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작 파이트 클럽

 


1. 개요
2. 기체
2.1. 센터 유닛
2.2. 클라이언트
3. 플레이 요금
4. 모드
4.1. 이벤트
4.2. 대회
4.2.1. GIII
4.2.2. GII
4.2.3. GI
4.3. 인게임 인터페이스
5. 룰
5.1. 특수 룰
6. 시리즈 일람
6.1. 아케이드
6.2. 가정용 및 모바일
7. 참전 프로 작사
8. 특징
9. 링크


1. 개요


麻雀格闘倶楽部(マージャンファイトクラブ)[1]
MAH-JONG FIGHT CLUB
코나미에서 개발, 서비스 중인 일본프로마작연맹 공인[2] 리치마작 게임 시리즈. 세가의 MJ와 함께 일본에서 가동 중인 단 둘뿐인 아케이드 마작 게임이다. 2020년 기준 아케이드 최신작은 질풍(疾風). 초대 프로듀서는 오키타 카츠노리(沖田勝典)[3]
사실 이 작품 출시 이전까지만 해도 일본의 게임센터에 설치된 아케이드 마작 게임은 대부분 탈의마작 게임이었으며, 이러한 게임의 게임 방식은 상당수가 2인 마작이었기 때문에 "진짜 마작"을 하는 것과는 거리가 상당히 멀었었다. 탈의요소라는 특성 때문에 거의 필수로 나오는 '''이카사마'''는 덤[4]. 당연히 이러한 게임은 미성년자가 즐길 수 없기 때문에 접근성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았다.
아케이드 탈의 마작은 JAMMA의 심의 강화 등으로 2000년대에 들어서 쇠퇴하던 상황이었는데, 2002년에 등장한 이 게임과 MJ의 등장은 이 쇠퇴일변도의 분위기를 확인사살시켜주는 결과를 낳았다. 마작 파이트 클럽은 당시로써는 획기적에 가까웠던 터치패널 조작[5], 현실 마작에 가까운 룰, 단위 시스템, 프로 작사와의 대전 및 전국 유저와의 온라인 대전, 결정적으로 업주 입장에서 최고의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다는 점[6]이 장점으로 다가오며 인기를 끌었고, 현재는 MJ와 함께 아케이드 마작 게임의 양대산맥 중 하나를 당당히 꿰차고 있다.
대부분이 꼽는 전성기 시절은 3~5. 저 시기에는 한 곳에 수십대를 가동해도 꽉꽉 사람들이 찰 정도의 인기였었으나, 이후 인기가 줄어들고 오락실 시장의 불황은 이 작품도 비껴가지 못하면서 가동점포 수가 많이 내려갔다.
한국에서는 한자 그대로 마작격투구락부로 읽거나 마작 파이트 클럽으로 읽는데, 일본에서는 정식 발음을 줄여서 MFC로 쓴다.
MJ와는 다르게 해외에서도 정식 발매된[7] 아케이드 마작 게임이다. 현재 홍콩, 마카오에서 서비스 중[8].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에서도 KAC 2011부터 최신 대회까지 쭉 개근 중. KAC에서 BEMANI 시리즈 이외에 개근한 유일한 게임이다.
e-amusement 일본 계정이 있다면 코나스테를 통하여 PC나 스마트폰에서도 아케이드 버전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뉴 캐비넷 모델을 기반으로 한 버전인지라 코나스테 버전에서는 하이그레이드 모델 전용 기능은 이용할 수 없고, 몇몇 기능의 제약도 있다.
마작 프로리그인 M리그에 참여했을 때 코나미에서도 참여했는데 팀 명칭으로 이 게임의 명칭을 그대로 가져다 사용했다.

2. 기체


기체는 센터 유닛 기체와 클라이언트 기체로 나뉜다. 아이돌 마스터삼국지대전, 퀴즈 매직 아카데미 등에서 사용된 기기 구조이다. 다만 하이그레이드 모델은 센터 유닛을 사용하지 않는다.

2.1. 센터 유닛


  • 센터 모니터
초대작부터 아룡전생까지 사용된 센터 유닛 기체.
ultimate 버전부터 도입된 신규 기체.

2.2. 클라이언트


  • 구 기체 (스탠다드 캐비넷/스탠다드 모델)
초대작부터 사용되어 온 기체로 ultimate version ~인연의 장~시기에 모니터를 와이드로 교체하고 하술할 뉴 캐비넷의 기능을 추가한 모델을 출시하고 스탠다드 모델로 명명했다.
  • 레버 기체
출격! 전국혁명(出撃!戦国革命)의 기체를 개조한 버전. 1.5와 2에서만 사용했다.
  • 뉴 캐비넷 / 뉴 캐비넷 기능 탑재 모델
MFC 6부터 사용된 기체. 1360x768의 해상도를 사용하지만 게임 화면은 1024x768이며 나머지 화면은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이 모델은 종류가 2개인데 B케이스와 C케이스로 나뉘어져 있는데 C케이스는 B케이스의 염가판.
  • 하이그레이드 모델
2017년 9월에 출시된 신규 기체. 32인치 모니터에 1080p 해상도를 지원한다. 이 후 이 기체는 퀴즈 매직 아카데미 휘망의 각에 첫 등장한 새 기체에 유용되었다.

3. 플레이 요금


  • 입장료
입장료는 크레딧과 PASELI 두가지 방식으로 지불 가능하다. PASELI에서도 스탠다드 플레이(코나스테 기준 105엔)와 프리미엄 플레이(코나스테 기준 147엔)로 나뉘어져 있다.
  • 플레이 방식
라이프제(ライフ制)와 매입(買い取り)을 선택해서 플레이할 수 있다. 동풍/3인 마작에서 제한시간이 경과되면 라이프제로 강제된다.
  • 라이프제
특정 라이프 점수[9]를 가지고 시작하며 자신이 쏘이거나 상대방이 츠모화료해서 점수가 나가면 감점량만큼 라이프가 줄어든다. 유국시 노텐 벌점, 리치 공탁점은 감산량에 포함하지 않는다. 대국 내에서 라이프 회복 수단은 자신의 라이프가 0이 되어서 추가 요금을 지불하여 회복하는 것 이외에는 일절 없다. 라이프가 0이 되었을 때 컨티뉴하지 않았다면 도중 종료로 간주하여 패널티를 받는다.
아카도라 및 뒷도라/깡도라, 일발이 없는 경기룰 모드나 진행 속도가 빠르고 타점 화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동풍전에서는 라이프 제도가 유리하다.
  • 매입
요금을 대국 시작 이전에 지불하여 라이프 걱정 없이 대국 1판을 즐길 수 있다.
타점 화력이 강한 3인 마작이나 8순(+α)을 돌아야 해서 실점할 가능성이 동풍전보다 많아지는 반장전에서는 매입 제도가 유리하다.
  • 컨티뉴 화면
컨티뉴 화면의 경우, 순위점 반영 이후의 점수에 따라 컨티뉴 요금이 변화하며 컨티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우측의 종료 버튼을 눌러서 컨티뉴 화면을 건너뛰고 플레이를 종료할 수도 있다. 성적이 나쁠 경우는 시작 요금의 2배 수준의 요금을 내야 컨티뉴가 가능하지만, 좋은 성적을 냈을 경우 추가 요금 지불 없이 바로 추가 플레이를 할 수 있다.
  • 휴게(休憩)
말 그대로 휴식 타임. 총 300초간 휴식할 수 있다. 잠시 화장실 타임으로 쓰거나 컨티뉴하기 위한 PASELI 잔고가 없으면 그 휴식 시간 사이에 결제해서 보충하고 재시작하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 타이머가 0이 되면 자동으로 게임 종료.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화면을 터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게임을 재개할 수 있다.

4. 모드


  • 마작 플래닛 (麻雀プラネット)
ZERO에 추가. 행성 탐험이 컨셉인 1인용 오프라인 모드. 프리미엄 플레이를 통해 할 수 있는 여타 컨텐츠 등은 일절 플레이할 수 없기 때문에 스탠다드 플레이로 하는게 훨씬 낫다. 전부 4인 동풍전. 컨티뉴의 경우는 NEXT GAME이 없고 고정 요금이다. BEMANI SUMMER DIARY 2015에서 나온 팔패마작도 여기에서 플레이 가능하다.
팔패마작을 할 수 있는 ZERO 행성을 제외한[10] 여타 행성에서는 여타 모드와 같이 오브 및 경험치의 이동이 있다.
아카기, 북두의 권 등 콜라보레이션 이벤트 개최 중에 기간한정 행성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 전국단위별전 (全国段位別戦)
동풍전 / 반장전 / 3인 마작을 할 수 있으며 이 곳에서 전국의 유저들과 대전할 수 있다.
  • 마작 파이트 클럽 그랜드 리그 (麻雀格闘倶楽部グランドリーグ)
단위가 2단 이상일 경우에 해금. S리그에서 D리그까지 있다. 규정 대국 수는 리그의 레벨에 따라 달라진다.
  • 전국 3인 마작 서바이벌 리그 (全国三麻サバイバルリーグ)
동풍/반장과는 다르게, 3인 마작 리그의 경우는 총 3스테이지의 서바이벌 방식의 리그로 행해진다. 생존 조건은 아래와 같다.
  • 1 스테이지 : 대국 종료 후 순위점 변동 결과 20,000점 이상. 이론상 3위라도 23,000점 이상일 경우[11] 전원 생존이 가능하다. 물론 이론상 그렇단거고 평균 화력이 높은 3인 마작의 특성상 실제로 해보면 높은 확률로 한두명이 떨어진다.
  • 2 스테이지 : 대국 종료 후 순위점 변동 결과 30,000점 이상. 여기선 역으로 이론상 1위라도 26,900점 이하의 결과를 낸다면[12] 전원 탈락의 가능성이 생긴다.
  • 파이널 스테이지 : 1위로 종료.
플레이어가 스테이지 돌파 조건에 미달할 경우, 플레이어 측에 DANGER 표시와 해골 표시가 동시에 발동한다.
7과 아룡전생, u.v.에서는 이 서바이벌 리그에서만 별도의 오라스 BGM이 존재한다.
  • 단위인정 (段位認定)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일본프로마작연맹 공인의 단위인정 시험에 도전할 수 있다. 수험 및 합격 조건은 아래와 같다.
  • 동풍 리그와 반장 리그에서만 수험자격이 있으며 3인 마작 서바이벌 리그에서는 받을 수 없다.
  • 수험 도중에 합격 조건을 충족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잔여 대국수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불합격 조치된다.
최대 발급 가능한 단수는 5단까지. 초단 이상의 코나미 ID 보유자의 경우는 연맹의 단위면허장을 발급받을 수 있다. 물론 발급료는 유료. 수험 조건 및 합격 조건은 아래의 표와 같다.
수험 단위
필요 MFC 최소 단위
필요 소속 리그 및 점수
합격 조건
필요 대국수
동풍/반장
면허장 발급료[13]
5급
초단
D 이상
평균 점봉수지 0점 이상 / 평균 순위 2.55위 이내
10/6
-
4급
초단
C 이상
평균 점봉수지 0점 이상 / 평균 순위 2.50위 이내
10/6
-
3급
초단
C 이상
평균 점봉수지 0점 이상 / 평균 순위 2.45위 이내
10/6
-
2급
초단
B 이상
평균 점봉수지 1000점 이상 / 평균 순위 2.40위 이내
10/6
-
1급
초단
B 이상
평균 점봉수지 2000점 이상 / 평균 순위 2.35위 이내
15/9
-
초단
3단
A 이상
평균 점봉수지 3000점 이상 / 평균 순위 2.30위 이내
20/12
3,143엔
2단
6단
A 이상
평균 점봉수지 4000점 이상 / 평균 순위 2.20위 이내
25/15
5,238엔
3단
황룡
S 이상
평균 점봉수지 5000점 이상 / 평균 순위 2.15위 이내
30/18
8,382엔
4단
황룡
S 이상 +
전기 리그 스코어 동풍 37.24/반장 39.71 이상
평균 점봉수지 5000점 이상 / 평균 순위 2.12위 이내
50/30
12,571엔
5단
황룡
S 이상 +
전기 리그 스코어 동풍 40.33/반장 44.13 이상
평균 점봉수지 7000점 이상 / 평균 순위 2.10위 이내
50/30
20,952엔
  • 마작 파이트 클럽 경기 룰 모드 (麻雀格闘倶楽部 競技ルール卓)
4인 반장전으로 여타 모드와는 달리 연맹의 A경기룰을 따른다. 매월 5일, 15일, 25일에 개최한다. 이 모드에만 들어가 있는 일종의 레이팅 시스템인 작지수(雀指数)가 있다.
  • 진황룡투기장 (真黄龍闘技場)
황룡과 진룡 유저들끼리 매칭해서 플레이하는 모드. 매월 10일 단위에 1일 꼴로 개최한다. 10일은 동풍전, 20일은 반장전, 30일(2월의 경우는 말일)은 3인 마작.
  • 점내 대전
  • 프로 CPU 대전
  • 온라인 모드의 공통점은 정기점검 시작 직전의 시간대(대략 새벽 4시 2~30분 전후) 이후에는 컨티뉴를 할 수 없다. 설령 NEXT GAME을 할 수 있는 점수를 벌어와도 저 시간대에 걸리면 얄짤없이 컨티뉴 불가능. 이 시간대 즈음 되면 인 게임 좌상단에도 곧 정기점검이라며 컨티뉴 불가 안내 문구가 뜬다.
  • 온라인 모드에서 유저들과 매칭이 안 될 경우에는 CPU가 대신 들어오며 대전예약이 걸린다. 매칭이 걸리면 바로 CPU와의 대전이 중지되고 유저와 온라인 매칭 성립. 물론 이 때에도 유저가 몇명 비어있는 상태로 시간이 끝나면 CPU가 대신 들어온다.

4.1. 이벤트


일정 확률로 대국 중에 이벤트가 발생한다. 복수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 오브 2배전 - 오브의 이동량이 2배가 된다. 진룡 오브는 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오브 싹쓸이전 (オーブ総取り戦) - 1위가 2위 이하 대전자의 오브를 모두 얻어간다. 동풍전은 3인당 1개씩 3개, 반장전은 3인당 2개씩 6개, 3인 마작은 2인당 1개씩 2개. 경기 룰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대회 개최를 통해 발동될 경우 오브 2배전으로 대체된다. 진룡 오브는 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지역공헌 포인트 or 클럽 포인트 2배전 - 지역공헌 포인트 or 클럽 포인트의 증감량이 2배가 된다. 이 중 클럽 포인트 2배전은 전국 3인 마작 서바이벌 리그 파이널 스테이지에서 필수로 발생한다.
  • 리그 스코어 2배전 - 리그 스코어의 증감량이 2배가 된다. 전국 3인 마작 서바이벌 리그 파이널 스테이지 전용으로 필수로 발생한다.

4.2. 대회


특정 조건을 맞추게 되면 대회와, 기간 한정으로 열린 대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여기서는 전자의 경우를 서술한다.

4.2.1. GIII


9시, 12시, 15시, 18시, 21시, 24시, 27시 이후로 30분 이내에 시작한 첫 대국에 발생한다. 모든 모드에서 발생하나, 초단 이상이 되어야 발생한다. FIGHT CLUB VIP에서 100vip를 지불하여 개최할 수 있으나 지정해서 열 수 없고 랜덤으로 하나 열린다.
JEWELRY PRIZE(보석), ZODIAC PRIZE(성좌), STAR PRIZE(별) 각각 12개씩 총 36개의 상이 존재한다. 대회가 발생한 대국에서 1등을 획득하면 트로피 + 카치보시 1개를 특전으로 획득한다.

4.2.2. GII


여기서부터는 발생조건이 제각기 달라진다.
  • ○○왕 결정전
    • 조건 : 플레이어 4명 전원이 같은 속성일 경우 일정 확률로 발생한다. 3인 마작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진 ○○왕 결정전
    • 조건 : 플레이어 4명 전원이 결정전을 획득했을 경우 일정 확률로 발생한다. 3인 마작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발동 이벤트 : 오브 2배전
  • 사신왕 결정전 (四神王決定戦)
    • 조건 : 플레이어 4명 전원이 다른 속성일 경우 일정 확률로 발생한다. 3인 마작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진 사신왕 결정전 (真四神王決定戦)
    • 조건 : 플레이어 4명 전원이 사신왕결정전을 획득했을 경우 일정 확률로 발생한다. 3인 마작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발동 이벤트 : 오브 2배전
  • 행복상 (幸福賞)
    • 조건 : 매우 낮은 확률로 발생 or FIGHT CLUB VIP에서 5000vip를 지불하면 발생한다. 아래의 조건의 경우엔 발생하지 않는다.
      • 3인 마작
      • 상대에 초단 미만이나 CPU가 끼어있을 경우
      • SUPER 드래곤 JACKPOT이 발생중인 경우
    • 발동 이벤트 : 오브 2배전 + 오브 싹쓸이전 (경기 룰은 오브 2배전만 발동)
  • 오연상 (五連賞)
    • 조건 : 어느 모드든 4연승을 했을 경우 다음 대국에서 반드시 발생한다.
  • WINNERS상
    • 조건 : 플레이어 4명 전원이 이전 대국에서 1등을 했을 경우 반드시 발생한다. 3인 마작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발동 이벤트 : 오브 싹쓸이전 (경기 룰은 오브 2배전 발동)
  • 역직상 (役職賞)
    • 조건 : 플레이어 4명 전원이 지역공헌도 랭킹 100위 이내에 들었을 경우 일정 확률로 발생한다. 3인 마작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발동 이벤트 : 지역공헌도 포인트 2배전
  • 황룡 랭커전 (黄龍ランカー戦)
    • 조건 : 플레이어 4명 전원이 전국 총합 황룡 랭킹 1000위 이내에 들었을 경우 반드시 발생한다. 3인 마작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발동 이벤트 : 오브 2배전
  • 점포대표전 (店舗代表戦)
    • 조건 : 플레이어 4명 전원이 클럽 스코어 랭킹 10위 이내에 들었을 경우 반드시 발생한다. 3인 마작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발동 이벤트 : 클럽 스코어 2배전
  • 패자부활전 (敗者復活戦)
    • 조건 : 플레이어 4명 전원이 이전 대국에서 4등을 했을 경우 반드시 발생한다. 3인 마작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 진생환전 (真生還戦)
    • 조건 : 전국 3인 마작 서바이벌 리그 전용. 플레이어 전원이 1, 2스테이지의 상대를 전원 탈락시키고 파이널 스테이지에 올라왔을 때 반드시 발생한다.
    • 발동 이벤트 : 오브 싹쓸이전

4.2.3. GI


GII, GIII와는 달리 이것은 반드시 엔트리 등록이 필요하다.
  • 드래곤배 (ドラゴン杯)
  • MFC배 (MFC杯)
  • 대보주배 (大宝珠杯)
  • 황제배 (皇帝杯)
  • 춘하추동배 (春夏秋冬杯)
  • 점포호걸배 (店舗豪傑杯)
  • 풍신배 (風神杯)
  • 뇌신배 (雷神杯)

4.3. 인게임 인터페이스


모든 게임 진행을 터치스크린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버튼이 있다.
  • 종료 (終了)
도중 종료. 이렇게 도중 종료하면 0점 및 최하위 처리된다. 성적으로는 기권으로 표시되며 이후 기타 플레이어의 화면상에는 CPU로 표시되며 CPU가 대신 치게 된다.
  • 개인정보 (個人情報)
플레이어 자신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기능. 매칭 시간 동안에만 열람 가능하며 매칭 시간이 다 되거나 매칭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메인화면으로 이동.
  • 대전자 (対戦者)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출연. 대전자의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대국 시작 후에는 개인정보 버튼에서 이 버튼으로 바뀐다.
  • 룰 (ルール)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출연. 해당 모드의 룰을 볼 수 있다.
  • 프로 작사 (プロ雀士)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출연. 현재 시간대에 참전 중인 프로 작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복패 (伏牌)
말 그대로 패를 엎는다. 그 상태에서 다시 그 버튼을 누르면 원래대로 돌아온다. 의외로 초대작부터 이어진 기능. 원래는 인터페이스 오른쪽에 있었으나 ZERO에서 버튼 부분을 정비하면서 장고 버튼을 울기 없음 버튼 바로 오른쪽으로 옮기고 이 버튼이 기존의 장고 버튼의 위치로 옮겨졌다.
  • 장고 (長考)
1국당 1번씩(초보자 모드에서는 3번씩) 주어진다.
  • 인게임에서 주로 활용하는 버튼들은 리치 / 치 / 퐁 / 캉 / 화료 (アガリ) / 넘기기 (次へ) / 울기 없음 (鳴無) / 장고 / 복패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리치 ~ 넘기기까지는 과거엔 한자가 메인으로 쓰여져 있었고 카타카나는 한자 상단부에 작게 표기되는 방식이었으나 정상의 진 이후로는 전부 카타카나로 표기되었다.

5. 룰


  • 시작점은 20000점(동풍)/25000점(반장)
  • 아토즈케(後付け) 및 쿠이탕 전부 가능(아리아리).
  • 쿠이카에 불가[14].
  • 더블 론, 트리플 론 가능.
  • 책임지불은 대삼원, 대사희, 사공자에 한정 적용.
  • 도라는 아카도라[15], 우라도라, 캉도라, 캉우라도라 전부 존재.
  • 연장의 경우는 친이 화료했을 때와 구종구패의 경우에 한정. 친이 텐파이를 한 유국의 경우에도 친은 넘어간다.
  • 사가리치는 유국되지 않고 그대로 속행.
  • 스후렌다, 스깡나가레는 유국되며 친이 넘어간다.
  • 유국만관 인정.
  • 1000점 미만은 리치 불가.
  • 절상만관은 불가.
  • 국사무쌍은 안깡도 창깡 가능.
  • 국사무쌍 13면은 후리텐으로도 가능.
  • 로컬 역만은 대차륜[16], 팔연장, 인화만 적용.
  • 구련보등은 만쯔, 핑쯔, 소즈로도 가능하다. 단 MFC4와 그 이전 시리즈에는 만쯔로만 가능.
  • 국사무쌍 13면, 사암각 단기, 순정 구련보등[17], 대사희는 더블 역만
  • 오라스에서 유국되었을 때 남은 공탁점수는 1등에게 주어지거나 그러지 않고 소멸한다.
  • 대국 도중에 종료 버튼을 눌러 도중에 종료하거나 라이프가 전부 소모되었을 때 컨티뉴를 하지 않았을 시 0점 및 최하위 처리된다.
  • 대국 종료 후 순위점 변동은 4위가 1위에게 5000점을 헌납한다.
이하는 3인 마작에서의 룰.
  • 시작점은 25000점.
  • 만쯔 2~8까지 미사용.
  • 치, 삼색동순 불가.
  • 사가리치, 스후렌다 없음.
  • 북풍패는 북도라가 아닌 객풍패로 존재.
  • 츠모로 화료할 경우 친자를 불문하고 모두 절반씩 지불한다.
  • 대국 종료 후 순위점 변동은 3위가 1위에게 3000점을 헌납한다.
이하는 마작 파이트 클럽 경기 룰 모드의 룰.
  • 시작점은 30000점.
  • 일발, 유국만관 없음.
  • 뒷도라, 캉도라, 캉뒷도라, 아카도라 미사용. 처음 왕패에 표시된 도라만 쓰인다.
  • 사가리치, 스후렌다, 스깡나가레는 친의 연장으로 유국.
  • 대국 종료 후 순위점 변동은 이하와 같다.
    • 1명이 0점 이상 : 1위 +12000점 / 2위 -1000점 / 3위 -3000점 / 4위 -8000점
    • 2명이 0점 이상 : 1위 +8000점 / 2위 +4000점 / 3위 +4000점 / 4위 -8000점
    • 3명이 0점 이상 : 1위 +8000점 / 2위 +3000점 / 3위 +1000점 / 4위 -12000점
    • 전원 동점 : 1위 +8000점 / 2위 +4000점 / 3위 -3000점 / 4위 -8000점

5.1. 특수 룰


  • 불꽃 리치 (炎のリーチ卓)
기간 한정 이벤트. 4인 동풍전. 별다른 룰의 차이점은 없지만, 리치할 때 5000점을 걸고 시작하며 판수도 5판으로 올라간다.[18] 리치봉의 형태도 일반적인 1000점 점봉이 아닌 5000점 점봉 하나를 내건다. 단 더블 리치라고 10판으로 늘어나는 건 밸런스 붕괴이니 당연히 아니고 1판만 더해서 6판. 물론 5000점 미만이면 리치 불가. 한 대국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리치 하나만으로도 기본 만관을 낼 수 있기에 여러 역과 잘 조합하거나 도라만 잘 붙으면 13판 넘는 역만도 내기 쉬워질 수도 있기에 화력에서는 확실하게 장점이 있지만 공식에서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특수 룰이라 언급했듯 상대방이 똑같이 불꽃 리치를 맞불을 놓아서 고화력 시도를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베타오리를 하거나 부로 공세로 손쉬운 역을 완성해서 5000점을 빼가는 전략을 쓸 수도 있으며, 결정적으로 유국이라도 되면 기회는 기회대로 날아가고 점봉도 공탁되기 때문에 확실히 실패했을 때의 리스크가 상당하다.
  • 슈퍼 도라 (超光ドラ卓)
기간 한정 이벤트. 4인 동풍전. 남은 패산의 패 수가 40, 30, 20, 10장일때마다 도라 표시 패가 1장씩 늘어난다. 통상 도라도 유효하지만 또 다른 점은 도라 5개를 넘겨도 유국되지 않고 왕패 표시수가 늘어나면서 도라도 함께 늘어난다.
왕패는 도라패 18개(앞도라 뒷도라 각각 9개씩), 깡 대비용 패 4개를 합해 총 22개이며 이렇다보니 통상 4인 마작에 비해 패가 8개 줄어든 상태에서 시작하게 된다.
  • EX 반장전 (EX半荘卓)
기간 한정 이벤트. 황룡 Lv.1 이상이여야만 참여가 가능하며 황룡에서 내려가면 컨티뉴가 안된다.
참여는 가지고 있는 시간을 얼마나 가지고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하술할 시스템 때문에 라이프제 없이 끝까지 플레이 할 수 있는 매입 제도로 고정이다.
여타 반장전과는 다르게 속기마작형 시간제를 도입한다. 1국 당 제한시간이 주어지며 1국 내에서 제한시간을 전부 소비하면 1초 내외로 타패 및 울기를 시전해야 한다. 누계 소비 시간도 계산한다.
순위점은 기본 점수인 25,000점 이상이냐 이하냐에 따라 틀려진다. 괄호는 황룡 오브 변동.
  • 25,000점 이상 1인 : 1위 +18,000점(+3), 2위 -2,000점, 3위 -4,000점(-1), 4위 -12,000점(-2)
  • 25,000점 이상 2인 : 1위 +12,000점(+2), 2위 +4,000점(+1), 3위 -4,000점(-1), 4위 -12,000점(-2)
  • 25,000점 이상 3인 : 1위 +12,000점(+2), 2위 +4,000점(+1), 3위 +2,000점, 4위 -18,000점(-3)
  • 전원 25,000점 이상 혹은 이하 : 변동 없음
컨티뉴 요금은 누계 소비 시간 + 점봉 수지(1,000점당 1초, 순위점 변동도 수지에 합산한다) = 총 결과의 초의 합산 결과가 어떻게 나왔느냐에 따라, 처음에 요금제를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하는 과거에 개최되었던 특수 룰. 현재는 개최되지 않는다.
  • 3인 마작 수패 (三麻数牌卓)
매월 3일 개최. 기존 3인 마작과 다른 점은 만쯔 2~8까지 전부 사용하되 삼원패와 풍패를 모두 뺀다. 따라서 풍패, 삼원패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역(챤타, 혼노두, 혼일색, 소/대삼원, 사희화, 국사무쌍, 자일색 등)은 당연히 사용할 수 없으며 녹일색은 쓸 수 있지만 발패 없이 완성해야 하기 때문에 안 그래도 어려운 난이도가 더욱 올라간다.
수패가 모두 모여있기 때문에 3인 마작임에도 치를 사용할 수 있고 삼색동순도 만들 수 있다.
  • 상가 오픈 (上家オープン卓)
매월 7일 개최. 4인 동풍전. 항상 자신의 상가의 손패를 볼 수 있지만 동시에 자신의 하가에게도 자신의 손패가 보여진다.
  • 박빙 (薄氷卓)
매월 13일 개최. 4인 반장전, 별다른 특징은 없으나, 점수를 13,000점만 들고 시작하기 때문에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룰이다.
  • 배패 오픈 (配牌オープン卓)
매월 17일 개최. 4인 동풍전. 대국 시작시 전원의 손패가 보여진 상태에서 시작한다. 다만 배패 이후에 가져온 패는 보여지지 않는다.
  • 빨리 버리기 (早切り卓)
매월 23일 개최. 4인 동풍전. 룰 변화는 없지만 빠른 타패속도를 요구한다. 리치 후의 속도, 안깡 및 소밍깡을 선택할 때의 속도는 카운트하지 않는다. 평균 타패속도가 최하위가 되면 오브를 잃는다.
  • 천리안 (千里眼卓)
매월 27일 개최. 4인 동풍전. 자신의 다음 차례의 오름패가 보이는 것 이외에는 다른 룰 변경은 없다.

6. 시리즈 일람



6.1. 아케이드


  • 마작 파이트 클럽 (2002.3)
당시 사용한 기판은 VIPER이며[19] 저장장치는 CompactFlash 512MB 2장. 후술할 마이너 업데이트 버전인 전국 온라인 대전 Ver. 때문에 가동 기간은 겨우 4개월 밖에 되지 않았다.
온라인 모드가 이때는 없었는데 당시 일본 오락실엔 인터넷 인프라가 전혀 조성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인프라를 만들기 위한 준비기간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참고로 이 작품부터 4까지는 BEMANI 시리즈의 연동 시스템이었던 ee'MALL과의 연동 대상에도 포함되었었다. 다만 포인트만 연동.
  • 마작 파이트 클럽 1.5 전국 온라인 대전 Ver. (2002.7.25)
코나미 최초의 e-amusement 대응 게임으로, 이 때부터 온라인 대전 기능이 탑재되었으며 12월에는 출격! 전국혁명[20]의 기체를 개조한 레버 기체가 발매. 사실상 저 작품을 구매했던 업주들을 위한 보상책으로 만들어진 키트로 차기작까지만 서포트 지원 대상이 된 대신에 이 기체를 소유한 업주들을 상대로 MFC3과 퀴즈 매직 아카데미를 싼 가격에 줬다고 한다.
황룡 오브 시스템이 추가된 것도 이 작품부터[21].
  • 마작 파이트 클럽 2 일본프로마작연맹 Ver. (2003.3.3)
프로단체 공인을 받은 첫 시리즈. 레버 기체 버전의 마지막 버전 업 대응 버전. 이 레버 기체에 한해 그라디우스 BGM을 들을 수 있는 커맨드가 있었으나 기존 기체에는 차기작에서야 추가되었다.
  • 마작 파이트 클럽 3 (2004.3.10)
기판을 VIPER에서 Windows XP 임베디드 기반의 PC 기판으로 교체했으며 해상도도 SD에서 XGA로 대폭 상향.
  • 마작 파이트 클럽 4 (2005.3.10)
드래곤 포인트, 약칭 DP 추가. DP 20만점 당 카치보시 1개로 변환되는 시스템.
  • 마작 파이트 클럽 5 (2006.3.23)
마그네틱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마지막 작품. 덤으로 이 때 3인 마작 모드와 사신 오브 차지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 마작 파이트 클럽 6 (2007.4.4)
기체를 새로 만들어서 출시했으며 이는 뉴 캐비넷 모델로 분류되어 있다. 덤으로 저장장치로 HDD로 교체하여 용량 및 퍼포먼스도 대폭 향상.
  • 마작 파이트 클럽 7 (2008.7.16)
초보자용 모드인 심플 모드가 추가되었지만 차기작까지만 들어갔다. AOU 2009에 나온 새 기체 버전의 마이너 체인지 버전인 7.77도 출시(2009.2.24).
  • 마작 파이트 클럽 아룡전생 (我龍転生) (2009.11.18)
시리즈 넘버링을 없앤 작품. 진룡 계급이 추가되었으며 황룡 레벨의 최대치가 999로 올라갔다(이전까지는 99가 최대). 이때부터 PASELI가 대응.
  • 마작 파이트 클럽 ultimate version (2010.11.17)
이 작품부터 e-amusement Participation이 대응되며, 카드 데이터도 터치식으로 바뀌어서 휴대폰으로 e-AMUSEMENT PASS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마작 파이트 클럽 ultimate version ~인연의 장 (絆の章)~ (2011.8.4)
위의 ultimate version의 마이너 업데이트.
  • 마작 파이트 클럽 NEXT (2012.12.19)
  • 마작 파이트 클럽 정상의 진 (頂の陣) (2013.12.18)
코나스테 (당시 e-AMUSEMENT CLOUD)가 최초로 대응된 작품. 황룡 각성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 마작 파이트 클럽 정상의 진 Ver.2 (2014.3.6)
위 작품의 마이너 업데이트. 무인판 정상의 진 BGM의 평가가 별로 좋지 못해서 BGM을 새것으로 싹 다 갈아치웠다.
  • 마작 파이트 클럽 채색의 꽃 (彩の華) (2014.12.17)
리플렉 비트 콜레트처럼 사계절을 모티브로 한 인터페이스가 특징으로, 인터페이스만 다른 게 아니라 BGM도 각 계절마다 다르다. 리치 BGM만 모든 계절 버전 공통으로 동일하다.
  • 마작 파이트 클럽 ZERO (2016.2.24)
ZERO FINISH라는 이펙트가 추가되었는데, 화료한 사람이 만관 이상으로 화료해[22] 1위로 대국이 끝나는 것이 확정될 때[23] 발동한다. 문제는 이 이펙트가 보통 역만 이펙트보다 더 화려하다는 점과 이 때문에 하드웨어의 성능이 딸리는 기체에서 저게 뜨면 안 그래도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야기되었던 하드웨어의 과부하 및 프레임 드랍을 더욱 심화시켰다고....
이 외에도 마작 초보자를 위한 모드인 마작 플래닛(麻雀プラネット) 모드가 추가되었다. CPU와 마작을 치면서(4인 동풍전 고정) 여러 행성을 탐사하는 오프라인 플레이 모드.
  • 마작 파이트 클럽 호화현란 (豪華絢爛) (2017.8.8)
가동 초반부부터 하드웨어의 과부하로 렉이 빈발하는 바람에 일부 연출이 비공개되기도 했다. 2017년 9월 13일에 기존의 기체들을 대체하기 위해 새 기체인 하이그레이드 모델을 출시했다.
  • 마작 파이트 클럽 GRAND MASTER (2018.12.17)
기존의 리그 모드를 재편하여 현행작에 시행중인 그랜드 리그로 개시하였다. 랜덤 재생 및 BGM 정지 기능이 추가.
  • 마작 파이트 클럽 질풍 (疾風) (2020.7.28)
현행작. 소프트웨어 레벨로 사양을 최적화 및 일부 연출을 폐지 및 간략화하면서 종전부터 문제가 되어왔던 렉 문제를 상당히 개선했다.

6.2. 가정용 및 모바일


  • 마작 파이트 클럽 (2004.12.12/PSP)
  • 마작 파이트 클럽 전국대전판 (2006.11.16/PS3 , 2006.12.7/PSP)
  • 마작 파이트 클럽 DS Wi-Fi 대응 (2006.12.7/NDS)
  • 마작 파이트 클럽 mobile2 (2008)
  • 마작 파이트 클럽 mobile premium (2009)
  • 마작 파이트 클럽 Wii Wi-Fi 대응 (2009.4.29/Wii)
  • 마작 파이트 클럽 touch (2010.12.16/iOS)
  • 마작 파이트 클럽 신생・전국대전판 (2011.12.27/PS Vita)
  • 마작 파이트 클럽 Sp (2013.8.30/iOS , 2014.1.28/Android)
마작 파이트 클럽 touch의 후계작 격. 한국 계정으로는 다운로드가 불가능하여 다른 수단으로 다운로드를 해야 한다. 접속 자체는 막혀있지 않아서 플레이 및 데이터 다운로드는 무난하게 가능하다. 다른 모바일 게임들과는 다르게 로그인 보너스는 매일 아침 7시, 이벤트 종료 시각은 보통 새벽 2시/5시이다. 일부 코나미 게임과 비슷하게 5시~7시, 매월 3주차 화요일은 2시~7시 기간이 서버점검 시간대이기 때문.
Sp와 아케이드와의 데이터 연동 기능이 있어서 아케이드에서 플레이하고 Sp에 접속하면 MG[24]와 스페셜 교환권을 얻을 수 있다. BGM은 당시 아케이드 가동 작품이었던 NEXT 기반이며 시스템은 과거 작품에서 따온 것들이 있다. 원래는 프로작사가 CPU로만 등장했으나 2019년 10월부터 직접 참전하게 되도록 변경되었다. 아케이드와는 달리 진룡 시스템이 없고 황룡까지만 있다. 대신 황룡 전용 상급 모드가 있다.
이 작품 한정으로 1국 모드[25]가 추가.

7. 참전 프로 작사


현행작 참전 프로 작사 일람 페이지. 단수는 2020년 11월 기준이며 정렬은 첫 참여작 순서.
  • 2 일본프로마작연맹 Ver. ~
    • 모리야마 시게카즈 (森山茂和) 9단
    • 나다 아사타로 9단
    • 아라 마사요시 (荒正義) 9단
    • 이토 유코 (伊藤優孝) 9단
    • 마에하라 유다이 (前原雄大) 9단
    • 이시자키 히로시 (石崎洋) 8단
    • 후루카와 코지 (古川孝次) 9단
    • 사와자키 마코토 (沢崎誠) 9단
    • 세토쿠마 나오키 (瀬戸熊直樹) 9단
    • 쿠로키 마사오 (黒木真生) 6단
    • 타키자와 카즈노리 (滝沢和典) 7단
    • 니카이도 아키 (二階堂亜樹) 7단
    • 니카이도 루미 (二階堂瑠美) 5단
    • 시미즈 카오리 (清水香織) 5단
    • 미야우치 코즈에 (宮内こずえ) 5단
    • 이즈미 유키코 (和泉由希子) 5단
  • 3~
    • 후지와라 타카히로 (藤原隆弘) 9단
    • 토모타케 마사하루 (ともたけ雅晴[26]) 9단
    • 후지사키 사토시 (藤崎智) 9단
  • 4~
    • 콘노 신타로 (紺野真太郎) 7단
    • 야마이 히로시 (山井弘) 7단
    • 쿠로사와 사키 (黒沢咲) 6단
  • 5~
    • 가스 넬슨 (Garthe Nelson; ガース) 4단
    • 젠 바 (Jenn Barr; ジェン) 4단
  • 6~
    • 니히라 노부아키 (仁平宣明) 8단
    • 카츠마타 켄지 (勝又健志) 7단
    • 덤프 오오하시 (ダンプ大橋) 7단
    • 사사키 히사토 6단
  • 7~
    • 우치카와 코타로 (内川幸太郎) 7단
    • 와쿠츠 아키라 (和久津晶) 6단
  • 아룡전생~
    • 사루카와 마사토시 (猿川真寿) 7단
    • 아오이 유리카 (蒼井ゆりか) 4단
  • ultimate version~
    • 나카타 카난 (仲田加南) 6단
    • 나카야마 나나미 (中山奈々美) 3단
  • ultimate version ~인연의 장~[27]~
    • 시라토리 쇼 (白鳥翔) 6단
    • 스기우라 칸스케 (杉浦勘介) 6단
    • 우오타니 유미 6단
    • 오가사와라 나오 (小笠原奈央) 4단
    • 타카미야 마리 (高宮まり) 4단
  • 정상의 진~
    • 이시다 아사미 (石田亜沙己) 2단
    • 이노우에 에미코 (井上絵美子) 3단
    • 테츠카 사키쿠 (手塚紗掬) 4단
    • 토죠 리오 (東城りお) 2단
  • 채색의 꽃~
    • HIRO시바타 (HIRO柴田[28]) 8단
    • 후루타니 토모미 (古谷知美) 4단
    • 마츠오카 치아키 (松岡千晶) 3단
    • 스가와라 히로에 (菅原千瑛) 3단
    • 야마와키 치후미 (山脇千文美) 4단
  • ZERO~
    • 모리시타 마사토 (森下剛任) 5단
    • 시바타 요시카즈 (柴田吉和) 4단
    • 오오가메 아스카 초단
  • 호화현란~
    • 야마토 (大和) 4단
    • 후루카와 아야노 (古川彩乃) 2단
    • 오카다 사야카 (岡田紗佳) 2단
  • GRAND MASTER~
    • 이시카와 료 (石川遼) 3단
    • 오키 히카루 (沖ヒカル) 초단
    • 나이토 마사키 (内藤正樹) 초단
    • 시로가네 사키 (白銀紗希) 3단
    • 하야카와 린카 (早川林香) 3단
    • 오쿠보 토모미 (大久保朋美) 2단
    • 사쿠라카와 히메코 (桜川姫子) 3단
    • 에리카와 마이코 (襟川麻衣子) 2단
  • 질풍~
    • 요시다 타다시 (吉田直) 6단
    • 키타 키요타카 (喜多清貴) 5단
    • 다테 아리사 초단
    • 나츠메 미도리 (夏目翠) 초단
    • 히타카 시호 (日高志穂) 초단
이하 과거에 참전했었던 작사. 단수는 최종 참전작 기준.
  • 코지마 타케오 9단 / 2~호화현란
  • 안도 미츠루 9단 / 2~3
  • 사사키 케이타 (佐々木慶太) 6단 / 2~3
  • 코노 타카시 6단 / 2~5
  • 오오이 타카하루 5단 / 2~5
  • 히라오카 리에 (平岡理恵) 4단 / 2~정상의 진
  • 오카모토 사야카 (岡本沙也加) 2단 / 2~5
  • 난리 하루미 (南里はるみ) 4단 / 2~NEXT
  • 츠치다 코쇼 8단 / 3~5
  • 아베 타카노리 7단 / 3~5
  • 요시다 유키오 (吉田幸雄) 8단 / 3~정상의 진
  • 무로 쥬세이 (室生述成) 4단 / 3~5
  • 이마자토 쿠니히코 (今里邦彦) 5단 / 3~7
  • 사이토 토모코 (斉藤智子) 4단 / 3~5
  • 사노 타카코 (佐野たか子) 2단 / 3~5
  • 와타나베 이쿠에 (渡辺郁江) 2단 / 3~정상의 진
  • 타카하시 아오이 (高橋葵) 2단 / 3~NEXT
  • 야마다 히로 (山田ヒロ) 5단 / 4~7
  • 아이다 나나 (相田夏奈) 초단 / 4~6
  • 타무라 린카 (田村りんか) 2단 / 4~정상의 진
  • 하타 마사노리 9단 / 5~GRAND MASTER
  • 후지나카 신이치로 (藤中慎一郎) 5단 / 5
  • 키타노 유미 (北野由実) 3단 / 5~NEXT
  • 사쿠라 야요이 (さくらやよい[29]) 2단 / 5~NEXT
  • 미즈하라 치하루 (水原千春) 초단 / 5, 6
  • 왕 젠팡 (王政芳) 3단 / 5~채색의 꽃
  • 모치즈키 마사츠구 (望月雅継) 7단 / 6~호화현란
  • 이와이 켄타 (岩井健太) 초단 / 6
  • 쿠와하라 케이코 (桑原恵子) 4단 / 6~아룡전생
  • 호죠 에미 (北條恵美) 3단 / 6~아룡전생
  • 미즈코시 쿄코 (水越京子) 3단 / 6~u.v.
  • 호리다 메구미 (堀田恵) 초단 / 6
  • 유우키 미치 (優木美智) 4단 / 6~정상의 진
  • 오사나이 마미 (長内真実) 3단 / 7~정상의 진
  • 쿠사노 이오리 (くさのいおり) 2단 / 7~NEXT
  • 나카가와 유카리 (中川由佳梨) 4단 / 7~GRAND MASTER
  • 요시오카 미온 (吉岡美音) 초단 / 7
  • 아야세 키유 (綾瀬きゆ) 초단 / 아룡전생
  • 카와타 케이코 (川田景子) 초단 / 아룡전생, u.v.
  • 쿄히라 하루카 (京平遥) 초단 / 아룡전생~NEXT
  • 이와이 아카네 (岩井茜) 2단 / u.v.
  • 시라카와 유키나 (白河雪菜) 2단 / u.v.~정상의 진
  • 통통 (童瞳) 4단 / u.v. 인연의 장~GRAND MASTER
  • 코지마 유우 (小島優) 2단 / u.v. 인연의 장~ZERO
  • 후쿠미츠 마사오 (福光聖雄) 3단 / u.v. 인연의 장~정상의 진
  • 이타가와 카즈토시 (板川和俊) 7단 / u.v. 인연의 장, NEXT
  • 이데 코헤이 (井出康平) 4단 / 정상의 진~GRAND MASTER
  • 오구루마 쇼 (小車祥) 4단 / 정상의 진~ZERO
  • 스즈키 사야카 (鈴木彩夏) 초단 / 정상의 진, 채색의 꽃
  • 타치바나 츠쿠시 (立花つくし) 초단 / 정상의 진
  • 츠키에 이쿠코 (月江いくこ) 3단 / 정상의 진~호화현란
  • 야스다 마리나 (安田麻里菜) 3단 / 채색의 꽃, ZERO
  • 토모야스 미카리 (友保美香里) 초단 / 채색의 꽃~호화현란
  • 나나세 마미 (七瀬真実) 2단 / 채색의 꽃~호화현란
  • 아츠마 사오리 (吾妻さおり) 5단 / ZERO, 호화현란
  • 이케자와 마나미 (池沢麻奈美) 초단 / ZERO
  • 사쿠라이 히데키 (櫻井秀樹) 6단 / 호화현란, GRAND MASTER
  • 아카기 유미 (赤木由実) 2단 / 호화현란
  • 츠치다 사오리 (土田小緒里) 2단 / 호화현란, GRAND MASTER

8. 특징


전술했듯이 일본프로마작연맹 공인 게임인지라 해당 연맹 소속의 작사가 많이 참전한다. 모바일 버전인 Sp에도 참전하긴 하지만 황룡 전용 모드에서만 참전하는데다가 매칭 추천권이란 아이템까지 따로 써야 매칭이 쉬워지기 떄문에 힘들다.
이 작품 고유의 특징은 바로 초대작부터 이어져온 번개 이펙트로[30], 만관 이상으로 화료했을 경우 발동하며 동시에 화면까지 흔들린다. 더 높은 등급의 화료를 하면 할 수록 당연히 더 이펙트가 화려해지고 흔들림의 강도도 세지며 정점은 역만.
PASELI는 아룡전생부터 도입, 다양한 컨텐츠 및 기능을 추가하면서 사실상 PASELI를 써야 게임 진행이 순조로워지는 경향이 되어버렸다. 이하 PASELI를 사용해야만 가능한 기능.
  • 진룡 시스템 : 소환의 조각 챌린지 사용 가능.
  • 스마트 컨티뉴 : 프리미엄 플레이시 가능. 대국 종료시 얻은 점수에 따라 다음 대국에 소모되는 컨티뉴 과금액이 변동되는 기능이다[31]. 장점은 마작을 잘치면 여러번 공짜 혹은 싸게싸게 컨티뉴를 해서 칠 수 있지만 반대로 못 치면 컨티뉴할때 과금액이 많아진다는 점으로 양날의 칼. 다만 마작 플래닛 모드에는 이 기능이 적용되지 않고 무조건 기본 금액으로 컨티뉴가 들어간다.
  • 프로작사에 도전! 10번 승부 (プロ雀士に挑戦!十番勝負) : 프로작사가 거둔 점수에 도전하는 모드. 클리어하면 DP를 다량 획득 가능하다.
  • 더블 업 챌린지 : 대국에서 오브를 잃었을 때 다음 대국에서 무료로, 그 경우가 아니라면 PASELI를 지불하여 도전할 수 있다. 진룡 오브는 대상에서 제외. 챌린지 성공 여부에 따라 오브 증감량이 2배가 된다.
  • 초연격 어드벤처 - 해적선의 비보- (超連撃アドベンチャー -海賊船の秘宝-) : 미니게임으로 파티 멤버(?)를 모아서 해적선을 격추해 보상을 얻는 방식이다. 타임 리밋은 30분. 공격력은 고저순으로 경기 룰→4인 동풍/반장→3인 마작. 화료하면 해적선에게 공격을 할 수 있으나 반대로 쏘이면 해적선에게 공격을 받는다. 라이프가 다 소모되면 격추되지만 1회 화료를 하면 부활할 수 있다. 해적선을 격추하면 보상을 얻을 수 있으나 제한시간 초과, 전원 패퇴, 도중 게임 종료 시 오브 1개 손실.
  • 격주! PASELI 경마 (激走!PASELI競馬) : 미니게임이며 타임 리밋은 30분. 경마처럼 2000m 경주를 한다. 매칭은 위의 초연격과 달리 4인과 3인은 따로따로 매칭된다. 대국 진행에 따라 100m 단위로 말이 전진하며 유국 및 자신이 안 쏘이는 타가 화료시 채찍을 입수. 채찍은 자신이 쏘이면 잃어버리며 자신이 고점수로 화료하면 채찍 1개당 100m 거리를 추가 이동한다. 입상 순위권 내에서 입상하면 보상 획득, 반대로 하위권에 입상하거나 제한시간 초과 및 도중 게임 종료 시 오브 손실.
  • 기타 기능 : 개인자료 열람, 랭킹 열람, 단위면허장 발행 서비스, 파이트 클럽 어레인지 등의 기능은 베이직 코스 가입이 필요하며, 프리미엄 영상 서비스[32], 핫 스냅 송신 가능 횟수 상한 증가[33] 등의 기능은 프리미엄 코스 가입이 필요하다.
유저의 등급은 급→단→마스터→황룡→진룡 순이며 급은 10급에서 시작, 단은 최대 8단까지 있다. 10급에서 초단까지 올라가기 위해 필요한 경험치는 총 1600.
초단으로 올라가면 유저의 성향에 따라[34] 사신 중 하나의 신수가 결정된다. 초단부터는 파이트 오브 시스템이 적용되며 초기에 오브 3개가 주어진다. 오브는 1위를 할 때 주어지며[35] 반대로 낮은 성적을 기록하면 빼앗긴다. 오브가 전부 없어지면 다시 1급으로 강등.
상대를 토비시켜서 오브를 얻어내면 소울 오브라는 채도가 높은 오브를 얻을 수 있으며 소울 오브의 획득 수에 따라 승단할 때 카치보시(勝ち星)로 변환된다. 변환 비율은 카치보시 5개(사신)/10개(황룡)당 오브 1개. 반대로 카치보시가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잃게 되면 오브 1개를 잃게 되며 4개/9개의 카치보시로 바뀐다.
8단에서 레벨 업에 필요한 오브를 전부 모으면 마스터가 되며 이 상태에는 강등당하지 않게 된다. 마스터 상태에서 3연승을 하면 황룡으로 승격. 황룡으로 올라가면 초기 황룡 오브 5개를 주며 레벨 업에 필요한 황룡 오브를 전부 모을 때마다 레벨이 1씩 상승하게 된다. 황룡 레벨의 최대 상한치는 999. 파이트 오브도 계속 모을 수 있는데 각 속성의 파이트 오브 5개 당 황룡 오브 1개로 변환된다. 황룡의 지느러미와 머리카락, 황룡이 쥐고 있는 보옥의 색상으로 유저가 어떤 속성인지 알 수 있다.
황룡 오브가 전부 없어지면 남아있는 파이트 오브의 갯수에 따라서 마스터로 강등되거나(마스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 56개의 오브가 필요), 파이트 오브마저 1개도 없다면 1급으로 강등된다.
정상의 진부터는 황룡각성이 추가, 특정 레벨에 도달하면 각성 찬스를 획득한다. 각성 카운트 유지 중에 1위를 하면 카운트를 소비하는 대신 황룡 오브 1개를 추가로 획득하지만, 최하위가 되면 카운트만 날아간다(1위나 최하위가 아니라면 카운트는 유지). 51레벨 이후로는 진룡 소환이나 전생했을 때에만 각성이 발생한다.
Sp에서는 황룡으로 올라가면 황룡 전용 상급탁 모드를 플레이할 수 있다.
진룡(真龍)은 황룡 레벨 20때 소환의 파편 획득전[36]을 통해 파편 획득이 가능하며[37] 파편 4개를 모으면 진룡으로 승급하게 되는데 사신의 특성에 따라 이름이 제각기 다르다[38].
진룡은 20개의 라이프를 가지고 시작하며 최하위를 하면 라이프가 감소한다[39]. 라이프가 0이 되는 순간 진룡 상태는 사라지고 황룡으로 돌아간다. 진룡에는 사신/황룡 오브와는 별도의 진룡 오브를 보유하고 있다[40]. 초기 3개로 시작. 라이프가 0이 되어 황룡으로 돌아가도 가지고 있던 진룡 오브 수는 그대로 유지된다.
진룡을 유지한 상태에서 18전의 시련을 돌파하면 CLIMAX에 돌입하게 되는데 CLIMAX 상태에서 1위를 하면 전생하며 다시 18연전의 시련부터 시작. CLIMAX의 도전 시도 횟수는 18연전 중 1위를 한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횟수가 많아도 도중 한번이라도 최하위를 기록하면 그 순간 강제로 CLIMAX 상태가 종료되며 18연전 중 11번째로 돌아간다. 단 이렇게 돌아갔어도 다시 CLIMAX 진입에 성공, 1위를 하면 연속 전생이 인정된다. 돌아간 시점에서 CLIMAX 돌입때까지 진룡 상태를 유지했다는 조건하에.
CLIMAX 돌입 전 18연전 중에 한번이라도 1등을 못했다면 CLIMAX에 돌입하지 않고 바로 황룡으로 내려가며, 18연전 도중에 황룡으로 돌아가면 연속 전생 횟수가 리셋된다.
추가로 연속으로 전생한 횟수에 따라서 진룡 그레이드가 결정되며 이는 클럽 점수 가산에 영향을 준다. 그레이드는 처음엔 10이 상한이었으나 호화현란부터 30으로 늘어났다.
진룡 시스템은 아케이드에만 존재하며 기타 콘솔에는 들어가지 않았다. Sp에도 없다.
초단 이상의 유저가 역만을 달성했을 경우 4인 마작의 경우는 오브 1개, 3인 마작의 경우는 카치보시 1개를 축의로 얻을 수 있다. 단 더블 역만 이상을 했어도 2개 이상을 주지는 않으며, Sp의 경우 CPU전[41]과 연습전에서는 얻을 수 없다.
등급 시스템에서 유의해야할 점은 MJ와 작룡문과는 다르게 3인 마작과 4인 마작은 '''등급을 공유하며 별도 취급하지 않는다.''' 행여나 4인 마작만 열심히 파서 황룡으로 올라갔는데 3인 마작을 처음 잡을 때에도 황룡 유저들과 매칭되기 때문에, 처음 잡자마자 고수들을 상대해야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BEMANI 시리즈에 이 작품의 BGM이 수록된 적은 단 두번 뿐이다. 팝픈뮤직 13 카니발의 麻雀格闘倶楽部特別接続曲, 리플렉 비트 콜레트 어텀 시즌의 麻雀格闘倶楽部NEXT タイトルデモ~東一局~リーチ.
CPU의 AI 사고가 상당히 강한 마작 게임으로도 이름 높다. 이건 초창기 시절부터 저런 얘기가 나왔으며 지금도 마찬가지. 추가로 타패에 주어지는 시간이 5초로 짧은데다가 장고 기회도 1국에 1번밖에 없는 등 전체적으로 빠른 스피드를 요구한다.

9. 링크


[1] '마작격투구락부'라고 쓰고 '마작 파이트 클럽'이라고 읽는다.[2] MFC2부터 공인. 반대로 세가의 MJ 시리즈는 2020년 현재 협회, 최고위전, 마장연합, RMU 공인.[3] 現 코나미 어뮤즈먼트의 사장. 댄스 댄스 레볼루션, 드럼매니아의 제작에도 참여했었다.[4] 아무리 조패술을 줄이려고 해도 서비스 신이 최종 목표인 점 때문에 한계가 명백했다. 당시에 "100엔 넣었는데 바로 천화 뜨고 게임오버 됐다"라는 얘기가 나돈 것도 이 때문이었다.[5] 그 이전엔 80년대 초반에 만들어진 쟝퓨터(ジャンピューター)에서부터 이어온 버튼식 조작을 한 아케이드 게임이 주류였다.[6] 이러한 공간 활용의 장점으로 인해 게임센터 말고도 배팅센터나 볼링장, 당구장, 가라오케 등의 게임 코너에 이 게임이 있는 경우도 꽤 있다. 심지어 2017년도에 후술할 신규 기체인 하이그레이드 모델이 나왔는데도 여전히 공간 절약이 잘 되고 있다는 얘기가 있다.[7] MJ 모바일은 2020년 7월에 북미에서 출시되었으나, 아케이드는 미출시.[8] MFC2도 대만에서 가동은 했지만 이 후에는 발매가 끊겼다.[9] 4인 마작은 5,000점, 3인 마작은 8,000점. 이건 디폴트 설정이므로 기체 설정에 따라 늘어날 수도 있지만 코나스테 버전은 디폴트 설정 고정이다.[10] 3급 승격 이후에는 경험치 획득 불가. 단 사신 MASTER 상태에서 3연속 1위를 하면 황룡 진급은 가능.[11] 순위점 변동으로 1위에게 3,000점을 내줘도 20,000점으로 생존 가능.[12] 순위점 변동으로 3위에게서 3,000점을 받아도 29,900점으로 100점이 모자란다.[13] 가격은 초회 발행료 기준으로 세금 포함.[14] 초창기에는 허용했지만 연맹 공인을 받은 2부터 정규 리그에서 금지시키다가 4부터 완전히 쿠이카에 불가로 정착되었다.[15] 4인 마작은 만쯔, 소즈 각각 1개씩, 핑쯔 2개/3인 마작은 핑쯔와 소즈 각각 2개씩.[16] 핑쯔로만 가능.[17] 마작 파이트 클럽에서는 구련보등 9면 대기(九蓮宝燈九面待ち)로 부른다.[18] 사실은 코나미에서 1994년에 슈퍼 패미컴 플랫폼으로 내놓았던 진 마작(真・麻雀)에 넣었던 룰로 이것을 이 모드에 적용한 것이다.[19] 클라이언트 기체 한정. 센터 모니터 기체의 하드웨어는 초창기부터 윈도우 기반이었다. 2까지는 98이었으나 3부터 XP.[20] 일본 전국시대를 무대로 한 땅따먹기식 온라인 대전 게임이었지만 매상이 좋지 못하여 한 작품만에 시리즈가 끝났다.[21] 때문에 팝픈뮤직의 캐릭터 황룡의 생일이 이 작품의 가동일로 되어 있다.[22] 유국만관은 제외.[23] 더블론, 트리플론은 1위 확정자가 만관 이상으로 화료할 경우.[24] 대국 플레이에 필요한 인게임 재화. 반대로 푸치프로 및 BGM 등 가챠에 소모되는 것은 작석(雀石).[25] 現 연맹 회장인 모리야마 시게카즈(森山茂和)가 제안한 역 중시 대국. 3000점 이상을 얻으면 카치보시를 얻으며 상대를 토비시키면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26] 3~NEXT까지는 朝武雅晴 명의로 참전.[27] 2012년 8월 업데이트로 참전[28] 채색의 꽃에서는 시바타 히로유키 (柴田弘幸) 명의로 참전.[29] 5, 6에선 사쿠라(さくら) 명의로 참전.[30] MJ나 작룡문 등에서도 번개가 나오기는 한데 이 게임처럼 길게 이어지지 않고 짧게 끝나며 화면도 안 흔들린다.[31] 사실 이건 코인 플레이에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PASELI 플레이의 경우 세분화가 더 되어있다는 점이 다르다.[32] 패보 리플레이 기능이지만 MJ의 그것과는 다르게 직접 영상 파일을 mp4 형식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인게임에서 직접 송신 버튼을 눌러줘야 다운로드가 가능하다는 점과 1일 5개만 송신이 가능. 덤으로 코덱은 AVC/H.264, 오디오 코덱은 AAC, 영상 크기는 1024x768 고정이다.[33] 미가입 유저는 2개, 가입 유저는 5개까지 송신 가능[34] 통칭 사신지수(四神指数)라 하여 도라 사용률이 제일 높으면 청룡, 화료율이 제일 높으면 주작, 평균 번수가 제일 높으면 백호, 방총율이 제일 높으면 현무. 초단 이상 및 '''온라인에서 50대국 이상을 플레이'''해야 사신지수가 표시된다. 고정은 아니기 때문에 급으로 강등된 후 다시 단으로 올라갈 때 변경될 수도 있다. 파이트 클럽 VIP 포인트를 써서 사신 속성을 변경할 수 있으나 골라서 바꾸는 방식은 아니며 가장 높은 사신지수의 속성으로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 속성과 변경 후 속성이 동일하다면 바꿀 수 없다.[35] 반장전에서는 3위, 4위에게 각각 1개씩 2개 획득 / 2위의 경우는 4위에게 1개 획득, 동풍전 및 삼인 마작에서는 3위에게 1개 획득.[36] 조건은 1. 대국자가 전원 황룡일 경우/2. 대국자 중 진룡이 있을 경우. 둘 중 하나를 만족하면 된다.[37] PASELI를 써서 증감량 2배 챌린지를 할 수 있다. 다만 획득전 개최 조건이 충족되어야 가능하며 성사 안 될 경우 이후 성사가 될 때까지 이월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게임을 종료하면 바로 권리 상실.[38] 청룡은 교룡, 주작은 비룡, 백호는 응룡, 현무는 선룡(先龍). 이 4개의 용은 유안의 회남자에서 따온 것이다.[39] 4인 마작은 -4, 3인 마작은 -3.[40] 참고로 프로작사 본인은 진룡 취급되어서 이기면 황룡 오브와 진룡 오브 둘 다 얻을 수 있다.[41] 아케이드에서는 카치보시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