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
[image]
粉靑沙器 象嵌魚文 梅甁. 세종~세조 재위시기에 만들어진 한국의 분청사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347호로 지정되어 있다.
높이 30㎝, 입지름 4.6㎝, 밑지름 10.4㎝.
15세기 중엽에 제작된 조선시대 분청사기로, 어깨가 처지고 몸체 윗부분의 양감이 강조되지 않은 점은 고려시대 양식이고 당초문과 초화문 기법을 사용해 5단의 문양 구성을 이룬 것은 세종대의 양식이며, 우점문(雨點文)을 사용하여 연주문대를 장식한 것은 인화점문 기법이 극도로 발전했던 세조대의 양식이라 할 수 있다.
담청(淡靑)을 띤 청자유에 가까운 분청유로 제작된 15세기 중엽의 분청사기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1. 개요
粉靑沙器 象嵌魚文 梅甁. 세종~세조 재위시기에 만들어진 한국의 분청사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347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높이 30㎝, 입지름 4.6㎝, 밑지름 10.4㎝.
15세기 중엽에 제작된 조선시대 분청사기로, 어깨가 처지고 몸체 윗부분의 양감이 강조되지 않은 점은 고려시대 양식이고 당초문과 초화문 기법을 사용해 5단의 문양 구성을 이룬 것은 세종대의 양식이며, 우점문(雨點文)을 사용하여 연주문대를 장식한 것은 인화점문 기법이 극도로 발전했던 세조대의 양식이라 할 수 있다.
담청(淡靑)을 띤 청자유에 가까운 분청유로 제작된 15세기 중엽의 분청사기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3. 바깥고리
4. 보물 제347호
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粉靑沙器 象嵌魚文 梅甁)은 조선 전기에 제작된 청자 매병으로 높이 30.0㎝, 아가리 지름 4.6㎝, 밑지름10.4㎝이다.
고려 때 유행하던 매병은 조선시대 백자에서는 전혀 찾아 볼 수 없고, 분청사기로 그 맥이 이어지는데, 이 청자도 분청사기로 옮겨가는 과도기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가리가 도톰하여 청자 전성기 때 모습을 하고 있으나, 문양이 복잡하고 구슬무늬와 변형된 구름, 연꽃무늬 등 분청사기에서 볼 수 있는 문양들이 사용되었다.
몸통의 4면에는 구슬무늬와 2겹으로 동심원을 그렸고, 그 안에 2마리의 물고기를 각각 흑백상감하고 물결을 흑상감으로 처리했다. 동심원 밖으로는 점을 가득 찍어 채웠다. 위쪽으로 4곳에는 흑백상감으로 나는 학을, 허리 부위에는 꽃과 풀을 추상화하고, 그 아래 연꽃을 그렸다.
병 아가리 둘레에는 흑백상감으로 꽃잎을 간략하게 표현했고, 그 아래에는 덩굴로 띠를 둘렀다. 담청색을 띤 청자 유액에 가까운 유약을 사용하여 유약에서도 과도기적 모습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