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학부
1. 개요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의 학부에 관한 문서이다.
2. 학부
2.1. 불교문화대학
- 불교학부
- 명상심리상담학과
- 불교아동보육학과
- 한국음악과
2.2. 인문대학
2.3. 과학기술대학
- 생명신소재융합학부
- 신소재화학전공
- 의생명공학전공
- 바이오제약공학전공
- 창의융합공학부
- 전자정보통신공학전공
- 에너지·전기공학전공
- 기계시스템공학전공
- 안전공학전공
- ICT빅데이터학부
- 빅데이터응용통계학전공
- 컴퓨터공학전공
- 조경학과
2.4. 사회대학
- 행정경찰공공학부
- 공공행정학전공
- 경찰행정학전공
- 사회복지학과
2.5. 상경대학
- 경영학부
- 경영학전공
- 회계학전공
- 정보경영학전공
- 글로벌경제통상학부
- 호텔관광경영학부
- 호텔관광경영학전공
- 조리외식경영학전공
2.6. 사범교육대학[6]
- 유아교육과
- 가정교육과
- 수학교육과
2.7. 한의과대학
- 한의예과
- 한의학과
2.8. 의과대학
- 의예과
- 의학과
- 간호학과[7]
[1] 사범대학의 이름만 달고 있을 뿐 정식으로 사범대학 인가를 받은 건 아니다. 일반대학 소속 사범계열 학과로 분류된다.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체육교육과와 비슷한 예. 이게 생각보다 패널티가 큰 게,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는 분명 동급의 대학임에도 불구하고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가 사범대학 산하라는 이유만으로 연세대학교 체육교육과보다 점수대가 약간 더 높다. 그렇다고 10점 20점 차는 아니고 몇 점 차에 불과하므로 둘 다 좋은 곳인 건 마찬가지다. 물론 여기를 갈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무의미한 이야기지만...[2] 본캠처럼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로 나눠진 것이 아니라는 것에 유의할 것. 한편 서울캠퍼스처럼 교직이수 과정이 개설되어 있어 중등/고등 국어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3] 미술사학과나 고고학과 등의 유사 학과들까지 합치면 수가 많으나 순수하게 고고미술사학과가 설치된 대학은 전국에 6곳밖에 없다.[4] 디자인 전공들은 경주캠퍼스에만 존재한다.[5] 그동안 사회체육학과로 불리다가, 2016학년도부터 스포츠과학과로 이름이 바뀌었다.[6] 사범대학의 이름만 달고 있을 뿐 정식으로 사범대학 인가를 받은 건 아니다. 일반대학 소속 사범계열 학과로 분류된다.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체육교육과와 비슷한 예. 이게 생각보다 패널티가 큰 게,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는 분명 동급의 대학임에도 불구하고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가 사범대학 산하라는 이유만으로 연세대학교 체육교육과보다 점수대가 약간 더 높다. 그렇다고 10점 20점 차는 아니고 몇 점 차에 불과하므로 둘 다 좋은 곳인 건 마찬가지다. 물론 여기를 갈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무의미한 이야기지만...[7] 2021학년도부터 간호학과 운영기관이 동국대학교 의료원에서 경주캠퍼스로 전환되었다. 어른들의 사정 때문에 수도권 의학계열 신설은 어려운 와중, 지방의 인구는 줄고 있고 동국대는 의과대학을 수도권으로 옮기고 싶어하는 것 같지만 경주시가 이를 두고 볼 리가 없다. 과거 경주시에서 의학계열 신설을 허가해 줬는데, 이제와서 고양시가 이것 저것 허가해주니 동국대는 고양시에 비벼볼 요량이다. 이미 고양시에 병원허가 나자마자 지어놓고 옆에 기숙사 세우더니 학교 몇개 뚝딱 짓더니 수업과 실습 경주와 일산에서 섞어서 하고 있다. 이미 의학과는 수업과 실습 모두를 일산에서 하고 있다. 동국대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국 비수도권 의과대학이 수도권 의과대학인 척하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다만 이대로 시간이 지나 2030년대 후반 쯤되면, 적어도 의예과 의학과는 수도권으로 넘어갈 거 같다. 간호학과는 지금 상황으로 보아 여기에 남는 건 확정이다. 만약 훗날, 의예과와 의학과가 수도권으로 넘어간다면 간호는 경주캠에 하나 수도권에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