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동석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배동석은 1889년 3월 22일 경상남도 김해시 동상동에서 태어났다. 그는 1906년 대구계성중학교에 재학하던 중 일제에 대한 항의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체포되어 3개월간 옥고를 치렀고, 출옥 후 대구계성중학교를 중퇴한 뒤 서울 경신학교에 입학해 3년간 공부해 무사히 졸업했다. 이후 목포에서 교직 생활을 하다가 배일의식을 학생들에게 주입시킨 혐의로 체포되어 몇달간 옥고를 치렀고, 이후에 만주로 망명해 김좌진과 함께 활동했다.
1918년경 귀국한 배동석은 경성연합의전(京城聯合醫專)에 입학해 의학을 전공했다. 그러던 1919년 2월 12일, 이갑성의 초대를 받고 이갑성의 자택을 방문한 그는 그곳에서 김원벽, 김형기(金炯璣), 윤자영, 김문진(金文珍), 한위건 등 학생 대표들과 만나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민족자결주의에 대해 논의한 뒤 독립만세시위를 벌이는 방안을 논의했다. 2월 14일에 다시 이갑성의 자택에서 이들과 논의한 그는 2월 26일 마산으로 가서 경상남도의 민족대표 선출에 관여했다.
1919년 3월 1일, 배동석은 종로 파고다공원에서 수천명의 시위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에 참가했고, 3월 5일에 남대문역 앞에서 수백명의 시위군중을 이끌고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이후 김해로 내려와 3월 30일 김해 동상동 전통시장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다 체포되었다. 이 시위는 4월 5일 진영시장, 4월 11일 명지면, 4월 12일 장유 무계장터 시위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1920년 4월 27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출판법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그는 그곳에서 심한 고문[4] 을 받았고 결핵까지 걸렸다. 올리버 R. 에비슨 세브란스병원장의 병보석 요청이 수락되면서 간신히 풀려난 그는 한국 최초의 결핵병동인 세브란스병원 결핵병사를 세웠지만, 고문의 후유증을 이기지 못하고 1924년 8월 29일에 사망했다.
3. 여담
- 대한민국 정부는 1980년 배동석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으며,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그의 유해는 2004년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 김해 교회와 배동석 가문의 가족사를 표현한 '약방집 예배당'이라는 소설책이 있다.
- 배동석의 생가는 현재 모습을 알 수 없고, 생가터에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
- 2008년 2월 22일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다 구속된 뒤 옥사함으로써 안타깝게 학업을 마치지 못한 고인에게 연세대학교가 고인의 애국정신을 기려 명예졸업증서를 수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