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작의 역
여기서는 마작의 역役, 혹은 족보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소개하지 않은 로컬룰도 다수 있으며, 룰에 따라 같은 역이라도 점수나 형식이 다른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일일히 다 소개하지는 않는다. 또한 항목 외에 로컬룰을 작성할때는 가급적 로컬 역에 적거나 이런 로컬 룰이 있다는 부분을 전제로 작성하여 공식적인 룰을 침범하지 않도록 작성해 주시기를 바라며 작성에 유의해주시길 당부드린다.
점수계산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자세한건 마작/점수 계산 참조
또 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도 룰에 따라 역이 하나도 없거나 혹은 유사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게임을 끝낼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많고 귀찮지만 역은 반드시 외워두어야 한다. 한번에 다 외우려고 하지 말고 자주 쓰는 역부터 차근차근 외워나가자.
1. 리치마작/판(翻)[2] 수에 따른 역 설명
일본마작의 경우, 역마다 판(翻,일본에서는 '한'이라고 읽는다) 수가 있는데 일단 역이 있으면, 즉 판수가 1판 이상이기만 하면 몇 판이든 날 수 있다.
여기선 '''일본마작연맹'''의 '''공식룰'''을 기준으로 한다.
양이 많으므로 판수별로 설명 페이지를 만들었으니 해당 항목 참조.
마작의 역별 출현 확률은 여기에서 확인.
코나미의 마작 파이트 클럽에서 2003년까지 집계한 역 발생 횟수 집계표. 오래된 자료긴 하지만 집계치가 주 많으므로 (리치만 거의 5천만 회) 통계적 확률을 따지는데 참고할 만하다.[3] 참고로 이 게임이 가동한 2003년 시점에서 구련보등은 만즈로 만든 구련보등만 인정했으며[4] 시리즈 전체에서 인화, 대차륜, 팔연장을 역만으로 인정한다.
일반역 역만
2. 국표마작/점수에 따른 역 설명
중국 국표마작의 경우, 역의 점수가 반드시 '''8점 이상'''이어야만 날 수 있으며, 역의 점수가 8점 미만일 경우 역을 완성시킬 수 없다. 또한 화패에 의한 점수는 추가점수로 치므로 이걸로 8점 기준을 채울 수는 없다.
그러나 역의 점수가 '''0점'''일 경우, 무번화란 8점역이 자동으로 주어지므로 오히려 역을 완성시킬 수 있다.
물론 이건 다시말해 국표마작에 존재하는 다른 모든 '''79개'''의 역들[5] 중에서 어느 하나에도 걸리지 않는단 소리니 오히려 작정하고 만들기 어렵다(...).
역의 종류가 워낙 많아서 외우기 어려우니, 점수별로 외운다기보단 비슷한 특성을 가진 역끼리 묶어서 외우는 것이 좋다. 특히 몇몇 역끼리는 상하관계가 있어서 이걸 중심으로 암기해볼 만하다.
- 특정한 요소가 부분적으로 포함: 취안다이야오주(4점), 취안다이우(16점)
- 특정한 요소로만 구성: 투이부다오(8점), 다위우, 샤오위우(각 12점), 취안솽커, 취안샤오, 취안중, 취안다(24점), 훈야오주(32점), 칭야오주, 쯔이서(각 64점), 루이서(88점)
- 일색(한 종류만의 수패): 훈이서(6점), 칭이서(24점)
- 동순(같은 숫자의 순쯔): 산서산퉁순(8점), 이서산퉁순(24점), 이서스퉁순(48점)
- 보고(연속된 복수의 순쯔): 산서산부가오(6점), 이서산부가오(16점), 이서스부가오(32점)
- 절고(연속된 복수의 커쯔): 산서산제가오(8점), 이서산제가오(24점), 이서스제가오(48점)
- 용(1~9의 이어진 세 순쯔; 통관): 화룽(8점), 쭈허룽(12점), 칭룽(16점)
- 쌍룡회: 산서솽룽후이(16점), 이서솽룽후이(64점)
- 요구패의 커쯔: 야오주커(1점), 젠커, 취안펑커, 먼펑커(각 2점), 솽젠커(6점), 산펑커(12점), 샤오스시, 샤오산위안(각 64점), 다이스시, 다이산위안(각 88점)
- 기타: 우먼치(6점), 주롄바오덩(88점)
3. 한국마작/점수에 따른 번 설명
한국마작의 경우, 역에도 '''기본 족보'''와 '''부가 족보'''로 나뉘어지는데, 일단 나기 위해서는 '''기본 족보만 2번 이상'''이여야 한다. 부가 족보는 어디까지나 보너스 개념.
거기다가 근본적으로 대부분의 역들은 일본 마작에서 따왔지만, 상당수의 기본적인 족보들에 '''여러모로 괴랄한''' 조건들이 추가됐기 때문에 일본마작에 익숙해진 사람들에게 오히려 접하기가 더욱 까다롭다.
[1] 확장한자 중 하나인 '날 번'(飜과 동자) 자인데, 마작용어는 대부분 중국어 발음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중국어 발음인 판(fān, faan)으로 읽는 게 원칙이다. 일본에서도 음독으로는 '혼'이지만, 중국발음을 따라 '한'이라 읽는다.[2] 확장한자 중 하나인 '날 번'(飜과 동자) 자인데, 마작용어는 대부분 중국어 발음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중국어 발음인 판(fān, faan)으로 읽는 게 원칙이다. 일본에서도 음독으로는 '혼'이지만, 중국발음을 따라 '한'이라 읽는다.[3] 실제로 산깡즈가 어지간한 역만보다 더 안나온다는 걸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4] 핑즈, 소즈로 만든 구련보등은 2006년에 가동한 5부터 인정.[5] 1점역 13종, 2점역 10종, 4점역 4종, 6점역 6종, 8점역(무번화 포함) 10종, 12점역 5종, 16점역 6종, 24점역 9종, 32점역 3종, 48점역 2종, 64점역 6종, 88점역 7종으로 총 81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