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투각 구름 용 무늬 필통
[image]
[image]
白磁透刻靑畫彩雲龍文筆筒. 조선 후기, 1800년대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높이 15.0cm.
조선 후기인 1800년대 초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 문방구로, 당시 경기도 광주 분원리(分院里) 관요(官窯)에서 만든 것이다.
보주(寶珠)를 움켜쥐려 달려드는 용의 형상은 투각을 하였고, 용의 비늘반점·갈기 등 세부는 꼼꼼하게 음각하였다. 눈동자와 턱의 수염, 갈기에는 부분적으로 청화 안료를 입혀 생동감을 강조하였다.
박진감 넘치는 용 무늬가 일품인 작품이다. 보통 같은 기증자의 물품인 백자 청화 투각 구름 용 무늬 연적과 셋트로 많이 나온다.
[image]
1. 개요
白磁透刻靑畫彩雲龍文筆筒. 조선 후기, 1800년대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높이 15.0cm.
조선 후기인 1800년대 초에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 문방구로, 당시 경기도 광주 분원리(分院里) 관요(官窯)에서 만든 것이다.
보주(寶珠)를 움켜쥐려 달려드는 용의 형상은 투각을 하였고, 용의 비늘반점·갈기 등 세부는 꼼꼼하게 음각하였다. 눈동자와 턱의 수염, 갈기에는 부분적으로 청화 안료를 입혀 생동감을 강조하였다.
박진감 넘치는 용 무늬가 일품인 작품이다. 보통 같은 기증자의 물품인 백자 청화 투각 구름 용 무늬 연적과 셋트로 많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