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신문)

 

社說
신문에서 각종 사건에 대한 회사의 공식 입장을 게재하는 란을 가리킨다. 신문의 맨 뒤에 있는 오피니언 코너에서 볼 수 있다.[1] 특이한 예로 아예 신문 1면에 사설을 게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통사설'''이라고 한다.[2] 신문사가 아무리 극단적 이념을 지향하더라도 일반적인 기사에서 보도 자체는 사실에 입각하여 객관적으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3] 사설 만은 예외로 각종 사건에 대하여 신문사 자신의 주관적 관점을 담아서 내보내는 공간이 사설이다. 때문에 사설은 신문이 어느 이념을 지향하는지 가장 자세하게 알 수 있는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조중동, 한경오의 사설을 보면 신문들이 어떠한 이념을 지향할 수 있는지 대강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사설은 '''해당 언론사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는 것'''[4]이기 때문에 '기명', 즉 이름을 남기는 기사가 아니다. 그래서 아무리 내용이 어처구니 없거나 짜증나도, 혹은 극히 동의하더라도 그 사설을 쓴 사람이 누군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이름을 공개하고 쓰는 경우도 꽤 있고, 각 논설위원마다 그 전에 썼던 글들의 필체가 알려져 있는 경우도 많아서 누가 썼는지 유추되는 경우가 많다. 주필이 이름을 내걸고(혹은 자신의 글임이 확 티나도록) 쓰는 글이라면 대체로 시사에 대한 그 언론사의 의견을 강하게 피력하려는 고의적 태도로 간주된다. 물론 이를 기명이라는 속성때문에 사설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논설(칼럼)이라고 분류하기도 하기 때문에 이를 두고 사설(社說)이냐 아니냐는 언론계 내에서도 논쟁거리가 될 수 있다.
신문사 내에는 편집국과 함께 쌍벽을 이루는 '논설위원실'이란 곳이 있는데, 논설위원실장은 편집국장과 비슷한 경력, 비슷한 위상을 가진다.[5] 이들은 실제 현장 취재와 편집을 담당하는 게 아니고 '논설', 즉 사설을 담당하는 이들이다. 그러나 논설위원들은 대부분 기자 출신이였기 때문에, 논설위원들이라고 취재 경험에 대하여 전무한 것은 절대 아니다. 오히려 현직 기자들의 선배이며, 수십 년간의 기자 경험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이 자리잡혔다고 언론사 내에서 인정되어야 논설위원이 된다.[6] 일간지에는 매호 3~4 꼭지의 사설[7]이 실리는데, 이 사설을 쓰는 것이 논설위원실의 존재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논설위원이 기명칼럼을 쓰는 경우도 많이 있다. 논설위원 수가 4~5명 정도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많은 직급이 필요치 않은 관계로, 논설위원실장과 일반 논설위원만 있는 경우가 많지만, 종종 논설차장이나 수석논설위원[8] 같은 직급을 따로 두는 경우도 있다.
그 논설위원실장 위에 있는 것이 바로 '주필'이며, 일반적으로 논설위원실장 출신 중에서 주필이 되는데, 주필이 되었다고 하면 사실상 언론인으로서 한 언론사의 정점을 찍었다고 간주되며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다. 주필은 편집국장보다도 높기 때문에 사설에만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신문 전체의 편집 방향에 관여한다. 언론계의 정점으로, 언론에서 말하는 '데스크'의 정점이기도 한 것이 바로 주필이다. 주필이 쓰는 사설은 영향력이 크며, 보통 그 신문사 전체의 의견으로 간주된다. 실제로는 그 위의 언론사 사주(사장)가 있는 경우가 많다는 이야기가 정설이지만, 원칙적으로 사장은 언론의 방향에 직접 관여할 수 없다.
간혹 입시 중에 논술 전형 대비를 한다면서 사설을 꼭 읽어보라는 식으로 홍보하는데, 신문을 안 읽는 것보다는 읽는 것이 도움이 되겠지만 그렇게 직접적으로 도움되지 않는다. 특히 사설은 논리적 구조보다는 주장을 드러내는 데에 훨씬 치중하는 글이기 때문에 논술에서 매우 안 좋은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논리적 비약, 사실관계의 오류, 주관적인 서술, 자잘한 맞춤법 오류 등이 의외로 많다. 애초에 몇 안 되는 논설위원들이 길어봐야 1주일에 한 번 쓰는 글이 교수들이 몇 달 동안 고심해서 내는 논술 문제의 퀄리티에 맞먹을 리가 없다. 사설은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구나' 라고 생각하면서 비판적으로 읽는 것이 수험생들에게 권장된다. 사설의 서술 방식을 곧이 곧대로 체화시키지 않도록 하자.


[1] 과거에는 대부분의 신문이 신문의 2번째 페이지에 사설을 실었는데, 지금은 그런 신문이 없다.[2] 예시로 조선일보는 북한의 1차 핵실험과 연평도 포격 사태 당시 통사설을 게재한 적이 있다.[3] 다만 언론플레이를 한다면 해당 신문에 불리한 기사는 내보내지 않거나 축소 보도를 할 수도 있다.[4] ''''私(개인 사)' '''가 아니라 ''''社(회사 사)' '''다.[5] 그러나 논설위원실장이 편집국장보다 더 선배이고 언론계 위상이 높은 대신, 정치-경제-사회면 쪽 핵심적인 사안 이외의 편집 방향에 관여를 하지 않아 실질적 영향력이 적은 경우도 많다.[6] 또한, 소수지만 기자 출신이 아님에도 논설위원이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언론학 관련 박사, 교수 출신으로 (언론사 직원 신분이 아니었더라도) 칼럼을 쓴 경험이 많거나 하는 등 언론 관련 '''사회적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도 존재한다. 그렇기에 글''''만' '''쓸 줄 안다고 논설위원이 될 수는 없다.[7] 중앙일보는, 글자 포인트를 10.2포인트에서 10.8포인트로 확대시키기 이전에는 매호 3 꼭지의 사설이 실렸으나, 글자 포인트를 확대시킨 2019년 3월 18일 부터는 매호 2 꼭지의 사설이 실린다.[8] 사실상 두 직급은 명칭만 언론사별로 다를 뿐이고, 실질적으로는 같다. 논설위원실장 바로 다음 위치를 차지한다. 편집국으로 치면 편집국장에 이은 부국장급이다. 예를 들어 'XX일보 논설(수석)위원 이OO 수석'이라고 하면 '아 그 신문사 논설위원 넘버2'(주필 제외)라고 생각하면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