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버스 마을3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대전광역시 마을버스 3번
기점
대전광역시 유성구 추목동(군인아파트종점)
종점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한아름아파트)
종점행
첫차
05:30(평일, 토)/06:00(공휴일)
기점행
첫차
06:10(평일, 토)/06:15(공휴일)
막차
22:10
막차
22:30(공휴일)/22:40(평일, 토)
평일배차
20~30분
주말배차
37분
운수사명
유성마을버스
인가대수
5대
노선
군인아파트종점 - (→ 군인아파트노인정 →/← 군인아파트 ←) - 자운상가 - 자운복지관 - 육군정보통신학교 - 국군대전병원 - 자운동종점 - 신성동주민센터 - 충남대후문 - 구암역 - 온천1동주민센터 - 유성구보훈회관 - 복용1통 - CN시티에너지 - 미학아파트 - 학의뜰아파트(U턴) - 별밭공원 - 자광사 - 학하초교 - 계산동 - 용머리 - 드리움공원 - 한승미메이드아파트 - 진잠초교 - 샘물타운아파트 - 한아름아파트

2. 개요


대전광역시 마을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5년 5월 1일 유성구 마을버스 개편 때 도로폭이 좁아 양 방향 교행이 어려웠던 '진잠농협 - 진잠보건지소' 구간이 진잠초교로 우회하도록 변경되었으며, 학하지구 단독주택지 교통 편의를 위해 '자광사 - 학의뜰 - 자광사 - 복용2통' 구간이 '자광사 - 학의뜰 - 충남도시가스 - 복용1통'으로 바뀌었다. 대전광역시 공지사항 다만, 왕복으로 하루 한 번씩 미학아파트와 학의뜰아파트를 경유하지 않고 복용2통을 경유한다.
  • 공병단쪽에 위병소를 추가로 설치하여 도로가 폐쇄되면서 2018년 7월 10일부터 육군정보통신학교 경유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운행과 지원은 유성구청에서 하고 있다.
  • 유성구 남북을 일자로 가로질러 가며, 자운대 구내를 왕복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때문에 자운대에서 유성고로 통학하는 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 마을버스 개편 문제로 잡음이 많다. 3번 버스의 경우에는 학하지구 - 원내동 구간을 통째로 자르고 1대를 감차하려고 계획중이지만 기존 노선 이용자들의 반발이 거세 큰 진통이 예상된다. 배차조정 및 감차의 근본 문제는 2008년 이뤄진 대전 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있다. 그 전까지 원내동(진잠)과 유성 구간을 연결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관저동으로 우회해 좁디 좁은 도안길로 빠져야했던 구 215번, 그리고 배차가 50~70분당 1대꼴이었던 구 162번이 전부로 원내동 주민들에게는 마을버스 3번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그러던 것이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 원내동-유성 구간의 노선이 거의 흡사한 704번이 신설되면서 원내동 주민들에게 마을버스 3번의 중요성이 크게 낮아진 것.[1]
  • 논밭이었던 학하지구가 개발되면서 학하지구를 한바퀴 빙 돌고 나오는 노선이 되어 운행거리가 늘어났다. 이로 인해 학하동에서 유성으로 기존 바로 가는 노선이긴 하지만 [2] 평균 20분이었던 배차도 조정을 통해 30~40분까지 늘어났다.

  • 학의뜰아파트 정류장은 학하동종점[3]에서 유턴하면서 양방향 모두 경유한다.
  • 유성구 예비군훈련장에 가려면 신성동 주민센터에서 하차하면 된다. 도보로 약 10분 거리.

5. 연계 철도역



[1] 2008년 노선 개편 직후 기준으로 마을버스 3번의 배차간격은 20분, 704번의 배차간격은 14~17분으로 미묘하게나마 704번이 더 자주 다니고 차도 더 커서 탑승인원도 더 많다. 거기다 704번은 마을버스 1번과 5번처럼 충남대 정문을 통과한다는 결정적인 강점이 있다.[2] 자운대 방향 유성온천역 정류장은 좌회전하는 곳까지 100m도 채 안 된다. 11번이 정차하는 온천1동주민센터 정류장과 가까운데도 통합하지 않아서 환승저항이 생긴다.[3] 113번, 117번의 종점지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