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적죽장군
1. 설명
[image]
《훈국신조기계도설》에 나오는 조선의 죽장군.
출처 - 조선의 무기와 갑옷
대나무를 마지막 마디만 빼고 뚫어 다듬은 뒤 노끈으로 몸체를 단단히 감고 바닥을 철판조각과 점토로 보강해 석환(石丸)이나 납탄 여러발을 장전해 쏘다 버리는 식으로 운용된다. 명나라, 청나라, 조선 후기에도 떨어지는 화력을 감당하기 위해서 간간히 사용되었다. 일종의 예비군 개념의 화기?
사실은 동아시아 뿐만 아니라, 유럽이나 중동 등지에서도 화기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비슷한 무기가 많이 쓰였다(…). 그만큼 원초적인 화약무기라고 할 수 있겠다.
1.1. 중국의 죽장군
보면 알겠지만, 굉장히 원시적인 화약무기이다. 기원은 이화창 같은 고대화약 무기와 마찬가지로, 송나라 즈음 중국에서 개발되었다. 이를 '''인류최초의 개인화기''' 개념으로 보기도 한다. 즉, 총기류의 역사에서 시조 쯤 되는 무기이다.
이후에는 다른 화기류에 묻혀서 사용되지 않다가, 한족 국가인 명나라가 세워지면서 다시 애용 받았다. 일단 만들기가 쉽고, 운반도 용이해서 다수를 소지할 수 있으며, 1회용이라서 조준할 생각없이 '''잔뜩 만들어서 한꺼번에 쏘고 버리는''' 식으로 집단운용을 하기에 매우 편리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현대적인 총이나 무반동총과도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된 무기이다.
하지만 실제 위력은 미묘하다. 주로 돌격하기 전에 쏘고 버리거나, 수십명이 일제사격하여 근접한 적들에게 파편으로 피해를 입히는 형식이었다. 즉, 사격보다는 근접전이나 백병전을 보조하는 특수한 장병기 개념에 가까웠다. 이는, 비슷한 역사를 가진 이화창과도 흡사한 부분이다.
명나라는 죽장군을 좋아해서 조선과 비슷한 형식으로도 이용했지만, 다수를 이용하여 1회용으로 쏘고 버리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 일부 튼튼한 죽장군은 화전 발사대로도 썼다. 청나라에서도 이를 이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1.2. 조선의 죽장군
조선에서 만든 죽장군은 중국의 죽장군 개념을 수입한 것이다. 운용면에서 1회용이라는 점은 원조와 비슷하지만, 돌이나 납탄을 채워서 발포시키고 나면 포신(대나무)가 박살나서 버리는 원조 죽장군과는 다르게, 철판으로 보강하여 대형 탄환이나 조란환(쇠구슬 다발)을 통한 사격도 제법 강력했으며, 1회용 사격 후에도 총통으로 몇 번 더 사용할 수가 있었다.
애초에 임시대응 무기라서 총통이나 조총이 썩어나는 시절에는 예비군 개념의 무기였다. 하지만 화력이나 내구도 면에서 단순한 1회용 무기치고는 강력했으며, 긴급한 화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제법 요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기타 매체에서의 등장
뜬금없이 한제국 건국사에서 등장했다. 한제국 건국사에 나오는 화기. 작중의 묘사로는 부족한 지방군의 화력을 보강하기 위해 민국인들이 개발한 것으로 나오지만, 위에서도 보이듯이 중국에서 개발되어 동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용된 원시적인 개인화기이다. 아무래도 신형이거나 타국의 기술력을 얻어 보강한듯하다. 만들기도 쉽고...
오리지널은 들고 쏘는 화기 형태지만, 한제국 건국사2부 초반에서는 막대 둘을 교차시켜 묶어 만든 받침을 달아 야포 비슷하게 만들어 쓴다. 사쓰마 번군을 상대할 때는 들고서 1회용 샷건처럼 쏘고 어깨에 맨 갑식 보총을 들고 돌격.... 작중에선 초반에 남원군 묘 도굴사건 때 오페르트 무리를 혼란시키기 위해 한번 사용되곤 묻히는 듯했지만 후반부 사쓰마 번군을 상대할 때 대량으로 사용되어 막심한 타격을 입히는 [1] 큰 활약을 했다.
이 소설에서는 기존의 무적죽장군을 바탕으로 개조한 1회용 박격포로 나온다. 실제 조선에서 사용된 죽장군은 명나라에서 사용하던 거랑 다르게, 제법 화력을 높인 거라서 이런 차이가 나온 것일지도..... 애초에 포신만 죽장군을 쓰고, 발사체는 박격포탄을 썼으니 그럴 만도 하다.
스타트렉 TOS의 에피소드 중 하나인 The Arena에서도 커크가 급조하는 무기로 등장.
[1] 30문을 50미터에서 700명에게 쏴서 200명이 피떡이 돼 버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