꺾인

 


1. 개요
2. 주요 용례
3. 함께 보기


1. 개요


Halfway. 어떤 정해진 기간의 절반이 지났다는 표현으로 쓰이는[1] 형용사 '꺾이다'의 관형어 꼴.[2]

2. 주요 용례


보통은 군대에서 많이 쓰이게 된다. 이등병이 이 말을 쓰는 경우는 잘 없으나 일등병만 돼도 자신들끼리 있을 때 일꺾, 즉 꺾인 일병이라는 말을 꽤 많이 쓰게 된다.[3] 물론 압도적인 용례는 꺾인 상등병이다. 꺾인 상병은 꺾상이나 '''상꺾'''이라 줄여 쓰며 꺾인 병장은 꺾병이나 '''병꺾'''이라고 많이 한다.[4] 홀수개월이면 계산이 좀 복잡해진다. 귀찮으니 홀수 개월이면 그냥 (N/2+0.5)개월 지나는 걸 꺾이는 걸로 세는 경우도 많다. 짝수개월은 그냥 (N/2)개월.[5]
상병이나 병장이 막강한 권력을 누릴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진급하자마자 이런 대우를 받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꺾인 단계에 들어와야 제대로 된 대우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나마 병장의 경우 복무일수가 21개월로 줄어들고부터는 꺾임의 개념이 무의미해져[6] 사실상 사라졌지만, 군생활 기간이 긴 해군이나 공군 등은 아직 개념이 남아있다고 한다. 그리고 꺾인 병장의 개념이 사라지면서 병장과 상꺾 이상의 짬 차이가 줄어들어 과거에는 권력만큼이나 가혹행위와 내리갈굼에 시달리던 상병 계급은 꺾이기만 해도 병장과 맞먹을 수 있는 강력한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
나이에서도 '''꺾인다'''는 개념을 사용하기도 한다. 30대가 꺾였다는 30대의 한가운데를 지났다는 뜻으로 35~39살을 의미한다.

3. 함께 보기


[1] 사실 이 의미는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따라서 '''표준어가 아니다.'''[2] 이전에는 관형사로 나와 있었으나 관형사는 어미의 활용이 불가능한 품사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의 '성상관형사' 항목 참고.[3] 부조리가 있던 시절에 일꺾부터 이것저것 할수 있는 부대도 있었다.[4] 사실 병꺾 개념은 병장 기간이 3~4개월로 짧은 육군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병장 기간이 6개월 이상인 해군이나 공군(7~8개월)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5] 즉, 복무단축이 시행되기 전 육군은 이병-일병-상병-병장이 3-7-7-4(혹은 4-7-7-3)개월이었는데, 일병과 상병 기간의 4개월 이상이 지나기 시작한 5호봉(5개월차)부터를 꺾으로 부른다. 2019~2020년 군번들은 일병과 상병도 6개월로 단축되어 4개월차 일병/상병부터 일꺾/상꺾으로 부른다.[6] 24개월이던 시절에는 6-6-7-5개월 씩이었는데, 21개월로 줄어들자 병장 계급의 복무일수만 불과 2개월로 확 줄어들었으니 꺾임의 개념이 남아있을 이유가 없다. 다만 이후 다시 4개월로 늘어나긴 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