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 이블 위딘 2/무기 및 장비
[각주]
1. 개요
본문은 디 이블 위딘 2에 등장하는 무기들의 정보를 모아둔 문서다.
이번편에는 전작의 상징과도 같았던 성냥은 등장하지 않는다. 때문에 적을 눕혀놓고 성냥으로 마무리하는등의 테크닉이 불가능해졌다. 즉 전체적으로 탄환 사용량이 많아졌다는 뜻. 대신 일반몹은 눕힐 경우 밟아서 즉사시킬 수 있고 스텔스 킬이 중요해져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 업그레이드 추천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달리기와 총기 위주. 은신 이동이나 스텔스킬 관련 업그레이드를 찍어주면 진행이 편하다.
2. 근접무기
2.1. 서바이벌 나이프
챕터 2에서 자동 입수한다. 기본 근접 무기. 무기 개조는 없지만 근접 대미지 업그레이드가 있다.
2.2. 브래스 너클
나이트메어 난이도를 클리어 할시 주어지는 근접무기이다. 전작처럼 너클을 장착할 시 일반 좀비들은 한 방에 죽는데다가, 장착한 뒤에는 도끼를 들 수 없는 점으로 보아 사실상 무한 내구도의 도끼로 봐야 할 듯.
2.3. 도끼
전작과 같은 용도. 서바이벌 모드까지는 일반좀비를 한 방에 잡을 수 있다. 나이트메어 모드부터는 가까이에서 정타를 때리지 않으면 죽지 않는 경우가 간혹 있다. 들고 다니는 좀비가 꽤 많아서 리필이 잘되는 편이므로 스텔스 킬로만 잡을 수 없다고 생각되면 아낌없이 써주자.
[1]
3. 총기
3.1. 핸드건
[image]
전작에는 6연발 리볼버로 나왔지만 이번에는 처음 얻는 핸드건이 자동권총으로 나온다.[2] 외형은 콜트 M1911의 스미스웨슨제 파생형인 SW1911 으로 추정된다. 챕터3 초반에 자동으로 입수되며 장탄수는 6발이다. 2편의 조작감과 더불어 안 그래도 별로 안 좋았던 무기가 더욱 안 좋아졌다. 전작에서는 아예 대미지를 포기하고 다리만 쏘는 용도로 활용하기도 했으나 이번 작에서는 좀비가 순식간에 접근하는데다 에임은 흔들리고 접근을 허용하면 에임을 맞춰도 이상한 곳에 쏘기가 일쑤라 대폭 너프. 게다가 적의 접근을 막을 저지력도 없어 전면전 상황에서 꺼내기 애매하다. 1편처럼 중반을 넘어서면 탄이 넘칠 정도로 많이 나오는 것도 아니다. 그래도 나온 탄을 놀릴 수는 없는 노릇이니 부품이 많이 소모되지 않는 선에서 개조를 해주자. 중반부쯤에 서브미션으로 1편의 그 리볼버를 얻을 수 있는데 개조시 일반 좀비를 헤드샷 1~2발로 잡을 수 있다. 하지만 항상 헤드샷을 노릴순 없으니 에임에 자신이 없다면 좀 미묘. 적의 다리를 부숴 스톰핑으로 잡는 데는 쓸만하다.
3.1.1. 점사 핸드건
예약 구매 특전 한정으로 챕터2 초반에 자동으로 입수한다. 성능은 전작이랑 똑같이 3점사로 발사되며 핸드건 탄약이랑 서로 공유된다. 위력은 핸드건보다 좋지만 초반한정으로 탄약 입수하기가 빡센 게임인지라 제대로 사용할 자신이 없다면 그냥 핸드건을 쓰는걸 추천한다. 적 체력이 애매하게 남아있을 때 한발은 무조건 헛발이 되기에 단독으로 쓰긴 영 껄끄럽다. 시리즈 전통의 함정무기(...). 외형은 베레타 93R.
3.1.2. 레이저 사이트 핸드건
[image]
3챕터 차고에서 죽은 사람의 시체를 조사해서 얻을 수 있다. 조준점이 나타나는 다른 총기와는 달리 레이저 사이트로 조준하기에 사람에 따라 조준이 편리할 수도 있다. 조준시 기본 핸드건보다 시야 확대율이 높아 근접전에 불리한 편. 습득 뒤 이벤트로 적들이 등장하므로 주의.[3]
3.1.3. 소음 핸드건
[image]
사익스가 주는 서브퀘스트를 완료하고 사익스 안전가옥의 상자를 열면 얻을 수 있다. 대미지가 낮은 대신 총소리가 작아 적 무리에서 한 명의 적만 끌어내는데 사용할 수 있다.
3.1.4. 매그넘
난이도 상관 없이 1회차 클리어후 뉴게임 플러스를 시작하면 챕터2 막바지에 입수할 수 있다.
3.1.5. 리볼버
[image]
전작의 리볼버, 챕터 3의 336 시더 거리에서의 이벤트와, 챕터 7의 쥬크 다이너의 이벤트, 챕터 11의 실험실 구덩이에서의 파일을 읽고 난 뒤 이벤트가 끝나면 입수. 자동권총들과 같은 개조 효과를 받기 때문에 12발 짜리 리볼버도 사용할 수 있다. 대미지가 높은 대신에 명중률이 조금 낮아졌다고 한다. 깨알같이 크로스헤어는 전작의 것이다!
3.2. 샷건
[image]
챕터 3 무기고에서 입수할 수 있다. 소드 오프 샷건으로 처음 입수되며 진행하면 풀 배럴, 더블배럴 샷건이 나오고 업그레이드를 공유한다. 1편에 비해 대미지가 많이 너프됐지만 막상 투자할 무기가 없어서 주무기로 쓰게된다. 다만 초반엔 최대 보유 탄약량이 적어 사용할 곳을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탄도 핸드건과 더불어 가장 많이 나오는 편이고. 넉백효과가 있어 일렬로 오는 좀비들을 눕힌 다음 재빨리 밟아주면 좀 아쉽지만 1편의 성냥같은 효율을 낼 수 있어 탄을 아낄 수 있다. 권총이 너무 쓰기가 힘들기 때문에 샷건이 주무기 포지션을 꿰찼다. 얻는 탄약은 부족하고 사용할 곳은 많으니 플레이 도중에 얻는 화약은 대부분 산탄총에 투자하게 될 것이다.
3.2.1. 풀 배럴 샷건
[image]
챕터 7(13)에서 죽은 병사에게서 저장고 열쇠를 찾은 뒤,[4] 저장고에 가면 얻을 수 있다. 대미지와 사거리가 강화됐다. 습득 뒤 이벤트로 아미나가 나오지만 단순 이벤트이므로 몸통박치기 한 번 해주면 알아서 사라진다.
3.2.2. 더블 배럴 샷건
[image]
챕터 11부터 등장하는 서브미션에서 사익스를 도와주고 얻을 수 있다. 사익스 퀘스트 관련 최종보상이다. 들어가는 탄도 두 배, 대미지도 두 배다. 당연히 일반적으론 탄소모가 너무 심해 사용하기 어렵고 보스전에서 사용된다. 다만 무기 특성상 장탄수가 두 발인데다[5] 두 발을 한 번에 쏴버리므로 잡졸들 처치에는 쓸데없이 강력하다. 폭발적인 DPS가 필요할 때만 드는 것을 추천.
3.3. 어썰트 라이플
[image]
챕터 12가 끝나고 획득 가능하다. 시리즈 첫 출연. 저지력이 약하고 탄소모가 심해 이 게임에서는 완전 상성이 맞지 않는다. 탄소모가 높은 대신 대미지가 높다고 설명되어있다. 외형은 AR-15.
3.4. 스나이퍼 라이플
[image]
챕터 3 안전가옥 맞은 편 건물의 옥상으로 올라가면 얻을 수 있다. 또는 챕터 13 때 상업지역에서 사망한 뫼비우스 요원 주파수를 찾아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면 얻을 수 있다. 막 줏은 상태에서는 총열이 망가져 사용할 수 없다. 수리 부품이 있는곳이 자동으로 마커에 표시되며 부품을 얻으면 사용 가능. 다만 챕터 13 에서 얻은 스나이퍼 라이플은 조립이 완료된 완성품인데, 이러면 도전과제중 하나인 '잡역부'가 해제되지 않는다. '잡역부'를 얻으려면 챕터 3에서 망가진 저격총을 수리해야하니 참고. 사용 자체가 제한적이었던 전작과 달리 맵이 넓고 일반 무기로 딜이 잘 안들어가는 중간보스급 몹들이 있는데다 보스전도 넓은 곳에서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용하다. 대미지도 매우 강력. 탄환도 샷건이랑 화약 두 개 정도밖에 차이 안나서 보스전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딜 하나는 정말 시원하게 박힌다.
진짜 이것만 있으면 필드에서 돌아다니는 하빈저부터 시작해서 최종보스전까지 요긴하게 쓰이나, 절륜한 무기위력에 감동받아 마구잡이로 쓰기 시작하면 보유 화약이 금새 바닥나니 주의. 무기 모티브는 SVDS.
4. 투척 무기
4.1. 병
마찬가지로 전작과 같은 용도. 병을 던져 관심을 끄는 것 외에 좀비의 머리를 맞추면 스텔스 킬을 할 수 있다. 굉장히 판정이 애매하므로 숙련이 필요하지만 병은 굉장히 많이 나오므로 탄을 상당히 아낄 수 있다. 이 게임에서 좀비형태로 누워있는 시체는 전부 죽은 척하는 좀비라고 봐도무방하므로 에임을 잘 맞춰서 병을 던지면 쉽게 처치가 가능하다. 또한 업그레이드로 병을 가지고 있으면 하나를 소모해 좀비의 잡기 공격을 회피할 수 있는데 탄환 여유가 생긴 후에는 여러 개 들고 다니면서 실드 형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러모로 쓸모가 많은 아이템. 여담으로 포도주 병이던 전작과 달리 마렝고 소스 병이다.
5. 기타
5.1. 워든 크로스보우
챕터 3에서 얻을 수 있다. 일반 화살의 경우 대미지 너프가 되었으나 전작처럼 다양한 화살을 통해 상태이상을 거는 플레이는 여전히 유효. 연막화살이 추가됐는데 플레이어가 숨을 수도 있고 업그레이드 후 연기속에서 스텔스 킬을 할 수도 있다.[6] 전기화살이 매우 유용하다. 눕히는 판정이 나는데 적 여럿이 뭉치면 한 발 쏴주고 신나게 밟아주면 된다.
5.2. 화염방사기
챕터 11 보스를 처치 후 획득. 연료 탱크가 완전히 박살났기에 사용하려면 하빈저 두 놈을 처치해 연료 탱크 2개를 얻어 제조해야만 한다. 업그레이드가 없고 다 사용하면 연료탱크를 얻어서 제조할 수 있다. 참고로 시어도어 사제가 소환하는 전작의 보스인 로라를 일반 화염 트랩을 지지는 거 외에도 이 화염방사기로 처치가 가능하며, 이걸 수행하는 도전과제도 있다.[7]
[1] 하지만 도끼를 가지고 상자를 부수면 나이프와는 달리 2개의 상자를 한번에 부수는 것도 가능하고 부수는 속도도 약간 빨라지니 무턱대고 쓰지는 말자.[2] 참고로 게임 극초반부 키드먼과 조우할때는 리볼버를 들었었다.[3] 미리 주위에 널부러져 있는 적들을 치워두면 몰려오는 적의 규모를 1명까지 줄여둘 수 있다.[4] 챕터 7에서 저장고 열쇠를 찾고 나오는 길에 가디언이 소환되니 주의[5] 샷건 장탄수 업그레이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6] 무려 하빈저까지 스텔스 킬을 아주 쉽게 할 수 있게 해준다.(나이트메어 기준으로) 총알 잡아먹는 하빈저를 고작 연막화살 2방과 그에 따른 스텔스 킬 4~5방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7] 원래 트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불타는 신이 생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