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클로이드
1. 개요
cycloid · 擺線[1]
원을 직선 위에서 굴렸을 때, 원 위의 한 정점이 그리는 자취를 말한다.
2. 사이클로이드의 방정식
[image]
위 그림과 같이 중심이 $$\mathrm{C}$$이고, 반지름 $$r$$인 원을 고려하고, 이 원이 $$x$$축과 접하면서 굴러간다고 생각해보자. 우리는 원 위의 점 $$\mathrm{P}$$가 초기엔 원점에 있었다 가정하고, 원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theta$$만큼 회전하여 위 그림처럼 된 경우라고 생각해보자.
유도에 앞서 점 $$\mathrm{H}$$는 점 $$\mathrm{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 점 $$\mathrm{I}$$는 점 $$\mathrm{C}$$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 점 $$\mathrm{K}$$는 점 $$\mathrm{P}$$에서 선분 $$\mathrm{CI}$$에 내린 수선의 발임을 밝히고 간다.
우선 점 $$\mathrm{P}$$의 $$y$$좌표부터 구해보자. 이것은
$$\displaystyle \begin{aligned} y=\overline{\mathrm{CI}}-\overline{\mathrm{CK}}&=r(1-\cos{\theta}) \end{aligned} $$
$$x$$좌표는 조금 구하기 까다로우며, $$\overline{\mathrm{OI}}$$가 $$\theta$$ 만큼 회전하면서 원호가 휩쓸고간 길이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렇다면, 구하는 것은
$$\displaystyle \begin{aligned} x=\overline{\mathrm{OI}}-\overline{\mathrm{HI}}&=r(\theta-\sin{\theta}) \end{aligned} $$
따라서 우리는 사이클로이드의 $$\theta$$에 대해 아래와 같은 매개변수 방정식을 얻는다.
$$\displaystyle \begin{aligned} x&=r(\theta-\sin{\theta}) \\ y&=r(1-\cos{\theta}) \qquad (0 \leq \theta \leq 2 \pi) \end{aligned} $$
$$\displaystyle \left | 2 \pi \left [ \left ( \frac{1}{2} - \frac{x}{2 \pi r} \right ) - 1 \right ] + \frac{x}{r} \right | = \cos^{-1}{\left (1 - \frac{y}{r} \right )} - \sqrt{\frac{2y}{r} - \frac{y^2}{r^2}}$$
[image]
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사이클로이드는 $$x= 2 \pi r$$를 기준으로 주기적이다. 이것은
$$\displaystyle x(\theta+2 n \pi)=x(\theta)+2 n \pi r \qquad \qquad y(\theta)=y(\theta + 2n\pi)$$
2.1. 접선의 방정식
접선의 기울기는 매개변수 방정식의 미분법으로 구할 수 있다. 곧,
$$\displaystyle \frac{\displaystyle \frac{dy}{d \theta}}{\displaystyle \frac{dx}{d \theta}}=\frac{\sin{\theta}}{1-\cos{\theta}} =\cot{\frac{\theta}{2}} $$ }}}
으로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displaystyle \begin{aligned} x&=r(\theta-\sin{\theta}) \\ y&=r(1-\cos{\theta}) \end{aligned} $$
$$\displaystyle y= \cot{\frac{\theta}{2}}[x-r(\theta-\sin{\theta}) ]+r(1-\cos{\theta}) $$
2.2. 곡선의 길이
우리는 이 문단에서 부터 한 주기($$0 \leq \theta \leq 2 \pi$$)의 곡선의 길이를 구해보고자 한다. 이것은 아래의 적분
$$\displaystyle \int_{0}^{2 \pi} \sqrt{\left( \frac{dx}{d \theta} \right)^{2}+\left( \frac{dy}{d \theta} \right)^{2}}\,d \theta$$
$$\displaystyle \frac{dx}{d \theta}=r (1-\cos \theta) \qquad \qquad \frac{dy}{d \theta}=r\sin{\theta}$$
$$\displaystyle \begin{aligned} \sqrt{\left( \frac{dx}{d \theta} \right)^{2}+\left( \frac{dy}{d \theta} \right)^{2}} &=r \sqrt{(1-\cos{\theta})^{2}+\sin^{2}{\theta}} \\&=r \sqrt{2-2\cos{\theta}} \\&=2r \sqrt{\sin^{2}{\frac{\theta}{2} } } \\&=2r \sin{\frac{\theta}{2}} \end{aligned}$$
이상에서 구하는 곡선의 길이는
$$\displaystyle 2r \int_{0}^{2\pi} \sin{\frac{\theta}{2}}\,d \theta=8r$$
2.3. 넓이
우리는 한 주기의 사이클로이드 곡선과 $$x$$축이 둘러싸는 넓이를 구해보자. 미소 면적은 $$y$$와 $$x$$축 상의 미소 길이 $$dx$$의 곱인
$$\displaystyle dA=y\,dx$$
$$\displaystyle dx=r(1-\cos{\theta})\,d \theta$$
$$\displaystyle A=r^{2}\int_{0}^{2\pi}(1-\cos{\theta})^{2} \,d \theta=3 \pi r^{2}$$
3. 사이클로이드의 변형
3.1. 하이포사이클로이드
'''하이포사이클로이드(Hypocycloid)'''는 사이클로이드의 변형의 한 종류로서, 사이클로이드가 직선 상 원을 굴렸을 때, 원 위의 한 점의 자취를 나타낸다면, 하이포사이클로이드는 어떤 원보다 작은 반지름의 원이 내접하면서 그 원의 원호 상에서 굴러갈 때, 작은 원 위의 한 점의 자취이다. 아래의 그림이 이 설명을 잘 나타내고 있다.
3.1.1. 곡선의 방정식
[image]
위 그림과 같이 큰 원의 반지름을 $$R$$, 작은 원의 반지름을 $$r$$이라 하자. 편의 상 점 $$\mathrm{P}$$는 큰 원과 양의 $$x$$에 대하여, $$x$$축과 교점인 곳에 있었다고 하자.(위의 정의 그림 참고.) 선분 $$\mathrm{QK}$$는 $$x$$축과 평행하며, 작은 원의 중심을 $$\mathrm{Q}$$라 하면, $$\overline{\mathrm{OQ}}=\overline{\mathrm{OL}}-\overline{\mathrm{QL}}=R-r$$이므로
$$\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mathrm{OI}}&=(R-r)\cos{\theta} \\ \overline{\mathrm{IQ}}&=(R-r)\sin{\theta} \end{aligned}$$
$$\displaystyle \begin{aligned} x&=\overline{\mathrm{OI}}+\overline{\mathrm{JP}} \\ y&=\overline{\mathrm{IQ}}-\overline{\mathrm{QJ}} \end{aligned}$$
$$\displaystyle \begin{aligned} x&=(R-r)\cos{\theta}+r\cos{\varphi} \\ y&=(R-r)\sin{\theta}-r\sin{\varphi} \end{aligned}$$
$$\displaystyle r(\theta+\varphi)$$
$$\displaystyle R \theta=r(\theta+\varphi) \,\to\, \varphi=\frac{R-r}{r}\theta$$
$$\displaystyle \begin{aligned} x&=(R-r)\cos{\theta}+r\cos{\left( \frac{R-r}{r}\theta \right)} \\ y&=(R-r)\sin{\theta}-r\sin{\left( \frac{R-r}{r}\theta \right)} \end{aligned}$$
$$\displaystyle \begin{aligned} x&=r(k-1)\cos{\theta}+r\cos{[(k-1)\theta]} \\ y&=r(k-1)\sin{\theta}-r\sin{[(k-1)\theta]} \end{aligned}$$
[image]
3.2. 에피사이클로이드
'''에피사이클로이드(Epicycloid)'''는 사이클로이드의 변형의 한 종류로서, 사이클로이드가 직선 상 원을 굴렸을 때, 원 위의 한 점의 자취를 나타낸다면, 에피사이클로이드는 어떤 원이 다른 원에 외접하면서 그 원의 원호 상에서 굴러갈 때, 굴러가는 원 위의 한 점의 자취이다. 아래의 그림이 이 설명을 잘 나타내고 있다.
3.2.1. 곡선의 방정식
[image]
위 그림과 같이 반지름 $$R$$의 원과, 그 원에 외접하는 반지름 $$r$$의 원을 고려하자. 편의 상 점 $$\mathrm{P}$$는 반지름 $$R$$의 원과 양의 $$x$$에 대하여, $$x$$축과 교점인 곳에 있었다고 하자.(위의 정의 그림 참고.) 선분 $$\mathrm{QK}$$는 $$x$$축과 평행하며, 작은 원의 중심을 $$\mathrm{Q}$$라 하면, $$\overline{\mathrm{OQ}}=\overline{\mathrm{OL}}+\overline{\mathrm{LQ}}=R+r$$이므로
$$\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mathrm{OI}}&=(R+r)\cos{\theta} \\ \overline{\mathrm{IQ}}&=(R+r)\sin{\theta} \end{aligned}$$
[2] $$k$$가 유리수라면, 닫힌 곡선이 되며, $$k$$가 무리수라면 열린 곡선으로, 결국 $$R-2r \leq \rho \leq R$$영역을 가득 메우게 된다. $$\rho$$는 원점으로 부터 임의의 점까지의 거리이다.
$$\displaystyle \begin{aligned} x&=\overline{\mathrm{OI}}+\overline{\mathrm{JP}} \\ y&=\overline{\mathrm{IQ}}-\overline{\mathrm{QJ}} \end{aligned}$$
$$\displaystyle \begin{aligned} x&=(R+r)\cos{\theta}+r\cos{\varphi} \\ y&=(R+r)\sin{\theta}-r\sin{\varphi} \end{aligned}$$
$$\displaystyle r[\pi-(\theta+\varphi) ]$$
$$\displaystyle R \theta=r[\pi-(\theta+\varphi) ] \,\to\, \varphi=\pi-\frac{R+r}{r}\theta$$
$$\displaystyle \begin{aligned} x&=(R+r)\cos{\theta}-r\cos{\left( \frac{R+r}{r}\theta \right)} \\ y&=(R+r)\sin{\theta}-r\sin{\left( \frac{R+r}{r}\theta \right)} \end{aligned}$$
$$\displaystyle \begin{aligned} x&=r(k+1)\cos{\theta}-r\cos{[(k+1)\theta]} \\ y&=r(k+1)\sin{\theta}-r\sin{[(k+1)\theta]} \end{aligned}$$
[image]
참고적으로 $$k=1$$일 때는 아래와 같은 에피사이클로이드가 나온다.
[image]
바로, 심장형 곡선이라 불리는 '''카디오이드(Cardioid)'''이다.
4. 물리학적 문제
5. 관련 문서
[3] $$k$$가 유리수라면, 닫힌 곡선이 되며, $$k$$가 무리수라면 열린 곡선으로, 결국 $$R \leq \rho \leq R+2r$$영역을 가득 메우게 된다. $$\rho$$는 원점으로 부터 임의의 점까지의 거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