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정고금예문

 


1. 소개
2. 상세


1. 소개


詳定古今禮文
고려 인종 때 최윤의(崔允儀)가 왕명을 받아 17명의 학자들과 함께 편찬한 전례서(典禮書). 총 50권으로 현존하지는 않는다. 원 명칭은 상정예문이지만 옛날 전례서의 자료들을 모아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상정고금예문'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2. 상세


예전부터 지금까지(古今) 내려오는 사람이 지켜야할 예의들을 기록(禮文)한 것으로 이후 최충헌이 책이 오래되고 낡았음을 지적하며 부족한 부분을 다듬어 새로 재작했다. 총 2부를 만들어 1부는 자신의 집에, 1부는 궁에 놔두었다고 한다. 이후 고려 고종 재임기인 '''1234년'''~1241년에 당시 집권자인 최이가 이를 '''금속활자로 찍어 배포'''했다.[1]
그러다 몽골의 침입이 일어나게되고 급히 천도를 하느라 궁에 있던 1부는 불에타 없어지고 최충헌의 집에 있던 1부가 가까스로 남아 이를 최우가 총 28부를 복사해 나누어 주었다. 이 때 이규보동국이상국집에 따르면 금속활자인 주자(鑄字)로 28부를 찍어 정부 기관에 나누어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것이 사실이라면 상정고금예문은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 기록으로 추정된다.[2] 다만 여몽전쟁으로 온 나라가 난리였던 통에 금속활자를 개발 및 주조를 할 여력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미 그 전부터 고려에 금속활자 개발 기술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으며 실제로 최이가 쓴 또다른 글에 따르면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3]를 주자로 찍어내어 민간에 배포했다고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 이전부터 고려가 금속활자 제조기술을 가지고 있었을 확률이 높다. 하지만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한 사실은 알수가 없다. 그런데 최근 연구 결과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목판본 중 하나인 공인본(보물 제758-2호)이 금속활자본으로 밝혀졌다.#
[1] 한국사 시험 문제에서 이규보나 몽골의 침략사, 고려의 문화사와 관련지어 보기로 제시되는 경우가 있지만 현존하지 않는 서적이기 때문에 직지심체요절 이나 다른 고려시대의 서적들보단 출제 빈도가 낮은 편이다. [2] 현존하는 최고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이 1377년이다.[3] 금속활자는 남아있지 않으나 목판본은 남아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보물 제75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