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
'''날짜'''
1918년 10월 24일 ~ 1918년 11월 3일
'''장소'''
비토리오 베네토 (현 이탈리아 북동부 소도시)

'''교전국1'''
'''교전국2'''
'''교전국'''
이탈리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휘관'''
아르만도 디아즈
알렉산더 폰 크로바틴
스베토자르 보레비치 폰 보이나
'''병력'''
57개 사단
1,710,000명
(동맹군 병력 183,000명 포함)
총포 7,700문
61개 사단
1,830,000명
총포 6,145문
'''피해 규모'''
전사 및 부상 37,461 명
전사 및 부상 8만여 명
포로 448,000명
총 손실 528,000명
'''결과'''
결정적인 협상국의 승리
'''기타'''
이탈리아 전선 종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
1. 개요
2. 전개
3. 분석

[clearfix]

1. 개요


제1차 세계 대전 말, 1918년 10월 24일~11월 3일까지 이탈리아 왕국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에 벌어진 전투. 안 그래도 상태가 좋지 못하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숨통을 끊은 전투다. 이탈리아측은 자국을 주축으로 한 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미국 등의 지원군을 포함한 57개 사단을 동원하였고 오스트리아군은 61개 사단을 동원한다.
다이스가 제작한 게임이자 제1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하는 FPS 게임배틀필드 1의 캠페인 미션 중 하나인 '''사보이아에 영광이 있으라!!'''와 오퍼레이션 모드 중 하나인 '''철벽'''이 이 전투를 배경으로 했다.

2. 전개


[image]
해당 전투 직전 벌어졌던 피아베 강 전역에서 이탈리아는 승리를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손초 전역에서의 막대한 손실카포레토 전투의 패전으로 인한 트라우마인지 대규모 공격을 꺼리고 있었으나 협상군 총사령관을 맡은 포슈 장군의 명으로 결국 대규모 공격을 펼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군은 우선 피아베 강을 건넌 뒤 비토리오 베네토로 진격해 오스트리아군을 격파하고, 알프스 산맥 남단까지 진격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오스트리아군은 마지막 힘을 쥐어짜 저항했으나 중과부적으로 밀려났다. 이탈리아 10군이 피아베 강을 건너 오스트리아군의 저항선을 무너트린 뒤인 10월 30일, 비토리오 베네토가 점령되었고 오스트리아 방어군 주력은 양분되어 이탈리아군에게 포위당했다.
11월 2일, 이탈리아군의 기세를 탄 공격에 오스트리아 탈리이멘토가 점령되었고, 완전히 싸울 의욕을 잃은 오스트리아는 이튿날 휴전을 제의해 전투가 끝났다. 이 전투에서 참패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파멸의 길을 걷게 되었고 채 열흘도 지나지 않아 제국은 멸망하고 전쟁에서 패배, 600년 넘게 이어진 합스부르크 왕조도 그 막을 내리게 된다.
이 전투의 지휘관인 아르만도 디아츠는 앞선 피아베 강 전투에서도 승리로 이끈 지휘관이였고, 공적을 인정 받아 '승리의 공작'이라는 칭호까지 받게 된다.

3. 분석


이토록 이탈리아군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원인은 이탈리아군의 작전이 훌륭했던 것 외에도 오스트리아군의 상태가 개판이었던 것도 있는데 다음과 같다.
  • 독일의 미지원
독일도 오스트리아가 그 방면 고기방패를 해주는 걸 알고 있었기에 독일 측에선 자국 근방에서 전쟁이 나는 걸 막기 위해서라도 오스트리아가 침략당하면 울며 겨자먹기로 지원을 보내주는 게 일종의 관례였고 필수적인 일이었다. 문제는 1918년 10월 독일은 오스트리아 내부 상황과 비슷할 정도로 남들 걱정해줄 처지가 아니었던지라 지원을 가지 못했다. 이 당시 독일 제국루덴도르프 공세 실패 이후 서부전선에서 연합군의 총공격을 받고 전선 자체가 무너지는 상황이었다. 실제로 1차대전은 고작 1달 뒤에 독일이 항복하며 끝난다.
  • 오스트리아의 병력 부족
이손초 전투 항목만 봐도 오스트리아군이 이탈리아 전선에서 얼마나 많은 병력을 이탈리아군에게 갈아먹었는지 알 수 있다. 이미 제 코가 석자인 독일이 지원을 포기한 상황에서 오스트리아는 다국이 힘을 모은 협상군을 상대로 오스트리아 혼자서 상대해야 했고 심지어 자기 땅이라는 어드밴티지에도 불구 병력차도 그리 크지 않았다. 4개 사단 12만명의 차이인데, 오스트리아가 자국을 수비하는 입장이라는걸 고려하면 오스트리아는 말그대로 거의 모든 군사를 끌어온 것이지만 협상국 측은 이탈리아만 해도 자국을 지킬 병력은 남겼을 테고 애초에 오스트리아측 병력 자체도 한곳에 집결할 수도 없었으니 오히려 수비측이 군사가 더 적었다는 뜻이 된다.
  • 오스트리아 내부 사정
이 시점에서 오스트리아는 이미 내전만 안 일어났지 내부적으로 갈라질 만큼 갈라진 상황이었다. 이 시기의 오스트리아군은 탈주는 기본이요 적전도주도 밥먹듯이 일어나던 시기였다. 당장 위의 기록만 봐도 포로가 40만 명이 넘는다. 저게 진짜 기록대로라고 해도 전 병력의 25%나 되는 숫자가 그대로 포로로 넘어갔다는 것. 그 정도로 오스트리아 내부 사정은 좋지 못했고 꽤 전에 벌어진 10월 전쟁의 패전을 기점으로 오스트리아 멸망은 카운트다운만 재던 상황이었다. 당시 오헝제국의 기록만 봐도 독일계, 헝가리계 사람들도 전쟁에 지쳐서 학을 떼고 있었으며, 제국을 이끌어 나가던 독일계, 헝가리계 사람들이 이 정도였으니 슬라브계나 이탈리아계, 루마니아계 사람들은 말할 필요조차 없었던 상황이었다. 협상군이 진격하면 슬라브계 병사들은 그냥 대거 항복하는 경우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