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

 

'''동명왕편 저술자
이규보
'''
[image]
'''시호'''
'''문순공(文順公)'''
'''본관'''
황려 이씨(여주 이씨)
'''이름'''
인저(仁氐) → 규보(奎報)
''''''
춘경(春卿)
''''''
지헌(止軒),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백운거사(白雲居士)
'''출생지'''
양광도(楊廣道) 원주(原州) 황려현(黃驪縣)
'''사망지'''
강도(江都)[1] 강화군(江華郡) 사택(私宅)
'''생몰연도'''
1168년 ~ 1241년 9월 2일
1. 소개
2. 역임 관작
3. 생애
4. 그의 작품들
5. 기타
6. 현대 창작물에서
6.1. 드라마
6.2. 게임
6.2.1. 징기스칸 4
7. 같이보기


1. 소개


고려 중기의 문관으로 어려서부터 시와 문장에 뛰어나 영웅서사시 동명왕편 등을 썼으며 벼슬에 임명될 때마다 즉흥시를 쓰기로 유명했다. 한국 문학사에 빼놓을 수 없는 빼어난 문인이지만 무신정권기 권력자에 아부하며 살아간 어용 지식인이라는 이면도 가지고 있다.
이규보에 관한 기록은 풍부한 편으로 고려사 이규보 열전, 이규보 묘지명, 동국이상국집 등이 있다.

2. 역임 관작


'''묘지명에 기록된 이규보의 사후 관작'''
'''시호'''
문순공(文順公)

'''문산계 품계'''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종 2품.
'''직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 수문전 대학사(修文殿 大學士) - 한림원사(翰林院事) - 수국사(修國史) - 판예부사(判禮部事)
평장사는 중서문하성의 차관, 수문전 대학사는 수문전에서 강의를 맡은 직위, 한림원사는 한림원[2]의 장관, 수국사는 사관의 차관, 판예부사는 상서성 예부의 장관이다.
'''수직'''
수태보(守太保)

'''태자삼사'''
태자태보(太子太保)
태자의 자문관, 태자의 스승.

3. 생애


경기도 여주시 출생으로 여주 이씨 가문 소속이다. 증조부는 이은백(李殷伯), 조부는 이화(李和), 아버지는 이윤수(李允綏), 어머니는 금란군군(金蘭郡君) 김씨다.[3]
본래의 이름은 인저(仁氐)로 부친은 호부낭중을 역임한 중앙 관료였다. 초년기에는 고생을 많이 한 사람인데 어렸을 적부터 시문에 뛰어나 수재 소리를 듣고 자랐지만 실전에서는 약했는지 과거 시험에 3번이나 떨어진 경력이 있다. 본인도 공부 안 했다는 걸 인정했는지 이 때는 때문에 망했다고 고백했다. 이렇게 적으면 n수생 이미지일 듯한데 15세, 18세, 20세 때 과거를 치렀다.
22세 때 4번째로 과거를 보게 되었는데 시험 전날 에서 문장을 관장하는 별인 규성(奎星)의 화신이 나타나서 "합격이요."라고 알려주었다고 한다. 결국 과거에서 규성의 말대로 장원으로 합격했는데 이후 '규성이 결과를 알려준 은혜를 보답한다.'는 의미에서 이름을 '규보(奎報)'로 바꾸었다고 한다.
진사 시험에 합격하기는 했는데 합격자들 사이의 석차가 꼴찌였다. 어지간히 자존심이 상했는지 합격을 취소하려고 했다가 아버지에게 혼나기도 했고 전례도 없었기 때문에 취소되지는 않았다. 어쨌든 합격을 해서 당시 축하 파티를 벌였는데 이규보가 자리에서 "내가 지금은 꼴찌지만 나중에 혹시 문생들 양성할 사람이 될지 어찌 알아요?"라고 주사를 부려 손님들이 비웃었다는 일화가 있다.
명종 말년에 자기 스스로 추천서를 써서 재상들에게 보냈고 재상들 역시 이규보를 명종에게 추천했으나 이규보를 싫어했던 사람이 있어서 등용되지 못했다. 그후 몇 년 간 저술 활동을 하다가 32세 때 전주의 하급관리로 임명되어 벼슬을 얻었는데 1년 3개월 만에 교체되었다. 상관이 재물을 탐하는 것에 대해 굽히지 않고 간언하다가 높으신 분들 눈 밖에 나버렸다.
그렇게 30대를 보냈는데 이규보 본인이 문집에서 밝힌 바로는 30대에 이미 귀 밑 머리가 하얗게 변했다고 한다. 그 사이 경상도 지역에서 농민 반란이 일어나자 조정에서는 과거에 급제했지만 아직 임관되지 못한 사람 중에서 종군 문관을 뽑으려고 했는데 이규보는 여기 자원해서 약 1년 정도 반란 토벌군에서 종군했다. 정식 직함은 '병마녹사 겸 수제'. 그런데 반란군 토벌 후 돌아온 뒤에 다른 사람들은 다 논공행상으로 벼슬이나 포상을 받았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이규보만 받지 못했다. 그래서 보다 못한 관리들이 왕에게 추천하여 직한림원에 임명되기는 했는데 그나마도 임시직. 실무는 모르면서 글만 좋은 백면서생도 아니고 나름대로 간언도 하고 일선에서 고생해가며 공을 세웠는데도 여주 출신 한미한 가문 소생이라는 이유로 바닥을 전전하며 젊은 시절이 다가버렸다.
이렇게 무의미한 나날을 보내던 이규보에게 인생을 뒤바꿀 절호의 기회가 찾아오게 되니, 당대 최고 권력자였던 최충헌이 이규보에게 문장을 적게 했는데 특유의 문장력을 선보이며 최충헌을 감탄시켰던 것. 최충헌은 이규보의 한림원 벼슬을 정규직으로 바꿔주었고 이후로도 최충헌의 초청을 받아 문장을 지어 올림으로써 최충헌의 신임을 받았다. 이후 계속 승진하여 마침내 이규보가 초로의 나이에 접어든 여몽전쟁기에 고려 조정을 총괄하는 재상 직에 올랐다. 재능에 비해 비교적 늦게 출세한 대기만성형 인물. 다만 그러다보니 최우강화도 천도에 찬성하는 등 문제가 많은 "최비어천가" 행보를 보인 것이 다소 흠이라면 흠. 사실 보잘 것 없는 뒷배경 때문에 늘 뒷전에 밀렸다가 최씨들의 눈에 들어 겨우 출세한 사람이니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긴 하다.

오랑캐 종족이 완악하다지만 어떻게 물을 뛰어건너랴.

저들도 건널 수 없음을 알기에 와서 진치고 시위만 한다오.

누가 물에 들어가라 명령하겠느냐. 물에 들어가면 곧 다 죽을 텐데.

어리석은 백성들아, 놀라지 말고 안심하고 단잠이나 자거라.

그들은 응당 저절로 물러가리니 나라가 어찌 갑자기 무너지겠는가.

- 동국이상국후집 권 5 고율시 89수

그러나 전술한 이유로도 전혀 커버가 안되는 이유는 위의 에서 볼 수 있듯 '최비어천가'에만 초점을 맞춘 탓에 시의 내용이 현실과 너무 괴리감이 심하여, 백성들의 고통은 완전히 무시되는 등 최씨 정권 관련 찬양 정도가 매우 심했기 때문.[4][5][6]
최우의 글씨를 칭찬하며 신품사현(神品四賢)으로 추켜세운 사람도 바로 이규보였다. 후대 유학자들에게 본인 특유의 문장력은 높이 평가받았지만,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이규보는 행보나 성품에 있어서는 그다지 좋은 평가를 듣진 못했다. 현대로 친다면 서정주와 비슷한 평가라 할 수 있겠다. 그의 작품들은 지금도 문학적, 현실적으로 가치가 높아 교과서에 그의 작품이 자주 실리는 편이다. 앞서도 언급되었지만 낮은 직책 전전하며 고생하고, 토벌군에 종군하여 참담한 실상도 봤던 이규보의 글에는 문인으로서는 현실을 다룬 이야기가 많다. 자신도 그렇고, 문학 세계도 그런 편이다.

4. 그의 작품들


  • 경설: 패관 문학 중 하나. 거사의 흐린 거울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본성을 '거울'에 빗대어 설명한다.
  • 국선생전: 고려시대 유행하던 산문문학 중 하나인 가전체로 쓰여진 소설. 을 의인화하여 주인공으로 삼았다.
  • 도소녀: 딸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작품.
  • 슬견: (벌레)와 의 죽음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 손님과 논쟁을 한 것을 적은 수필. 오늘날에는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나오며 동물학대 또는 개고기 관련 소식이 뜨면 자주 인용이 되는 글이다. '뒤집어 읽기를 통한 깨달음'이라는 작품에서는 슬견설 전체를 인용하여 슬견설의 주제를 편견을 버리고 폭 넓은 견해로 재해석해야 한다고 글쓴이가 말한다.
  • 주뢰설: 뇌물을 주지 않아 배가 나가지 않았다는 이야기. 당대의 극심한 정치적 부패를 우회적으로 까는 이야기이다.
  • 칠현설: 이인로가 포함된 죽림고회의 모임에 갔다가 깽판친 이야기로 무신정권기에 낙심한 문인들인 이인로 등이 죽림고회라고 해서 술 마시는 모임을 결성했다. 이들은 해좌칠현 혹은 대놓고 죽림칠현이라고 불렸는데, 이규보는 이들중 오세재와 인연이 깊어서 같이 드나들었다. 그런데 오세재는 가난 때문에 경주에 머무르다가 가장 빨리 죽었다. 때문에 이규보에게 가입하라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이규보는 혜강이 죽은 이후에 죽림칠현에 누가 가입했다는 소리는 못들어봤다고 하면서, 누군가 왕융 같은 이가 나오지 말라는 법이 있느냐가 했다고 한다. 이 글이 바로 이규보의 '칠현설'이다.
칠현설 - 이규보 -
先輩有以文名世者某某等七人, 自以爲一時豪俊,
선배유이문명세자모모등칠인, 자이위일시호준,
선배들 중에 세상에 문장으로 이름 난 모모 등 일곱 사람이, 스스로 한 때의 호걸이라 여겼는데,
遂相與爲七賢, 蓋慕晉之七賢也.
수상여위칠현, 개모진지칠현야.
드디어 서로 어울려서 칠현이라 하니, 대개 진 나라의 칠현을 사모한 것이다.
每相會, 飮酒賦詩, 旁若無人, 世多譏之, 然後稍沮。
매상회, 음주부시, 방약무인, 세다기지, 연후초저.
매번 서로 모여서, 술을 마시고 시를 지으며, 방약무인하였는데, 세상에서 빈정대는 사람이 많아지자, 기세가 조금 수그러졌다.
時予年方十九, 吳德全許爲忘年友, 每携詣其會.
​시여년방십구, 오덕전허위망년우, 매휴예기회
그때 내 나이 열아홉이었는데, 오덕전[7]이 망년우로 삼아, 항상 그 모임에 데리고 갔었다.
其後德全遊東都, 予復詣其會, 李淸卿目予曰, 子之德全, 東遊不返, 子可補耶.
기후덕전유동도, 여부예기회, 이청경목여왈, 자지덕전, 동유불반, 자가보야.
그 뒤에 덕전이 동도에 갔을 때[8], 내가 그 모임에 참석하였더니, 이청경[9]이 나를 보고 말하기를, 자네의 오덕전이, 동도에 가서 돌아오지 않으니, 자네가 그 보충이 되겠는가?
予立應曰. 七賢豈朝廷官爵, 而補其闕耶. 未聞嵇阮之後有承之者. 闔座皆大笑。
​ 여입응왈, 칠현기조정관작, 이보기궐야. 미문혜완지후유승지자. 합좌개대소
하기에,내가 곧 대답하기를, "칠현이 조정의 벼슬도 아닌데 어찌 그 빈 자리를 보충합니까. 혜강과 완적 이후에 이를 이었다는 말을 듣지 못했다[10]하니, 모두들 크게 웃었다.
又使之賦詩, 占春人二字. 予立成口號曰.
우사지부시 점춘인이자 여입성구호왈
또 나를 보고 시를 짓게 하면서, 춘(春)과 인(人) 두 자를 운자로 부르기에, 내가 금새 지어 읊었다
榮參竹下會, 快倒甕中春, 未識七賢內, 誰爲鑽核人。
영참죽하회, 쾌도옹중춘. 미식칠현내, 수위찬핵인
참람되게 죽림회에 참석하여, 유쾌하게 독안의 봄을 마시네. 씨에 구멍을 뚫을 인물[11]이 칠현중에서 누구인지 모르겠구나
一座頗有慍色, 卽傲然大醉而出.
일좌파유온색, 즉오연대취이출.
이에 앉아있던 사람들 모두가 불쾌해 하였으므로, 이내 대취한 상태로 거만하게 나왔다.
予少狂如此, 世人皆目以爲狂客也.
여소광여차 세인개목이위광객야
젊어서 이처럼 미친 짓을 하였으므로, 세상사람들은 모두 나를 광인이라고 하였다.
  • 영정중월: 5언절구. 해를 품은 달에 나와서 많은 이들에게 인식된 시.
詠井中月
영정중월
우물 속 달을 읊다
山僧貪月色
산승탐월색
산사의 승려가 달빛을 탐하여
幷汲一甁中
병급일병중
병 속에 물과 함께 담아가네
到寺方應覺
도사방응각
절에 도착하면 비로소 깨달으리
甁傾月亦空
병경월역공
병을 기울이면 달 또한 빈 것을
  • 절화행: 악부체 시. 부부의 다정한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다.
牡丹含露眞珠顆
모란함로진주과
모란꽃 이슬 머금어 진주 같으니
美人折得窓前過
미인절득창전과
신부가 (모란을) 꺾어 들고 창 앞을 지나다
含笑問檀郞
함소문단랑
웃음을 머금고 신랑에게 묻되
花强妾貌强
화강첩모강
"꽃이 낫나요 제 모습이 낫나요"
檀郞故相戱
단랑고상희
신랑이 일부러 장난치느라
强道花枝好
강도화지호
"꽃가지의 아름다움이 더 낫구려"
美人妬花勝
미인투화승
신부는 꽃이 더 낫다는 것을 질투해서
踏破花枝道
답파화지도
꽃가지를 밟아 짓뭉개며 말하되
花若勝於妾
화약승어첩
"만약 꽃이 첩보다 낫거든
今宵花同宿
금소화동숙
오늘밤은 꽃과 함께 주무시어요"
  • 여귀꽃과 백로
蓼花白鷺
요화백로
여귀꽃과 백로
前灘富魚蝦
전탄부어하
앞 개울에 물고기와 새우가 많아서
有意劈波入
유의벽파입
물 가르고 들어가려고 하는데
見人忽驚起
견인홀경기
사람을 보고 문득 놀라
蓼岸還飛集
요안환비집
여뀌꽃 언덕에 다시 날아와 모였다네



翹頸待人歸
교경대인귀
목을 빼고 사람 돌아가기를 기다리느라
細雨毛衣濕
세우모의습
가랑비에 날개 깃은 젖어가고
心有在灘魚
심유재탄어
마음은 오직 개울 물고기에 있건만
人道忘機立
인도망기립
사람은 속세의 욕심을 잊고 서 있다고 하네
뭐랄까 여러모로 후대의 윤치호와 많이 닮아있다.
  • 청강사자현부전
  • 소연명(小硯銘)
벼루여 벼루여, 네가 작다 하나 너의 부끄러움이 아니로다. 네 비록 한 치쯤 되는 웅덩이지만, 끝없는 뜻을 쓰게 하노라. 내 키가 비록 여섯 자나 되지만, 사업(事業)은 너를 빌려야 이뤄진다. 벼루여, 나와 너는 함께 돌아가리니, 살아도 너 때문이요, 죽어도 너 때문이라.

5. 기타


  • 역사에 관심이 많았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구삼국사동명왕편을 동국이상국집에 수록한 것으로 이를 삼국사기의 동명성왕본기와 비교할 수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신라에 대해서도 박인범, 설총, 최치원 등 훌륭한 인재를 배출해 천년 문명국가를 이루었다고 높게 평가했으며 특히 최치원을 높이 평가해 최치원이 당서 열전에 실리지 않은 것을 아쉬워하는 글을 동국이상국집에 남기기도 했다.
  • 백운거사(白雲居士)라는 호가 있고 그 외에 삼혹호(三酷好) 선생이라는 별명이 있었는데, 바로 , , 거문고를 좋아한다는 의미이다. 당대의 문장가이자 풍류인다운 면모. 이 사람의 문집이 바로 <동국이상국집>으로 아래에 열거된 작품들은 모두 이 책에 들어 있다. 동국이상국집에 수록된 이규보의 시는 무려 2천여 수에 이른다고 한다.
  • 여러모로 국문학계와 한문학계에서는 고려-조선 시대 문학사에서 따로 한 장을 구성할 정도로 중요한 인물. 당시 고려나 조선에서는 사장이 융성하여 시의 기교를 닦는 것이 극에 달했었는데, 이규보는 그런 송시풍의 시체나 용사를 쓰는 것을 남의 글을 도둑질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힐난하며 고려에 맞는 문체와 신어를 주장하며 애용했다.이러한 그의 생각은 한문학비평쪽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그의 문학논평인 논시중미지약언과 답전리지논문서에 자세히 나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당대시인 중 용사를 중요시했던 이인로와 대비되는 인물로 반드시 언급된다. 여말의 국문학계의 위치는 가히 조선의 셰익스피어급.
  • 1999년도 도쿄대학 입시 국어(한문편)에서 그의 '동국이상국집'이 출제되기도 했다.
  • 야사에 따르면 어릴 때 피부병을 앓았다가 미신만 믿고 방치해서 죽을 위기에 놓였었는데, 나중에 겨우 약을 쓰고 나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 '유아무와 인생지한有我無蛙 人生之恨'
'유아무와 인생지한有我無蛙 人生之恨'
이규보가 과거에 낙방하고 있을 때에, 집 문에 이 글귀를 붙였다. 왕(대부분은 명종이 언급된다)이 암행을 나갔을 때, 이 글을 보고 그 뜻을 알 수 없어서 주변 사람에게 물어봤더니
'노래를 잘 부르는 꾀꼬리에게 까마귀가 찾아와서 두루미를 심판으로 노래 대결을 하자고 청했다. 꾀꼬리는 쾌히 승락하고 3일간 노래 연습을 했는데, 까마귀는 노래는 부르지 않고 논밭을 뒤지면서 개구리를 잡았다. 그리고 그렇게 잡은 개구리 3마리를 두루미에게 주었다. 3일 후, 노래 대결을 하자 두루미는 승자를 까마귀라고 했다'
라는 것이다. 왕이 이 이야기를 듣고, 나중에 과거를 열면서 '유아무와 인생지한'을 시제로 내걸어서 이규보가 장원을 했다.
라는 일화가 떠돌고 있다. "내 한 몸은 있으되 개구리(뇌물)가 없는 게 인생의 한"이라는 표현을 통해 과거제가 비리로 얼룩져 있어 뇌물이 없는 자신은 급제하지 못하고 있음을 풍자한 것. 물론 이건 실제 역사와는 거리가 있는 이야기이지만, 재미있는 것은 두루미 혹은 학이 악역이라는 것이다.

6. 현대 창작물에서



6.1. 드라마


  • 무인시대에서 차광수가 분하였다. 백성의 삶을 개탄하며 무인집권자에게 쓴소리도 할 줄 아는 인물로 나오지만, 마지막회에선 결국 그 역시도 저항을 멈추고 권력에 편입되는 순간 어용지식인의 운명을 피할 순 없었다는 평이 붙었다.
  • 무신에서 천호진이 분하였다.

6.2. 게임



6.2.1. 징기스칸 4


[image]
'''징기스칸 4 일러스트'''[12]
일본에서도 유명한지 코에이푸른 늑대와 흰 사슴 시리즈에서도 고려의 문신으로 계속 등장한다. 원조비사에서는 시나리오 2에서[13] 한반도 지역의 재야인재로 등장하며 정치 C 전투 D 지도 D 매력 B로 고만고만한 능력치에 비교적 높은 매력이 인상적이다.
징기스칸 4의 경우 능력치는 정치 63, 전투 37, 지모 74이고 한글판에서는 85로 한글판에서 능력치가 상향되었다. 하지만 이 게임에서는 지모가 74라도 쓸만하다. 다만, 고증 오류가 있는데 원래 출생년도는 1168년 이지만 이 게임에서는 1178년으로 나온다.
오리지널 시나리오1에서는 한반도 지역의 재야인재로, PK 시나리오 1에서는 고려 고종의 신하로 등장 하는데, 지모가 상당히 높게 잡혀있어 등용 특기를 가진 최충헌과 더불어 미나모토노 요시츠네무사시보 벤케이를 고려의 장수로 영입 하거나 몽골로 가서 자무카의 부하인데 충성도가낮은 제베무카리[14] 그리고 징기스칸의 영역인 오논으로 들어간 다음 지모가 낮아서 충성도를 깍기가 용이한 수부타이와 친자 논란 때문에 충성도가 낮은 주치를 빼올 수 있다.
PK 시나리오 1에서는 김경손으로 정복 활동을 하긴 버겁지만 대신 이규보로 간첩 활동을 해서 세이브를 해놓은 다음 주변의 우수한 장수들을 빼낼 수 있다. 금나라완안진화상, 몽골 제국의 타향 장수라서 충성도가 쉽게 떨어지고 고려와 동일한 중국 문화권이라서 배반 커맨드 한방에 넘어올 수도 있는 야율초재, 장유, 사천택을 데려온 뒤 야율초재도 간첩 유닛으로 돌려서 회령에 있는 젊고 팔팔한 10대 청소년이며 수명도 긴 무장인 쿠빌라이훌라구를 데려오자. 그리고 고려에서 먼 사마르칸트에 있지만 가도가 깔려 있어서 이동이 수월 하고 아버지 주치와 마찬가지로 초기 충성도가 낮은 바투를 유언비어로 충성도를 깍고 배반으로 빼와도 된다.


7. 같이보기


[1] 원래는 고려 양광도 강화현이었지만 이 곳으로 천도하면서 도(都)로 승격되었다. 이는 광종이 개경을 황도(皇都), 서경을 서도(西都)로 개명했던 전례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2] 임금의 칙령, 조령, 제령 등을 서문화하는 부서.[3] 이상 이규보 묘지명 기록.[4] 정작 여몽전쟁 동안 최씨정권은 백성들의 삶을 망가뜨리는데 누구보다도 앞장선 내부의 적이었다. 그들은 애초부터 여몽전쟁을 제대로 이끌어 항쟁하는 것이나 여몽전쟁에서 빨리 항복이라도 해서 피해 최소화를 노려볼 생각도 없었다. 당시 최씨정권이 이런 어정쩡한 태도로 몽골과 대립하면서 질질 끈 이유는 몽골이 진짜로 이길 경우 자기들 권력을 잃을까봐 무서웠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몽골이 쳐들어와서 국토와 백성들의 삶을 짓밟고, 최씨 정권이 질 좋은 병사들은 죄다 자기 사병화를 시켜버려서 나머지 관군들의 질적 저하가 이어졌다. 그리고 최우는 몽골 1차 침공 때 방어선 역할을 하던 귀주성과 자주성에게 항복을 강요했다. 권력을 잃을게 무서워서였는데, 정작 귀주성과 자주성 쪽에 수도 개경의 병력을 보태면 1차 침공을 시전하던 몽골군을 물리칠 여력이 있었다. 즉 이길 기회를 스스로 날려먹은 것. 이래놓고 최우는 2차 침공의 빌미를 스스로 만들고야 만다.[5] 실제로 관군화된 최씨정권의 사병들(야별초)은 최씨정권이 실권을 쥔 동안 몽골군과 대치한 적이 한 5번 정도다. 이중 한계성 전투의 경우 정작 여몽전쟁 시기의 같은 고려인끼리 싸운 것들이다. 사병들 중에서도 사병 쪽에서 벗어나 몽골군과 싸우는 관군에게 참여하려던 사람들이 있긴 했다. 그러나 최씨정권에게 막혀서 이들도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 사례는 최씨정권이 몽골에게 왜 어중간한 태도로 저항하고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다.[6] 그리고 이 당시 국왕은 허수아비고 실권을 쥔 최우는 몽골의 2차 침공의 빌미를 만들어놓고서는 몽골의 3차 침공 당시 '''강화도에 틀어박혀서 국가 사정은 뒷전으로 하고 사치부리고 놀았다.''' 이규보는 이런 최우에게 열심히 아첨해왔던 것이다.[7] 오세재[8] 동도는 당시 동경으로 불렸던 경주로, 오세재의 외가가 있었다. 오세재는 이곳으로 가서 말직을 지내다가 생활고로 죽었다. 경주로 놀러간 것이 아니다.[9] 이담지[10] 혜강과 완적은 7현중에서 비교적 일찍 죽었다. 특히 혜강은 관직에 오르지 않고 사마씨 정권에 항거하다가 처형당했다.[11] 이를 죽림칠현의 핵심이 될 인물이라고 오역한 글도 있다. 그것도 문학사 관련해서. 사실은 본문에도 나오지만 왕융의 고사이다. 왕융은 자기집 자두를 팔면서 그 씨를 가져다가 싹을 틔울까 싶어서 자두 씨에 모두 구멍을 뚫었다는 일화가 유명할 정도로 죽림칠현의 이름에 먹칠을 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죽림고회에 참석한 이들 보고, 지금은 나름대로 관직을 떠나서 유유자적한다고 하지만 뒤에 왕융처럼 행동할 인물이 없으란 보장이 있느냐고 돌직구를 던지는 장면이다.[12] 그런데 고려고종과 동일한 얼굴이다. 그나마 이게 비스코 정발판에서 새로 추가된 것이고, 원판 파위업키트에선 아예 클론무장 얼굴로 뜬다(...).[13] 내수판에서는 유저 시나리오에서도 등장한다.[14] 무카리는 정확히 말하면 자무카의 영역인 고르고낙의 재야 장수라서 보통은 자무카가 징기스칸보다 먼저 영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