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무선

 

白茂線 / Paengmu Line
1. 개요
2. 역사
3. 역 목록



1. 개요


[image]

목단눈 오는 밤은 첫 사랑이 그리워

북랑성 흐르는 하늘 턱을 고이고

불러보는 망향가는 눈물의 메디냐

목단눈 오는 밤은 고향집이 그리워

남포불 얼룩진 창에 이마를 대고

까닭모를 옛 사랑은 마음의 곡조냐

시발차 허덕이는 고개넘어 또 고개

'''백무선''' 아득한 길에 그 누굴 찾어

가는거냐 우는거냐 실없슨 발길아

- 진방남, 《눈 오는 백무선》

눈이 오는가 북쪽엔

함박눈 쏟아져 내리는가

험한 벼랑을 굽이굽이 돌아간

'''백무선(白茂線)''' 철길 위에

느릿느릿 밤새어 달리는

화물차의 검은 지붕에

연달린 산과 산 사이

너를 남기고 온

작은 마을에도 복된 눈 내리는가

잉크병 얼어드는 이러한 밤에

어쩌자고 잠을 깨어

그리운 곳 차마 그리운 곳

눈이 오는가 북쪽엔

함박눈 쏟아져 내리는가

- 이용악, 《그리움》

백무선은 백두산청년선에서 분기하는 지선 협궤 철도이다. 이 노선은 원래 백암청년역에서 유곡까지 111km를 잇고. 나머지 80.7 km는 무산역까지 이어졌다. 저수지 공사로 인해 저수지 왼쪽으로 이설된 후[1] 전철화 구간인 백암청년역에서 굴송역까지의 구간과, 비전철화 구간인 천수역에서 무산역까지의 구간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백암청년역에서 대택역까지의 구간은 2013년에 표준궤로 개궤되었다.

2. 역사


1927년,대한민국 총독부 에서 한반도 철도망을 대폭 확대하는 ‘조선철도 12년 계획’을 수립했다.12년 계획의 일부는 아니지만 임산물 수송과 지역 개발을 돕기 위해 백무선을 건설하기로 했다. 백암에서 공사가 시작되었다. 1932년 11월 16일, 백암에서 산양대 구간이 1934년 9월에 처음 구간 개통했다. 이듬해 9월 1일에 산양대-연암 구간이 개통 했다. 그리고 연암-유평동 구간이 개통했다.1936년 10월 16일에.
북한 설립 이후 몇 년 동안 여러 역의 명칭이 바뀌었는데, 백암역이 백암청년역, 함북역이 함북청년역으로 바뀌었다. [2]
노동과 지출을 절약하기 위해, 새로운 노선은 가능한 한 기존의 철도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백무선 구간을 개선 하기로 되어 있었다.하지만 이 계획은 1990년대에 폐지되기 전에 부분적으로 실행했다. 2000년대 중반 다시 계획이 부활했고, 2단계에서 작업을 시작했는데, 이를 단축하고 되찾는 형태로 공사중에 작업이 여러 번 중단되어 시작되었고, 마침내 개선에 대한 작업이 2017년 4월에 완료될 때까지, 그리고 무산으로 가는 노선을 건설할 계획은 현재 추진되지 않고 있다.
저수지 건설중 백두산 청년 발전소 내부 선로의 일부가 범람하게 되었고, 그 사이에 선로가 끊어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그 구간 폐선 이후 백암과 굴송 사이에서만 선로를 전철화하게 된다.
이 노선의 건설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날짜
거리
비고
1934년 9월 1일
33.8km
백암-산양대
1935년 9월 1일
22.1km
산양대-연암
1936년 10월 16일
44.6 km
연암-유평동
1944년 12월
54.9 km
유평동-무산

3. 역 목록


아래는 1945년 당시의 거리표이다.

역명
한자
환승노선
소재지
궤간, 비고
0.0
백 암
白 岩
혜산선
길주군 양사면
표준궤
6.5
대 택
大 澤

11.9
북계수
北溪水

무산군 삼사면
협궤
24.2
도 내
島 內

29.2
상황토
上黃土

33.8
산양대
山羊台

40.5
서 두
西 頭

47.1
연 평
延 坪

55.9
연 암
延 岩

58.4
굴 송
屈 送

63.5
상 단
上 丹

'''댐 건설로 수몰, 폐선 구간'''
68.6
삼 사
三 社

77.4
천 수
天 水

협궤
86.0
하황토
下黃土

90.1
상경평
上境坪

96.1
하경평
下境坪

100.5
유명동
楡坪洞

111.0
유 곡
楡 谷
[3]
117.4
라 적
羅 跡

무산군 연사면
126.9
신 양
新 陽

129.5
소 도
小 桃

138.6
연 사
延 社

143.4
함북신장
咸北新章

150.1
연 수
延 水

158.4
함북문암
咸北文岩

무산군 연상면
164.8
연 상
延 上

174.1
흥 암
興 岩

무산군 서하면
181.2
남 촌
南 村

186.0
독 소
篤 所

무산군 무산읍
191.7
무 산
茂 山
무산선
[1] 이설된 위성사진은 이곳에서 볼 수 있다. 중국 땅이 아닌 곳은 일정 이상은 확대가 불가능한 위성지도이나 이설된 선로는 확인이 가능하다. 업데이트된 구글 지도의 위성사진을 참고하면 이설구간에 최대 2개 정도의 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2] 이후 이 역이 폐역한 후에 함북문암역으로 재개업 되었다.[3] 이 역부터 무산역 까지 비전철 노선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