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케도니아/경제
[image]
[image]
1. 개요
북마케도니아는 유고 연방의 붕괴 이후 많은 어려움을 겪은 국가이다. 특히 국가위주의 중앙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이행하는 일은 북마케도니아에게는 하나의 도전이었다. 이후 IMF등은 북마케도니아에 경제적 지원을 하였다. 북마케도니아 경제는 1993년에 안정기에서 돌입하고 1995년부터 성장기에 진입한다. 이 시기 발칸반도의 남유럽 국가(구유고연방)들에 대한 경제제재가 풀리면서 북마케도니아 경제도 숨통을 트이게 되었다. 북마케도니아의 주요 수출품은 의류이다. 다음의 수출 규모로는 제조업이 가장 크다. 교역 대상 중 가장 높은 비율은 2005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했을 때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를 합친 규모가 가장 높다.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북마케도니아의 무역 비중에서 22.5%를 차지한다. 그 다음의 교역 규모는 17.8%의 독일이 차지하고 있으며 그리스도 15.3%라는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등 4개국이 단일 경제시장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 산업 구조
[image]
아래는 2006년 기준의 북마케도니아 GDP 구조이다.[10] 농업의 비중이 미약한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노동력 비율에서는 농업의 비중이 상당하다.
3. 관련 문서
[1] http://en.wikipedia.org/wiki/Bosnia_and_Herzegovina[2]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opulation[3]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4]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5]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_per_capita[6]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_per_capita[7]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8]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the_Republic_of_Macedonia#cite_note-cia.gov-2[9]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the_Republic_of_Macedonia[10]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75960&mobile&categoryId=200000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