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더포듐

 





'''R'''uther'''f'''ordium
[image]
러더포듐이 붕괴되면서 생긴 줄무늬
초악티늄 원소의 일종으로, 원자번호 104번.
1964년 러시아[1] 두브나[2]의 합동 원자핵 연구소[3]에서 인공적으로 합성한 방사성 원소. 플루토늄네온 원자를 충돌시켜 104번째 원소를 만들어서 쿠르차토븀(Ku)[4]으로 불렀다. 하지만 1969년 미국의 연구팀이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행했으나 쿠르차토븀을 얻지 못했고, 캘리포늄탄소 이온을 충돌시키는 새로운 방법으로 104번째 원소를 만들어 러더포듐이라 지었다. 원래는 먼저 발견한 러시아에 명명권이 있었으나, 추가 실험이 불충분하다는 등 양쪽이 각자 주장을 했고 러더포듐이라는 이름이 결정되기까지는 '''33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지금까지 안정된 동위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러더포듐 동위원소는 그 자체 혹은 방사능 붕괴로 인한 딸 원자핵의 방사능 붕괴 특성과 붕괴 생성물을 통해 검출, 확인되는데 러더포듐 동위원소들의 반감기는 대부분 '''수초 대'''이므로 착이온으로의 전환, 분리, 검출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름의 유래는 원자의 구조를 발견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1]소련[2] 이 마을의 이름을 딴 원소 이름은 러더포듐의 뒤에 있는 더브늄.[3] JNRI, Joint Nuclear Research Institute[4] 러시아의 핵물리학자 이고르 쿠르차토프의 이름을 딴 것. 하트 오브 아이런 2를 소련으로 해봤다면 매우 친숙한 이름일 것이다. 참고로 현재 고등학교 융합과학 미래엔 교과서에서는 소련에서 나온 주기율표 실사가 삽화로 나와 있다. 장주기형도 아닌 단주기형이며, 104번을 쿠르차토븀으로 표시해 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