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 5/Community Patch Project/등장 문명/오스만

 


[image]
'''오스만 / 술레이만'''
오, 위대한 황제 술레이만이여, 신의 축복이 함께하기를! 그대의 권세와 부강함, 그리고 자비로움에 세상이 경배할 것입니다! 그대야말로 '대제'라는 이름에 적합한 왕입니다! 그대의 제국은 12세기에 아나톨리아 동부의 소국 비티니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비티니아의 오스만 1세 왕은 셀주크 술탄국 등의 쇠퇴를 틈타 서쪽으로 아나톨리아까지 영토를 확장했습니다[1]. 그 후 100년 동안 그대의 신민은 비잔티움 제국을 정복하여, 그 지배 하에 있던 터키발칸 제국을 합병했습니다. 15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은 고대 콘스탄티노플을 정복하여, 유럽과 중동을 잇는 전략적 요지를 손에 넣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몇 세기 동안 확장을 거듭하여, 그 전성기에는 북아프리카, 중동, 동유럽의 대부분을 아울렀습니다.
위대한 술레이만이여, 백성의 부름을 들으십시오! 오스만 제국을 다시금 그 권세와 영광의 정점에 올려놓아, 세상이 그대의 위대함을 칭송하도록 하십시오. 위대한 황제여, 도전을 받아들여 세월의 시련을 이겨낼 문명을 건설해 주시겠습니까?
'''속성'''
'''특성'''
[image]
탄지마트
(Tanzimat)
교역로를 끝마치면 출발 도시에 국외 교역로의 경우 150 과학, 150 식량을 제공하고, 국내 교역로의 경우 150 문화, 150 금을 제공합니다. 시대에 비례해 증가합니다.[2]
'''고유 유닛'''
[image]
예니체리
(Janissary)
머스킷병을 대체하는 고유 유닛입니다. 전투력이 3 원거리 전투력이 1 더 높습니다.[3] 공격 시 전투력 보너스 +25%[4]를 얻는 승급과 행군 승급을 받습니다. 야금학 대신 화약 기술로 해금됩니다.생산력이 조금 적게 듭니다.(325에서 300)
'''고유 건물'''
공성 주조소
(Siege Foundry)
대장간을 대체하는 고유 건물입니다. 공성 유닛을 생산할 때 생산력 보너스 +50%를 받습니다. 이 도시에서 생산하는 모든 공성 유닛은 일제사격 승급[5]을 얻습니다. 이 도시에서 유닛 생산 할 때 마다 소비된 생산의 20% 만큼 과학을 얻습니다.
철 자원에 생산력 +1, 골드 +1을 더하고, 구리 자원에 골드 +2를 더하고 도시에서 작업하는 광산에 생산력을 1 더합니다.(대장간의 원래 효과)
1. 개요
2. 성능
2.1. 특성
2.2. 예니체리
2.3. 공성 주조소
2.4. 운영
2.4.1. 잘 어울리는 불가사의


1. 개요


문명 5 Community Patch Project의 오스만 문명. 해상전 따위는 깔끔히 버리고 르네상스 초 공격에 특화된 고유 유닛과 건물을 들고 나왔고, 특성은 All or Nothing의 효과이다. 치밀한 계산이 필요한 문명.

2. 성능


특성은 교역로에서 이득을 보지만 고유 건물과 유닛은 전쟁에 유리한 기묘한 언밸런스함을 자랑한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평화시에는 외부 교역로로 생산력, 식량, 과학을 보충하며 내정을 하다가 고유건물과 유닛으로 힘을 쓸 수 있는 르네상스 시기에는 내부로 교역로를 돌려서 문화, 금을 얻으며 전쟁하면 된다. 단 교역로로 인한 이득이 매 턴마다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주기마다 몰아서 들어오기 때문에, 이 점을 잘 활용해야만 이득을 극대화할 수 있다.

2.1. 특성


일시불 보너스라서 좋아 보이지만 교역로 한 번 완료에 50턴이 걸리기 때문에 계산해 보면 '''턴당 3씩의 산출량'''이나 같다(...). 이 정도 수치는 다른 교역 문명들보다 크게 나을 것이 없고, 전쟁이나 야만인 때문에 교역로가 중간에 끊기면 당연히 보너스고 나발이고 없다. 한 번에 몰아서 받는 수치가 시원하게 보일지 몰라도 결국 총합은 같으니 이익이랄 것도 없고, 반면 보너스가 말짱 헛것이 될 가능성은 더욱 큰 리스크투성이 특성. 과거에는 외부 교역로 완료시 일시불 생산량도 받았지만 패치로 삭제되어서 이제 진짜 몰아 받는 보람이 없다. 하기사 그동안 불가사의나 프로젝트 등을 돌릴 때 생산력 몰빵으로 날로 먹는 게 확실한 OP였기 때문에......
하지만 일시불 보너스의 경쟁력은 '''몰아서 받는다'''는 점으로, 종료 시점에서 보너스를 계산하기 때문에 아슬아슬하게 새 시대로 넘어간 뒤에 교역로를 마치는 것이 이상적이다. 한 시대 안에서 교역이 완료된다면 턴당 +3이나 다름없지만, '''다음 시대로 넘어간 시점에서 교역이 완료되면 그간의 고생을 한 단계 높은 스케일링으로 받기 때문.''' 교역 속도는 보통 진행 속도 기준 50턴이므로, 이를 시대 진행과 더불어 적절히 계산해서 원하는 일시불 보너스를 가능한 크게 땡겨오는 센스가 필요하다.
국내/국외 교역로의 차이에 따라 과학/식량과 문화/금 중 원하는 이득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은 나름대로 독특한데, 외부 교역은 보통 과학 테크와 돈을 챙기기 위해 걸기 마련인데 여기에 추가 과학과 식량이 나온다는 점은 좋다. 과학은 항상 이득이고, 식량도 인구를 늘려 내정을 발전시키는 데엔 확실히 도움이 된다. 반면 내부망으로 돌리면 식량 또는 생산량 운반에 더불어 문화/금을 수급할 수 있는데 당연히 유익하다. 즉 외부 교역로든 내부 교역로든 하나를 돌려도 나름 반대쪽 교역로의 이득을 챙겨받을 수 있다는 점이 포인트로, 보통 내부 교역로를 돌리면 돈이 모자라고 외부 교역로를 돌리면 도시 성장이 지지부진해지는 단점을 크게 메꾸어 준다. 포르투갈은 보너스가 과학/금으로 고정이고, 모로코는 모든 산출량을 받는 대신 게임 내 모든 문명과 교역로를 트기가 쉽지 않으므로 오스만도 나름대로 경쟁력이 있다고 하겠다.
야만인 정리나 외교관계 유지에 무척 민감해질 수밖에 없는 특성인데, 교역로가 중간에 끊어지면 죽도밥도 안 되기 때문이다. 자신이 없으면 아예 일찌감치 내부망을 돌리면서 문화/금 보너스만 받거나 가까운 근처 도시국가에만 꽂아도 상관없다. 외부망을 돌린다면 야만인을 적극적으로 정리하면서 확장하고, 내가 선전포고를 했으면 했지 당하지는 말자.

2.2. 예니체리


비록 바닐라에서처럼 반 불사를 자랑하는 정예 유닛은 아니지만 충분히 강하다. 대체 유닛인 머스킷보다 빠른 타이밍인 화약에 테르시오와 나란히 등장하기 때문에 화약 타이밍에 공성 주조소의 보너스를 받는 대포들과 예니체리, 테르시오들로 밀어붙이는 화약 3종 러쉬를 구사할 수 있다. 유닛을 죽일 시 체력을 회복하는 특전은 없어졌지만 대신 원거리 유닛이 보통 찍을 수 없는 상위 승급인 '행군'을 부여받았다. 기본 전투력도 버프를 받은 준수한 유닛.
단 르네상스쯤 되면 타 문명들도 강력한 유닛을 들고 나온다는 점은 감안하자. 프랑스는 발 빠른 총사대로 위협을 걸어오고, 스웨덴의 캐롤리언은 척탄병 승급에 더불어 문명 전체가 공격시 +20% 보너스를 달고 있으며(...) 줄루의 임피는 이동력이 높을 뿐 아니라 화약유닛에 역상성이라 예니체리라도 삽시간에 죽어나간다. 예니체리 타이밍에 밟아버리지 않으면 폴란드가 들고 나오는 것은 죽음의 사신 윙드 후사르.
어쨌든 무자원 + 근접 사격 유닛은 유지비만 감당할 수 있다면 많을수록 좋고, 오스만은 기병에 강점이 없으므로 화약 3종 세트의 축을 담당하는 예니체리는 부담없이 주력으로 쓸 수 있는 좋은 유닛이다. 후일 기관총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공격+25%가 기관총이 도시와 기갑 상대로 가지는 페널티를 상당히 상쇄시켜주고 행군이 탱킹을 강화시켜주기 때문에 말 그대로 만능유닛이 된다.
6월 14일 패치의 원거리 유닛 상향에서 덕을 덜 보면서 박탈감을 느끼게 되었지만 객관적으로 근접방어가 테르시오와 비견할 만한 수준이 되었기에 더욱 강력해졌다. 다만 라이벌인 민병대가 같은 스텟이 되어서 더욱 아쉽다.

2.3. 공성 주조소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을 시작으로 눈부신 역사를 쌓아올린 오스만의 포병대를 나타낸 건물이다. 대장간의 원래 효과에 더해서 '''공성병기가 더 빨리 뽑히고, 고급 승급을 공짜로 받고, 유닛 생산 시마다 20%의 생산력을 과학력으로 돌려받는다.''' 과학력 보너스는 생산 시 한정이므로 병력을 돈 주고 사기보다 도시에서 직접 생산하는 편이 권장된다. 시작하자마자 고급 승급을 단 공성병기들이 훨씬 빠른 속도로 뽑혀나오기 때문에, 오스만은 자연스럽게 공성병기 위주로 병력을 운용하게 된다.
CPP에서는 공성 유닛의 원거리 전투력이 상향되었지만 도시에 주는 기본 추가 피해가 100%인데, 때문에 일제사격(도시 및 방어 상태인 유닛을 상대로 50% 추가 피해) 승급의 가치가 훨씬 중요해진 편이다. 이런 일제사격을 모든 공성병기가 기본으로 달고 빠르게 찍혀나온다는 것은 만만치 않은 이득으로, 일반 공성 유닛이라면 공성 1, 2를 찍고 3번째에서나 일제사격을 찍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공성 유닛이 레벨업에 따라 공성력을 빠르게 극대화할 수도 있고, 일제사격으로 공성력을 기본적으로 가져가면서 승급은 대인 피해 증가를 찍고 보급까지 찍을 수도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오스만은 공성병기에 방점을 찍고 병력을 운용하게 된다. 스웨덴이 공성병기의 이동력+1에 의존한다면, 오스만은 공성병기의 물량과 승급에 의존한다. 기병 계열은 너무 빠르기 때문에 공성병기랑 같이 갈 수 없어서 주력으로 쓰지 않고(...) 예니체리 및 몸빵용 보병 유닛으로 전진하면서 공성병기를 뒤따르게 하는 약간 슬로우한 템포의 진군이 된다. 하지만 강화되어 무더기로 쏟아져나오는 공성병기 및 예니체리의 파워로 충분히 메리트가 있는 구성. 때문에 보병 옆을 지나쳐 공성병기를 두들겨패러 오는 전격전 승급[6]이 붙어 있는 프랑스의 총사대와 오스트리아의 후사르에는 비교적 약한 편이다.

2.4. 운영


바닐라와 똑같이 운영하면 된다. 초반 내정, 후반 정복. 교역로에 목을 메는 문명답게 외교-산업-평등을 타고 추가 교역로 다섯 개를 노리는 게 문명 포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길이다.
초반에는 전통이나 진보를 타서 안정적으로 내정을 한다. 교역로 깡 산출량을 받는 특성상 진보가 조금 더 어울리지만 전통도 나쁘지 않다. 포인트는 조금 무리를 해서라도 교역 기술을 빨리 연구해 첫 대상을 돌리는 것. 페트라, 거신상 등 교역로를 돌려주는 불가사의를 챙길 수 있다면 매두 좋다. 사막 스타팅이 떴다면 국운을 걸고 페트라를 달려보고, 해안가에 도시를 지어 거신상도 노려보자. 다만 생산력 부스트가 삭제된 것은 크나큰 하향으로, 기존엔 테크가 꼬여도 불가사의를 펌핑하거나 발전이 더딘 도시에서 교역로를 꽂아 건물을 빠르게 올리는 등 이점이 있었는데 이젠 식량 생산으로 만족해야 한다. 물론 식량 생산도 훌륭한 보너스이지만 본래라면 대상 두 개로 50턴에 한 번씩 불가사의를 꽁으로 먹을 수 있었던 걸 생각하면 많이 아쉬운 부분.
교역로에 이득을 많이 보는 문명인 만큼 중세정책으론 외교가 필수이다. 교역 금지, 도시국가 교역 금지 등 치명적인 정책이 넘어가는 것도 막아야 하기 때문에 필히 외교로 달리자. 돈도 적당히 벌테니 도시국가 몇 개는 동맹을 맺어 포병을 위한 철도 모아 줘야 한다.
중세시대에 트리뷰셋이 나오면 각을 잘 보는 것이 필수. 만약에 군사력에 투자를 하지 않은 내정 문명이 근처에 있다면 밀어버리고, 그렇지 않다면 화약 타이밍까지 꾹 참아야 한다. 전쟁을 무리하게 오래 하면 교역로가 끊어지고 인프라가 확충이 안 되기 때문에 얻는 것 보다 잃는게 더 많아진다. 다른 교역로 문명도 그렇지만 특히나 오스만은 교역로 끊기면 특성이 죄다 멈추기 때문에......
일반 화약 테크가 뚫렸다면 예니체리 + 대포 + 테르시오라는 오스만의 영혼이 담긴 한방을 준비하면 된다. 교역로를 내부나 근처 도시국가로 변경시킨 다음, 전성기가 지난 정복문명이나 내정문명을 밀어버린다. 대포는 이동력이 느리기 때문에 예니체리와 테르시오를 앞세워 전열을 녹이고 천천히 따라가는 느린 진군이 이루어질 것이다. 예리체리의 행군은 끽해야 적지에선 턴당 5 회복밖엔 되지 않지만 딸피가 되어서 살아남거나 공격 후 이동하면서도 전열을 다듬을 수 있는 등 소소한 이점이 있다. 일단 도시 앞에 대포를 갖다 놓으면 Volley 승급에 힘입어 원래라면 힘들었던 공성전이 아주 쉬워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먹었던 불가사의와 올려놨던 높은 테크를 바탕으로 적을 쓸어버리고 대륙의 패자가 되자. 문화 보너스로 타이밍 맞춰서 제국주의를 열 수 있다면 가장 좋다. 그러나 제국주의를 미처 열지 못했다면 얌전히 정복은 접고 산업이나 열자.
이후에는 국력을 승리조건에 맞춰나가면 된다. 외교를 탄 이상 생산에 이득이 있는 교역문명이라는 장점을 내세워 지속적으로 도시국가에 투자를 해서 외교승리를 노릴 수도 있다 예니체리와 포병을 계속 이용해서 중후반 정복전을 계속 이어나가 정복승리도, 교역로들의 타이밍을 동일하게 맞춰서 정기적으로 터지는 위대한 과학자로 취급해서 과학승리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누누이 말하지만 생산력 부스트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부품 가속은 불가능하다. 얌전히 돈 모아서 평등 찍고 부품 구입하는 게 좋을 것이다.
패치로 야포(Field Gun)과 포병(Artilery)가 구분되면서 전략이 약간 달라졌는데, 이제 야포 타이밍에 압도적인 힘은 가지지 못하지만 대신 유통기한도 조금 길어졌다. 야포는 사거리는 길지만 간접사격이 없어 지형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신경 써주면서 하자. 간접사격이 달린 포병은 이오시프 스탈린의 말 그대로 전장의 신인 모습을 보여주지만, 포병이 나올 때 쯤에는 지상함과 초기 비행기들이 날아다니기 시작하니 대응법을 구상해 놓는 것이 좋다. 제일 좋은 건 과학력 우위로 누구보다 빠르게 포병을 열고 예니체리 예비군들과 함께 싸우는 것. 그러나 비행이 뚫리면 예니체리의 행군 승급은 없다고 보아도 좋다.
공성 주조소를 이용한 정복 승리는 물론, 교역로 시너지를 이용해서 외교 승리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나보다 표가 많은 문명을 밀어버리는 공격적 외교 승리도 나쁘지 않으니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2.4.1. 잘 어울리는 불가사의


  • 페트라, 거신상 : 추가 교역로를 주는 불가사의.
  • 브란덴부르크 문: 승급 5개짜리 야포를 찍어낼 수 있다! 정확도 1,2,3과 보급, 일제사격을 달아 주면 일반 유닛, 도시 모두에 증가된 피해를 주면서 2회 공격이 가능한 괴물 야포가 탄생한다.

[1] 게임 내의 백과사전에서는 오스만 제국을 찬양하는 단락이 따로 만들어져 있기까지 한데, 어찌 된 것이 소개문은 고증 오류 투성이다. 일단 비티니아라는 이름은 고대 로마 제국 시대에나 쓰이던 이름이고, 오스만 1세가 셀주크 제국(엄밀히 말하면 이것도 셀주크 제국에서 독립해나와 다시 아나톨리아를 평정한 룸 술탄국이다. 물론 룸 술탄국 자체를 셀주크 제국이라고도 한다만)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것은 1299년. 즉 12세기가 아니라 13세기 끄트머리다. 또 아나톨리아 서부에서 일어났으므로 '서쪽으로 아나톨리아까지 영토를 확장' 이라는 말도 자체 모순이고, 오스만 1세는 생전에 왕(술탄)을 칭하지 못했다는 건 보너스.[2] 메인 제작자에 따르면 탄지마트 개혁이 외부의 문물을 들여오는 것을 표현하려고 했다고[3] 근접 23 원거리 33[4] 방어시는 적용되지 않는다.[5] 도시나 요새화 중인 적 상대로 +50%[6] 공격할 때 전투력 보너스 15%, 이동력 +1, 상대 ZoC 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