹었다. 하지만 이것도 일시적인 현상이었고 몇 년 간 다시 정비된 이후로는 정말 엄청난 생산력을 보여준다. 게다가 애초에 관중을 이렇게 막장으로 파괴한 게 '''항우 본인'''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변명의 여지가 없다.[2]
그 뒤 고향에 가서 제대로 자랑할 틈도 없이 전쟁만 한 항우는 팽성과는 먼 오강에서 유방에게 패해 사지에 몰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유방은 숨을 거두기 전 패현 땅에 들러서 세금을 면제시켜준 다음 고향 사람들과 춤을 추며 놀면서 진정한 금의환향을 누렸다.

4. 기타


본래 이 사자성어는 항우의 결정적이고 치명적인 실책을 지탄하는 부정적인 뜻이 내포되어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뜻이 좀 긍정적으로 바뀌어서 멀리 해외라든가 커다란 회사 등에서 크게 성공한 인물이 오랜만에 고향이나 고국에 찾아오는 의미로만 표현되고 있다. 부정적인 의미는 금의야행에만 포함되게 되었다.
고사를 보면 알 수 있듯 금의야행에서 파생된 말이긴 하나 이게 훨씬 더 유명하다.

5. 관련 문서



[1] 몇몇 기록에서는 한생이라는 말이 있다.[2] 전쟁 때문에 황폐해지는 건 동서고금 어디나 마찬가지지만, 항우는 '''전쟁으로 사람 죽어나가던게 삶의 일부였던 그 옛날 기준으로도''' 지나치게 학살을 많이 해서 욕을 먹었다. 신안대학살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