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지키기
1. 개요
마을이라는 설정의 공간에서 별 이상한 6명의 영웅들과 함께 의미 없는 이유들을 내세우면서 무더기로 몰려와 마을을 공격하는 적 유닛들로부터 이장(피닉스)를 보호하는 내용의 스타크래프트 유즈맵.
이 문서에서는 초기작과 그의 리메이크 버전인 신 마을지키기 1,2만 다룬다.
2. 플레이 방식
시리즈 공통적으로는 각 플레이어들은 일정량 잡으면 다른 유닛으로 전직이 되며,[1] 마을 한가운데 있는 아카데미 밑의 비콘에서 체력이나 마나를 채울 수 있다.
그 외 플레이 방식은 시리즈마다 차이가 있으며 아래 시리즈별 문단에서 후술.
3. 문제점
이거 한마디로 설명된다. '''팀킬이 되면 팀킬. 팀킬이 안되면 이장을 죽이고 패배한다. 원래 유즈맵은 패해도 패배가 적용이 안되기 때문이 이 짓거리를 서슴없이 저지르는 팀킬러들이 많다. 왕의 기사 시리즈에도 보이니 주의!'''
4. 시리즈 목록
4.1. 마을을 지켜라!
신 마을 지키기 제작의 원인이 된 맵. 2004년 즈음에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등장 시기는 불명.
1.5버전과 2.4버전이 있다. 둘 다 같은 제작자인 [Home]Cgv가 만들었으나, 2.4 버전을 끝으로 업데이트가 중지되었다.
버전 공통점으로는 유닛을 죽이면 미네랄이 1씩 증가하며, 3~4번째 진화를 할때마다 각각 100, 200원씩 받는다. 900킬이 마지막 진화이기 때문에 정말 엄청나게 놓친게 아니라면 킬을 올리면서 열심히 업글을 해주자. 예외로 7플레이어인 의사는 600킬이 끝이며, 돈을 130원, 230원씩 받는다.
1.5버전에서는 7번째 스테이지가 감염된 테란인데, 이 녀석들을 일정 수치 이상 죽여야 다음으로 넘어가는 괴상한 트리거가 있어서 상당히 어렵다, 자폭맨이 아군 유닛에게 들이박으면 그건 사살한 것으로 쳐주지 않는다, 만약 일정 수치 이상을 죽이지 못했다면 영원한 림보속에 갇히게 되어버린다. 다음 마지막 스테이지인 8번째 스테이지는 레이스. 매우 강하다.
2.4버전에서는 크게 달라진 점이 눈에 띈다. 7번째 스테이지인 감염된 테란이 브루들링으로 바뀌었으며, 8번째 스테이지밖에 없던 구버전에 비해서 11번째 스테이지까지 존재, 11번째에는 영웅 캐리어 한 마리가 등장하고 지속적으로 모든 방향에서 적들이 생산된다. 영웅 캐리어를 잡으면 클리어. 그리고 아군 테란 건물을 띄우는게 불가능해졌다.
이장 측에도 인공지능이 생겼으며, 지속적으로 마린, 레이스, 탱크, 골리앗 등을 생산해서 알아서 마을 방어를 시도한다. [3]
그러나 컴퓨터답게 킬을 스틸하는것을 인식해서인지 업글 비용이 반토막이 났다. 4.2. 신 마을 지키기
제작자는 불명, 게임 내에는 tamo44@naver.com라고 적혀있으나 제작자의 아이디 같은 정보가 없다.
2010년에 스타 무한도전으로 유명해진 맵이며, 2와 함께 가끔씩 이 게임의 방이 보이기도 한다.
전체적인 지형은 위의 마을을 지켜라의 지형에서 조금 더 넓힌 모양새.
난이도는 꽤나 적당하지만, 모르고 한다면 꽤나 어렵다. 특히 12레벨인 리버 웨이브 스테이지 이후로는 방업이 125 이상이 되어있어야하며, 그 이하라면 게임 클리어가 불가능해진다. 이 스테이지부터 감염된 듀란과 사미르 듀란이 등장하는데, 방업을 제대로 찍지 않은 플레이어는 활약이 불가능할 정도로 방업이 절실해진다. 특히 사미르 듀란의 공격력은 200이라서 더욱 끔찍하다. 최종보스인 닥템 영웅 제라툴은 체,실드가 9999/9999에 방 255, 공격력이 400이라서 몸빵으로 막아내기가 좀 힘겹다. 다만 닥템은 라인마다 한마리씩 등장한다.
원본인 마을을 지켜라에서 달라진 점으로는 매 초마다 미네랄이 1씩 오르며, 마을을 지켜라 1.5버전과 똑같이 모든 업그레이드는 255까지 가능하다. 적 유닛의 숫자가 600마리를 초과하면 패배하며, 당연히 이장이 죽어도 패배한다.
이장은 컴퓨터이며, Insane 인공지능이 적용되어있어서 배럭에서 지속적으로 공격력 5의 마린을 생산한다.
마을 안에 워프 게이트, 파괴된 노라드 2, 오버마인드 코쿤이 존재하는데, 이것이 파괴되면 이장 소유의 강한 유닛이 등장한다. 각각 가디언, 간트리서, 배틀크루저가 등장한다. 기본적으로는 이것들을 최대한 지켜서 나중에 써먹어야한다. 일찍 부수면 별 활약도 못하며, 방 123의 가디언을 제외하고는 다 방어력이 약해서 잔챙이들과 싸우다가 체력이 서서히 달기 때문이다. 이 세 유닛도 뭐가 딱히 좋다고 할 수는 없다. 그나마 가장 평가가 좋은건 간트리서, 그 다음이 배틀크루저다.
그 외에도 게임 도중 마을 소유의 병력이 쏟아진다. 각각 마린, 메딕, 에씨비, 알다리스, 아비터, 할루 이장, 업글이 매우 잘 된 히드라가 찾아온다. 그러나 도움이 될 만한 병력은 아니고 오히려 후반부에 찾아오는 병력은 더 빨리 죽어버린다.
기본적으로 팀킬은 금지, 특히 다크 아칸의 마인드컨트롤은 철저하게 방어가 되어있다. 마컨이 불가능한 유닛은 아군 유닛들, 고스트들, 제라툴이다. 때문에 주황색은 실드 업글만 주구장창 돌리면서 공업을 간간히 배분해야한다.
진화 요구 사살 수는 150, 400, 700, 1200. 예외적으로 보라색은 900킬을 요구한다. 진화체는 다음과 같다.
질럿 웨이브 레벨인 5레벨, 탱크 웨이브 레벨인 10레벨 이후엔 이벤트가 뜨는데 이장이 특정 조건을 만족시킨 플레이어에게 상금을 준다. 시상식이라는 이벤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방업을 소홀히 하고 방심하지 않는 이상 죽을 일은 거의 없기 때문에 죽지 않는 과제는 쉽다. 나머지 과제는 그냥 보너스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5레벨 클리어 후 시상식
>1 - 한 번도 죽지 않고 가스가 0인 상태일때, 300 미네랄.
>2 - 언덕을 내려간 적이 없을때, 200 미네랄.
>3 - 적을 400명 이상 죽여서 2차 진화를 했을때, 100 미네랄.
>4 - 미네랄이 가장 적은 플레이어, 70 미네랄.
>5 - 드라군 유닛인 페닉스 옆에 있는 플레이어, 50 미네랄.
>6 - 컴퓨터를 포함해서 가장 사살 수가 낮은 플레이어, 200 미네랄.
>1 - 한 번도 죽지 않고 가스가 0인 상태일때, 300 미네랄.
>2 - 언덕을 내려간 적이 없을때, 200 미네랄.
>3 - 적을 400명 이상 죽여서 2차 진화를 했을때, 100 미네랄.
>4 - 미네랄이 가장 적은 플레이어, 70 미네랄.
>5 - 드라군 유닛인 페닉스 옆에 있는 플레이어, 50 미네랄.
>6 - 컴퓨터를 포함해서 가장 사살 수가 낮은 플레이어, 200 미네랄.
>10레벨 클리어 후 시상식
>1 - 한 번도 죽지 않고 가스가 0인 상태일때, 200 미네랄.
>2 - 죽은 횟수, 가스가 가장 적을때, 300 미네랄.
>3 - 언덕을 내려간 적이 없을때, 200 미네랄.
>4 - 적을 700명 이상 죽여서 3차 진화를 했을때, 100 미네랄.
>5 - 랜덤. 150 미네랄.
>6 - 드라군 유닛인 페닉스 옆에 없는 플레이어, 50 미네랄.
팁이 하나 있다. 보라색의 다니모스는 스테이시스 필드가 있어서 이장을 얼릴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이장도 공격은 못하지만 공격에 매우 안전해진다. 다만, 다른 팀원들이 길막을 잘 해줘서 이장 근처에 다른 유닛이 엉겨붙지 않게 해줘야한다. 참고로 주황을 빠르게 다칸으로 만들고 빨강의 아비터를 마컨해서 이장 곁에 두고 빨강 마린이나 노랑 유닛을 마컨해서 계단 근처에서 길막을 해대면 이긴거나 다름없다. 그러나 최종보스인 닥템 영웅 제라툴은 뺏으면 절대군주를 지배할수는 없다면서 닥템이 죽을때까지 다칸이 계속 죽는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조종하는걸 예상에 두지 않았는지 공업량이 1업당 1씩이다. 다만 닥템이 죽지는 않고 오히려 걱정거리 하나 덜어서 좋은 편이다. >1 - 한 번도 죽지 않고 가스가 0인 상태일때, 200 미네랄.
>2 - 죽은 횟수, 가스가 가장 적을때, 300 미네랄.
>3 - 언덕을 내려간 적이 없을때, 200 미네랄.
>4 - 적을 700명 이상 죽여서 3차 진화를 했을때, 100 미네랄.
>5 - 랜덤. 150 미네랄.
>6 - 드라군 유닛인 페닉스 옆에 없는 플레이어, 50 미네랄.
4.3. 신 마을 지키기 2
1편과 기본적인 틀은 똑같다. 최종보스가 닥템 영웅인것도 똑같다. 스펙도 똑같다.
지형이 배드랜드로 바뀌고 마을의 위치가 1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 바뀌었고, 5였던 마린의 공격력이 2로 떨어졌다. 대신 마을은 팩토리가 생겨서 공격력 52, 체력 250, 방어력 40의 벌처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고스트나 베슬이 배치되어있기 때문에 베슬이 종종 디펜시브를 걸어준다.
전작에서 아군을 도와줬던 알다리스가 마을에 불만을 품었다는 이유로 쳐들어오며, 이것을 잡을때마다 50 미네랄 추가, 다 잡으면 시상식이 펼쳐진다.
또한, 적 부대는 악몽이었던 고스트부대가 끝이었지만 2편에서는 그 뒤에 골리앗 부대도 추가 되었다. 사미르 듀란의 데미지는 200에서 160으로 떨어졌지만, 그 데미지는 골리앗이 그대로 계승하면서 더 어려워졌다. 전작의 고스트는 플레이어들 유닛이 대부분 대형이라 데미지를 반감시킬수 있었던것과 달리 골리앗은 그렇지 않아서 더 쌔다. 오히려 공중 공격이 2회 판정이라 공중은 전작보다 데미지를 더 많이 받는다.
시상식의 내용도 전작과 달라졌다. 시상식은 5레벨 알다리스, 11레벨 시민, 13레벨 리버 이후에 한 번씩 나온다. 5레벨 이후에 나오는 시상식은 한 번도 죽지 않음(300원), 이장{페닉스} 곁에 있는 사람, 300킬 이상, 돈이 가장 없는 사람, 적군을 포함해 가장 킬 수가 낮은 사람 순이다. 그런데 만약 빨강의 유닛을 하나라도 죽였다면[4] 갑자기 벌칙도 있다면서 해당 유저를 5시로 보내버린다! 이곳은 공 400짜리 닥템 영웅과 공 9999 터렛이 득실거려서 살아남을수가 없다.(애초에 죽지 않으면 빠져나가지도 못한다) 다만 이후에 나오는 상금 이벤트는 시상식이라 보기엔 좀 애매한데 11, 13레벨은 시상식이 아니라 각각 커맨드, 크리터를 제거해야한다. 11레벨은 빨강의 커맨드를 부셔야하고, 13레벨은 적 스폰지점에 나오는 크리터를 잡아야한다. 커맨드를 부순 사람은 500원을 먹고 다른 사람들은 300원을 먹는다. 그러나 크리터는 그걸 잡는다고 무작정 돈을 주는게 아니고 랜덤이라 결국 한 명만 먹게 된다...
[1] 벌처->시즈탱크에서 갑자기 레이스로 전직함으로서 그동안 해놨던 업그레이드가 무용지물이 되는 상황이 발생하니 가급적 업그레이드는 필요한 만큼만 하는 편이 좋다. 이 문서에는 모든 플레이어들의 진화체 유닛들이 적혀있다.[2] 1.5버전에서는 아크튜러스 멩스크.[3] 탱크는 초반에는 사용하지 않고, 방어선이 쭉 밀렸을때 1시부분의 건물이 활성화되면서 탱크를 생산하기 시작한다.[4] 스톰, 스플 포함이다. 그래서 보통 초반에 스톰으로 킬을 먹어야하는 주황이 자주 끌려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