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클로이드/물리학적 문제
1. 개요
이 문서에서는 사이클로이드와 관련된 물리학적 문제를 다룬다. 대표적인 두 예제로, "최속 강하 곡선 문제(Brachistochrone problem)"와 "등시 곡선 문제(Tautochrone problem)"이 있다.
2. 상세
2.1. 최속 강하 곡선 문제
최속 강하 곡선 문제(Brachistochrone problem)란, 중력장 하에서 임의의 두 점 사이를 물체가 내려올 때, 하강 시간이 최소가 되는 두 점을 잇는 곡선을 구하는 문제이다.
1679년, 라이프니츠의 제자였던 베르누이는 뉴턴에게 도발하기 위해 이 문제를 수학 학회지에 제시했고, 이것을 본 뉴턴은 12시간 만에 풀었다는 일화가 있다.
이 문제는 변분법의 대표적인 예제로 주어지고, 세계의 모든 학생들이 변분법을 접하게 되면서 한 번 쯤은 풀고 가게되는 유명한 문제이다.
[image]
문제를 간단히 하기 위해 곡선의 시작점을 원점으로 설정하고, 임의의 한 점 $$(x_{1},\,y_{1})$$을 이으며, 우리가 설정한 조건에 만족하는 곡선을 $$y$$라 놓자. 이때, 역학적 에너지 보존에 의해 $$y$$만큼 낙하했을 때, 물체의 속력을 $$v$$라 놓으면
$$\displaystyle mgy=\frac{1}{2}m v^{2} \, \to \, v=\sqrt{2gy} $$
$$\displaystyle \mathrm{d}t=\frac{\mathrm{d}s}{v} $$
$$\displaystyle \mathrm{d}s=\sqrt{1+y'^{2}}\,\mathrm{d}x $$
$$\displaystyle t=\frac{1}{\sqrt{2g}} \int_{0}^{x_{1}} \frac{\sqrt{1+y'^{2} } }{\sqrt{y}}\,\mathrm{d}x $$
$$\displaystyle J(y,\,y',\,x) \equiv \frac{\sqrt{1+y'^{2} } }{\sqrt{y}} $$
$$\displaystyle J-y'\frac{\partial J}{\partial y'}=\text{const.}$$
$$\displaystyle \frac{1}{\sqrt{y}\sqrt{1+y'^{2} } }=\sqrt{C} $$
$$\displaystyle \frac{\mathrm{d}y}{\mathrm{d}x}= \sqrt{\frac{1-Cy}{Cy}}$$
$$\displaystyle y \equiv \frac{1}{C} \sin^{2}{\frac{\theta}{2}}$$
$$\displaystyle x=\int \sqrt{\frac{Cy}{1-Cy}} \,\mathrm{d}y $$
$$\displaystyle x=\frac{1}{2C}(\theta-\sin{\theta})+c$$
$$\displaystyle x=r(\theta-\sin{\theta}) \qquad \qquad y=r(1-\cos{\theta})$$
아래의 그림은 위의 내용을 시각화한 것이다.
[image]
참고로 각 곡선은 위에서부터 직선, 포물선, 원, 사이클로이드, 육차 곡선[1] 이다.
2.2. 등시 곡선 문제
등시 곡선 문제(Tautochrone problem)는 중력장 하에서 물체를 곡선 위의 어디에 놓는지에 상관없이 그 물체가 최하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같아지는 곡선을 찾는 문제이다. 사이클로이드는 이 문제를 만족하는 곡선이며, 이것은 1659년 호이겐스에 의해 증명되었다.
[image]
위 그림과 같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x&=r(\theta-\sin{\theta}) \\
y&=-r(1-\cos{\theta}) \qquad (0 \leq \theta \leq \pi) \end{aligned} )]
[1] 최고 차항이 6차항인 곡선.
$$\displaystyle \begin{aligned} x_{0}&=r(\theta_{0}-\sin{\theta_{0}}) \\ y_{0}&=-r(1-\cos{\theta_{0}}) \end{aligned} $$
우리는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이 법칙을 이용하여 $$y$$에 도달했을 때에 대해 쓰면
$$\displaystyle gy_{0}=gy+\frac{1}{2}v^{2} $$
$$\displaystyle -gr(1-\cos{\theta_{0}})=-gr(1-\cos{\theta})+\frac{1}{2}v^{2} $$
$$\displaystyle v=\sqrt{2gr}\sqrt{ \cos{\theta_{0}}-\cos{\theta} }$$
$$\displaystyle \mathrm{d}t=\frac{\mathrm{d}s}{v} $$
$$\displaystyle \mathrm{d}s=2r\sin\frac{\theta}{2}\,\mathrm{d}\theta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rm{d}t&=\sqrt{\frac{2r}{g}}\frac{\displaystyle \sin\frac{\theta}{2}}{\displaystyle \sqrt{ \cos{\theta_{0}}-\cos{\theta} }}\,\mathrm{d}\theta \\
&=\sqrt{\frac{r}{g}}\frac{\displaystyle \sin\frac{\theta}{2}}{\displaystyle \sqrt{ \cos^{2}{\frac{\theta_{0}}{2}}-\cos^{2}{\frac{\theta}{2}} }} \,\mathrm{d}\theta \end{aligned} )]
$$\displaystyle t= \sqrt{\frac{r}{g}} \int_{\theta_{0}}^{\pi} \frac{\displaystyle \sin\frac{\theta}{2}}{\displaystyle \sqrt{ \cos^{2}{\frac{\theta_{0}}{2}}-\cos^{2}{\frac{\theta}{2}} }} \,\mathrm{d}\theta $$
$$\displaystyle z \equiv \frac{\displaystyle \cos{\frac{\theta}{2} } }{\displaystyle \cos{\frac{\theta_{0}}{2} } }\, \to \, \mathrm{d}z=-\frac{1}{2}\frac{\displaystyle \sin{\frac{\theta}{2} } }{\displaystyle \cos{\frac{\theta_{0}}{2} } }\,\mathrm{d}\theta $$
$$\displaystyle \begin{aligned} t&=2 \sqrt{\frac{r}{g}} \int_{0}^{1} \frac{1}{\sqrt{1-z^{2} } }\,\mathrm{d}z \\ &={\pi}\sqrt{\frac{r}{g}} \end{aligned} $$
위 결과에서 우리는 점 $$\mathrm{P}$$의 위치에 관계없이 최저점 $$\mathrm{Q}$$까지 낙하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상수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위 논의를 확장해 사이클로이드 면 위에 놓인 물체의 진동 운동의 주기 또한 등시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구한 낙하시간 $$t$$는 해당 진동 운동의 1/4주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이클로이드 면 위에 놓인 물체의 진동 주기는
$$\displaystyle T=2 \pi \sqrt{\frac{4r}{g}} $$
여담으로 이러한 등시성은 진자시계를 만드는 데 활용되었다.
아래는 이를 시각화한 그림이다.
[image]
2.2.1. 사이클로이드 진자
[image]
사이클로이드 진자란, 위 그림처럼 $$\mathrm{A \to O}$$, $$\mathrm{O \to B}$$가 형성하는 원의 반지름이 같은 사이클로이드 반주기 곡선에 해당하고, 길이가 반주기의 사이클로이드 곡선과 같은 줄을 물체와 연결하고, 점 $$\mathrm{O}$$에 매단 진자를 의미한다.
우리는 윗 문단에서 '중력장 하에서 사이클로이드 궤도는 등시 곡선 궤도로 움직이는 것이므로, 곧 운동의 주기는 물체의 초기위치가 어디든 상관없이 같다'는 것을 증명했다.
따라서 우리가 추가로 두 가지만 더 증명한다면, 위 사이클로이드 진자 역시 물체의 초기 위치에 상관없이 운동 주기가 같음을 보일 수 있다. 그 두 가지는 아래와 같다.
- 물체가 움직이는 경로 $$\mathrm{A \to C \to B}$$는 사이클로이드이다.
- 장력과 운동 방향은 수직하다.
문제를 쉽게 해결하기 위해, 선분 $$\mathrm{OC}$$를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이라는 사실을 이용하자. 따라서 $$\mathrm{C \to B}$$인 경우만 볼 것이다. 이것을 좌표 평면 상에 다음과 같이 나타내자.
[image]
이 때, 점 $$\mathrm{P}$$는 사이클로이드 면 $$\mathrm{C \to B}$$ 상의 점이고, 점 $$\mathrm{K}$$는 물체가 위치하는 점이다. 점 $$\mathrm{P}(x_{\mathrm{P}},\,y_{\mathrm{P}}) $$는 $$\theta$$에 대한 매개변수 방정식
$$\displaystyle \begin{aligned} x_{\mathrm{P}}&=a(\theta-\sin{\theta}) \\ y_{\mathrm{P}}&=-a(1-\cos{\theta})+2a \end{aligned} $$
$$\displaystyle \int_{0}^{\theta} \sqrt{\left( \frac{\mathrm{d}x_{\mathrm{P} } }{\mathrm{d} \theta} \right)^{2}+\left( \frac{\mathrm{d}y_{\mathrm{P} } }{\mathrm{d} \theta} \right)^{2}}\,\mathrm{d} \theta=4a \left(1-\cos{\frac{\theta}{2}} \right) $$
$$\displaystyle 4a-4a \left(1-\cos{\frac{\theta}{2}} \right)=4a\cos{\frac{\theta}{2}} $$
이제 우리는 각 $$\varphi$$에 대한 정보를 얻자. 선분 $$\mathrm{PK}$$의 기울기는 $$\tan{(\varphi+\pi/2)}=-\cot{\varphi}$$이고, 적색 접선의 기울기는 매개변수 함수에 대한 미분법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displaystyle \frac{(\mathrm{d}y/\mathrm{d} \theta)}{(\mathrm{d}x/\mathrm{d} \theta)}=-\frac{\sin{\theta}}{1-\cos{\theta}}=-\cot{\frac{\theta}{2}} $$
$$\displaystyle -\cot{\varphi}=-\cot{\frac{\theta}{2}} \,\to \, \varphi=\frac{\theta}{2} $$
$$\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mathrm{HK}}&=4a\cos{\frac{\theta}{2}} \sin{\frac{\theta}{2}} &&=2a\sin{\theta} \\ \overline{\mathrm{PH}}&=4a\cos^{2}{\frac{\theta}{2}} &&=2a(\cos{\theta}-1) \end{aligned} $$
$$\displaystyle \begin{aligned} x&=a(\theta-\sin{\theta})+2a\sin{\theta} \\ y&=-a(1-\cos{\theta})+2a-2a(\cos{\theta}+1) \end{aligned} $$
$$\displaystyle \begin{aligned} x&=-a(\theta-\sin{\theta})+2a \theta \\ y&=a(1-\cos{\theta})-2a \end{aligned} $$
$$\displaystyle \begin{aligned} x&=-a(\theta-\sin{\theta}) \\ y&=a(1-\cos{\theta}) \end{aligned} $$
$$\displaystyle \begin{aligned} x&=-a(\theta-\sin{\theta})+2a \theta \\ y&=a(1-\cos{\theta})-2a \qquad (-\pi \leq \theta \leq \pi) \end{aligned} $$
'''[2] 장력과 이동 방향은 수직한 것 보이기'''
이것은 간단히 점 $$\mathrm{K}$$에서 그은 접선과 적색 직선이 수직함을 보이면 된다. 우리는 적색 직선의 기울기가
$$\displaystyle -\cot{\frac{\theta}{2}} $$
$$\displaystyle \frac{(\mathrm{d}y/\mathrm{d} \theta)}{(\mathrm{d}x/\mathrm{d} \theta)}=\frac{\sin{\theta}}{1+\cos{\theta}}=\tan{\frac{\theta}{2}} $$
$$\displaystyle -\cot{\frac{\theta}{2}} \cdot \tan{\frac{\theta}{2}}=-1$$
이상의 두 결과로부터, 우리는 이 상황이 곧 위에서 다뤘던 사이클로이드 면 위를 진동 운동하는 물체의 상황과 같음을 얻는다.[2] 또한, 해당 물체는 반지름이 $$a$$인 원이 굴러감으로써 형성되는 사이클로이드 궤도를 따르고 있고, 중력장에서 사이클로이드는 등시 곡선임을 위에서 증명했기 때문에 점 $$\mathrm{K}$$는 (모든 마찰을 무시한다면) 초기 위치가 $$\mathrm{A,\,B}$$ 사이 어디에 있든 주기
로 왕복 운동한다. 그런데 우리가 줄의 길이가 $$4a$$였음을 기억하고, 단진자 문서에 나온 미소 진동 시의 단진자 주기를 기억한다면, 곧 이 주기는 같은 길이의 줄의 단진자의 주기임을 알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단진자의 경우 진동 각이 커짐에 따라 오차가 나지만, 이 사이클로이드 진자를 이용하면, 진동 각에 관계 없이 진동 주기가 같기 때문에 진동 주기를 이용하여 단진자 보다 비교적 정확하게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실제로, 이 성질을 이용해 진자 시계를 만들기도 한다.
아래의 그림은 이상의 내용을 시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image]
3.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