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올스타전

 

1. 목차
2. 역사
2.1.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2.1.1. 결과
2.2. Neowiz Pmang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2.2.1. 결과
2.3. SKY 프로리그 2005
2.3.1. 결과
2.4. SKY 프로리그 2006
2.4.1. 결과
2.5. SKY 프로리그 2007
2.5.1. 결과
2.6. SKY 프로리그 2008
2.6.1. 결과
2.7.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2.7.1. 결과
2.8.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2.8.1. 결과
2.9.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2.9.1. 결과


1. 목차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정규시즌을 모두 마치고 투표로 뽑힌 인기 선수들끼리 여는 비공식 이벤트전 경기이다[1].

2. 역사



2.1. KTF EVER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 프로리그 최초의 올스타전
  • 결승전만 남긴 뒤 열린 올스타전
  • 팬 투표로 선발된 선수는 개인전에 출전했고, 추천 선수들은 팀플전에만 출전
  • 올랜덤전으로 펼침
  • 올스타전 MVP는 없음
  • 팀 구성
팀구성
구분
전설
신화
감독
이재균
조규남
온라인 투표
임요환
강도경
박정석
이윤열
홍진호
전태규
주최사 추천
베르트랑
장진남
서지훈
이윤열
감독 추천
최수범
장진수
성학승
송병석

2.1.1. 결과


'''신화 vs 전설''' (2003.08.16)
홍진호 rP

기요틴

박정석 rZ
서지훈 rT
이재훈 rP

네오 정글스토리

장진수 rT
최수범 rZ
전태규 rZ

노스탤지아

임요환 rP
성학승 rT
송병석 rP

헌트리스

베르트랑 rP
장진남 rZ
이윤열 rT

신 개마고원

강도경 rZ
신화
3
결과
2
전설

2.2. Neowiz Pmang컵 온게임넷 프로리그


  • 프로리그 올스타전 최초 임진록 탄생된 리그(임요환, 홍진호)
  • 1라운드를 모두 마치고 2라운드 개막을 앞두고 열림
  • 경기 방식은 EVER 컵과 동일하고, 팬 투표로 선발된 선수는 개인전 출전, 추천 선수들은 팀플전에만 출전 앞선 시즌과 동일하게 진행
  •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올스타전 MVP는 없음
  • 팀 구성
구분
세이
피망
감독
이재균
주훈
온라인 투표
이윤열
홍진호
박정석
임요환
장진남
김성제
주최사 추천
이병민
김정민
서지훈
강민
감독 추천
강도경
조병호
최연성
변은종

2.2.1. 결과


'''신화 vs 전설''' (2004.01.17)
이윤열 T

어나더 데이

장진남 Z
이병민 T
김정민 rT

버티고 플러스

최연성 T
변은종 rZ
홍진호 Z

노스탤지아

임요환 T
강도경 Z
조병호 P

헌트리스

서지훈 T
강민 P
박정석 P

신 개마고원

김성제 P
세이
4
결과
1
피망

2.3. SKY 프로리그 2005


  • 통합리그로 전환하면서 모든 팀들이 참가가 가능하게 됨
  • 7전 4선승제로 증가
  • 전기리그 결승전 종료 후 열림
  • 1위 ~ 3위까지 종족별로 온라인 투표로 선발
  • 주최사 추천선수는 폐지되었고, 감독 추천 선수만 유지
  • 유일하게 평일에 열린 올스타전
  • 박정석, 팬투표에서 55,394표로 선발됨
  • MVP(올스타전 최초) : 김동진
  • 온라인 투표 결과
'''테란'''
선수
소속
득표수
득표율
임요환
SK텔레콤 T1
47,319
24%
이윤열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39,850
20%
서지훈
GO
32,062
16%
전상욱
SK텔레콤 T1
28,199
14%
이병민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12,340
6%
김정민
KTF 매직엔스
11,625
6%
변길섭
KTF 매직엔스
10,703
5%
변형태
GO
2,999
3%
최수범
삼성전자 칸
4,906
2%
차재욱
KOR
4,896
2%
'''저그'''
선수
소속
득표수
득표율
홍진호
KTF 매직엔스
53,412
25%
박태민
SK텔레콤 T1
47,853
23%
박성준
이고시스 POS
41,077
19%
조용호
KTF 매직엔스
20,292
10%
마재윤
GO
15,165
7%
변은종
삼성전자 칸
9,327
4%
김준영
한빛 스타즈
8,656
4%
이주영
GO
8,132
4%
김민구
KTF 매직엔스
4,511
2%
김근백
삼성전자 칸
3,769
2%
'''프로토스'''
선수
소속
득표수
득표율
박정석
KTF 매직엔스
55,394
26%
강민
KTF 매직엔스
52,284
25%
박용욱
SK텔레콤 T1
48,499
23%
박지호
이고시스 POS
12,520
6%
송병구
삼성전자 칸
10,822
5%
이재훈
GO
9,606
5%
김환중
GO
7,659
4%
전태규
KOR
7,257
3%
안기효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5,254
2%
박정길
KOR
3,199
2%
'''감독 추천 선수 11인'''

선수
종족
SK텔레콤 T1
전상욱
T
KTF 매직엔스
김정민
T
GO
마재윤
Z
한빛 스타즈
강도경
Z
KOR
차재욱
T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안석열
Z
삼성전자 칸
변은종
Z
Plus
오영종
P
이고시스 POS
서경종
Z
SouL
박상익
Z
이네이쳐 탑
김동진
T
  • 팀 구성
팀구성
구분
화이트
블루
감독
정수영
주훈
온라인 투표
이윤열
홍진호
강민
박용욱
홍진호
임요환
박태민
서지훈
박성준
감독 추천
안석열
김정민
강도경
박상익
김동진
전상욱
마재윤
서경종
차재욱
변은종
오영종

2.3.1. 결과


'''화이트 vs 블루''' (2005.08.18)
박용욱 P

네오 레퀴엠

오영종 P
박상익 rT
홍진호 rZ

우산국

전상욱 T
박태민 Z
이윤열 T

러시아워

임요환 T
강도경 Z
박정석 P

루나 더 파이널

서지훈 T
변은종 Z
김동진 T

알포인트

마재윤 Z
김정민 T
안석열 Z

우산국

차재욱 T
서경종 Z
강민 rP

포르테

박성준 rZ
화이트
5
결과
2
블루

2.4. SKY 프로리그 2006


  • 올스타 후보 상위 7명을 모두 팬투표로 뽑음
  • 전기리그-후기리그 사이에 치러짐.
  • 각 팀 감독이 올스타 후보에 오른 선수를 번갈아 지명
  • 임요환, 팬투표에서 3,908표로 1위로 선발
  • 테란(블루팀)과 비테란(화이트팀)의 구도로 화제가 됨
  • MVP : 홍진호
  • 온라인 투표 결과
'''온라인 투표 결과 상위 7인'''
선수
소속
득표수
임요환
SK텔레콤 T1
3908
서지훈
CJ 엔투스
3332
홍진호
KTF 매직엔스
3143
박정석
KTF 매직엔스
3082
이윤열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2698
최연성
SK텔레콤 T1
2313
강민
KTF 매직엔스
2231
  • 감독 추천 선수
'''감독 추천 선수 11인'''

선수
종족
SK텔레콤 T1
박용욱
P
KTF 매직엔스
이병민
T
CJ 엔투스
변형태
T
한빛 스타즈
박경락
Z
온게임넷 스파키즈
한동욱
T
팬택앤큐리텔 큐리어스
심소명
Z
삼성전자 칸
이창훈
Z
르까프 OZ
이제동
Z
MBC게임 히어로
박성준
Z
STX SouL
서지수
T
이네이쳐 탑
서기수
P
  • 인기투표 선발 감독
'''인기투표 선발 감독 상위 4인'''
감독

투표수
김가을
삼성전자 칸
722
주훈
SK텔레콤 T1
530
조규남
CJ 엔투스
499
이재균
한빛 스타즈
199
  • 팀 구성
팀구성
구분
화이트
블루
감독
하태기
주훈
온라인 투표
홍진호
박정석
강민
임요환
서지훈
이윤열
최연성
감독 추천
박용욱
박경락
심소명
이창훈
이제동
서기수
이병민
변형태
한동욱
박성준
서지수

2.4.1. 결과


'''화이트 vs 블루''' (2006.08.26)
박용욱 P

815 3

이윤열 T
이제동 Z

아카디아

한동욱 T
서기수 P
심소명 Z

망월

변형테 T
이병민 T
박정석 P

러시아워 3

임요환 T
이창훈 Z

백두대간

박성준 T
박경락 Z
강민 P

철의 장막

최연성 T
서지훈 T
홍진호 Z

디 아이

서지수 T
화이트
5
결과
2
블루
'''감독 특별전''' (2006.08.26)
하태기 '''P'''[2]
김가을 Z

무한맵 팀밀리[3]

주훈 T
이재균 T
  • 3세트 4세트 사이에 치러짐.

2.5. SKY 프로리그 2007


  • 팬투표 방식을 종족별 투표로 다시 변경함
  • 2007 전기 - 2007 후기리그 사이에 치러짐.
  • 각 팀 감독이 구단별 추천선수 12명을 스네이크 방식으로 지명
  • 사상 첫 야외 올스타전.
  • 마재윤, 팬투표에서 26,321표로 최다득표
  • MVP : 임요환
  • 온라인 투표 결과
'''테란'''
순위
선수
득표수
비고
1
임요환
20555
선정
2
이윤열
15773
선정
3
최연성
12772

4
서지수
11299

5
진영수
10013

'''저그'''
순위
선수
득표수
비고
1
마재윤
26321
선정
2
홍진호
19546
선정
3
김준영
14709

4
이제동
14217

5
성학승
6321

'''프로토스'''
순위
선수
득표수
비고
1
강민
20725
선정
2
박정석
18400
선정
3
김택용
11811

4
송병구
11445

5
오영종
10839

  • 감독 추천 선수
'''감독 추천 선수 12인'''

선수
종족
SK텔레콤 T1
최연성
T
MBC게임 히어로
박지호
P
온게임넷 스파키즈
이승훈
P
한빛 스타즈
김준영
Z
르까프 OZ
이제동
Z
위메이드 폭스
심소명
Z
KTF 메직엔스
김윤환
T
이스트로
서기수
P
CJ 엔투스
변형태
T
STX SouL
진영수
T
공군 ACE
조형근
Z
삼성전자 칸
송병구
P
  • 팀 구성
팀구성
구분
도전
열정
감독
김가을
조정웅
온라인 투표
임요환
마재윤
이윤열
강민
박정석
홍진호
감독 추천
최연성
박지호
이승훈
김준영
이제동
심소명
김윤환
서기수
변형태
진영수
조형근
송병구

2.5.1. 결과


'''도전 vs 열정''' (2007.09.08)
최연성 T

몬티홀

이윤열 T
임요환 T

신 백두대간

홍진호 Z
박지호 P
이승훈 P

불의 전차

서기수 P
강민 P
김준영 Z

파이썬

변형태 T
이제동 Z

타우 크로스

진영수 T
심소명 Z
김윤환 T

뱀파이어

박정석 P
조형근 Z
마재윤 Z

팔진도

송병구 P
도전
5
결과
2
열정
'''감독 특별전''' (2007.09.08)
김가을 P
김은동 Z

헌터 게임 i

조정웅 T
이지호 T
  • 3세트 4세트 사이에 치러짐.

2.6. SKY 프로리그 2008


  • 사상 첫 지방 올스타전 (부산 BEXCO IT EXPO 특설 무대)
  • 팬투표 방식을 종족별투표로 다시 변경함
  • 각 팀 감독이 구단별 추천선수 12명을 스네이크 방식으로 지명
  • 박지수, 숙소 2층에서 내려오다 발을 헛디뎌 허리 부상으로 손주흥과 교체
  • 이제동, 팬투표에서 17,458표로 최다득표
  • MVP : 염보성
  • 온라인 투표 결과
'''테란'''
선수
소속
득표수
이성은
삼성전자 칸
?
이영호
KTF 매직엔스
?
'''저그'''
선수
소속
득표수
이제동
르까프 OZ
17458
박찬수
온게임넷 스파키즈
?
'''프로토스'''
선수
소속
득표수
도재욱
SK텔레콤 T1
12785
송병구
삼성전자 칸
?
  • 감독 추천 선수
'''감독 추천 선수 12인'''

선수
종족
SK텔레콤 T1
전상욱
T
MBC게임 히어로
염보성
T
하이트 스파키즈
신상문
T
한빛 스타즈
윤용태
P
르까프 OZ
박지수->손주흥
T
위메이드 폭스
이윤열
T
KTF 메직엔스
홍진호
Z
이스트로
신희승
T
CJ 엔투스
손재범
P
STX SouL
김구현
P
공군 ACE
박대만
P
삼성전자 칸
허영무
P
  • 팀 구성
팀구성
구분
도전
열정
감독
이명근
김가을
온라인 투표
도재욱
이영호
이성은
박찬수
이제동
송병구
감독 추천
허영무
윤용태
염보성
김구현
신상문
홍진호
이윤열
신희승
손재범
손주흥
박대만
전상욱

2.6.1. 결과


'''도전 vs 열정''' (2008.09.06)
허영무 P

오델로

이윤열 T
도재욱 P

콜로세움

박찬수 Z
이성은 T
윤용태 P

더 헌터

신희승 T
손재범 P
송병구 P

블루스톰

염보성 T
김구현 P

안드로메다

손주흥 T
신상문 T
홍진호 Z

한니발

박대만 P
전상욱 T
이영호 T

카트리나 SE

이제동 Z
도전
4
결과
3
열정
'''감독 특별전''' (2008.09.06)
김가을 Z
이재균 P

더 헌터

박용운 T
이명근 Z
  • 3세트 4세트 사이에 치러짐.

2.7.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 프로리그 챔피언쉽 결승전 종료 후 열림
  • 올스타전 최초로 6전제로 진행
  • 2006년 이후 3년만에 용산 e-Sports 스타디움에서 펼쳐지는 올스타전
  • 4세트는 스페셜 매치로 현장에서 직접 공개
  • 올스타전 최초로 3:3 팀플과 릴레이매치가 시행됨
  • 김택용, 팬투표에서 7,796표로 최다 득표
  • MVP : 김택용
  • 온라인 투표 결과
'''테란'''
임요환
SK텔레콤 T1
6120
17.46%
이영호
KT 롤스터
5549
15.83%
'''저그'''
마재윤
CJ 엔투스
6522
18.61%
홍진호
공군 ACE
6203
17.70%
'''프로토스'''
김택용
SK텔레콤 T1
7796
22.24%
송병구
삼성전자 칸
5321
15.18%
  • 감독 추천 선수
'''감독 추천 선수 12인'''

선수
종족
SK텔레콤 T1
정명훈
T
MBC게임 히어로
염보성
T
하이트 스파키즈
신상문
T
웅진 스타즈
윤용태
P
화승 OZ
이제동
Z
위메이드 폭스
전태양
T
KT 롤스터
박찬수
Z
이스트로
신희승
T
CJ 엔투스
변형태
T
STX SouL
김윤환
Z
공군 ACE
박정석
P
삼성전자 칸
차명환
Z
  • 팀 구성
팀구성
구분
도전
열정
감독
박용운
조정웅
온라인 투표
임요환
마재윤
김택용
홍진호
이영호
송병구
감독 추천
변형태
전태양
박정석
박찬수
염보성
정명훈
김윤환
신희승
윤용태
신상문
차명한
이제동

2.7.1. 결과


'''도전 vs 열정''' (2009.09.26)
변형태 T
임요환 T
전태양 T

더 헌터

김윤환 P
신희승 P
홍진호 P
박정석
염보성 rP
박찬수

안드로메다[4]

윤용태
신상문 rT
차명환
마재윤 Z

아웃사이더

이영호 T
임요환 T

단장의 능선[5]

홍진호 Z
정명훈 T

네오 메두사

송병구 P
김택용 P

데스티네이션

이제동 Z
도전
4
결과
2
열정

2.8.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 6월 26일부터 7월 13일까지 3주간 진행되어, 온라인 팬투표 득표 상위 12명과 추천선수 6명인 총 18명이 선발됨
  • 당일 현장에서 엔트리 발표
  • MVP : 홍진호
  • 빅파일 MSL 경기 일정으로 인해 낮 경기로 치뤄짐. 그래서 당일 해당 경기가 있었던 김정우, 염보성, 이제동 세 사람은 제각기 경기들만 치르고 바로 연습실로 돌아감.
  • 올스타전 팬투표 득표 순위
'''온라인 투표 결과 상위 12인'''
1
이제동
8834
2
홍진호
8470
3
김택용
7699
4
이윤열
7591
5
박정석
7503
6
신상문
7462
7
이영호
7308
8
송병구
6948
9
임요환
6866
10
윤용태
5936
11
민찬기
5915
12
서지수
5852
  • 감독 추천 선수
'''감독 추천 선수 6인'''

선수
종족
SK텔레콤 T1
정명훈
T
MBC게임 히어로
염보성
T
위메이드 폭스
전태양
T
위메이드 폭스
전상욱
T
이스트로
박상우
T
CJ 엔투스
김정우
Z
  • 팀 구성
팀구성
구분
열정
도전
감독
박용운
이지훈
온라인 투표
홍진호
이영호
서지수
송병구
신상문
민찬기
임요환
김택용
이제동
박상우
윤용태
이윤열
박정석
감독 추천
정명훈
염보성
전상욱
전태양
김정우

2.8.1. 결과


'''열정 vs 도전''' (2010.08.14)
정명훈 T

아웃사이더 SE

이제동 Z
전상욱
염보성 T
신상문

안드로메다[6]

김정우
박상우 P
윤용태
홍진호 Z

신 단장의 능선

임요환 T
송병구 P

심판의 날

전태양 T
민찬기 T
서지수 T

파이썬

박정석 P
이윤열 T
이영호 T

투혼

김택용 P
열정
5
결과
1
도전

2.9.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 3월 25일부터 4월 7일까지 3주간 진행되어, 온라인 팬투표 득표 상위 10명과 추천선수 6명인 총 16명이 선발됨.
  • 마지막 올스타전.
  •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시즌 종료 이후가 아니라 위너스 리그 결승전 종료 이후, 정확히는 시즌 중에 치러짐.
  • 유일하게 일요일에 치러진 올스타전[7].
  • 당일 현장에서 엔트리 발표.
  • 네오위즈 피망컵 프로리그 올스타전 이후 5전제로 치러짐.
  • MVP : 이성은
  • 올스타전 팬투표 득표 순위
'''온라인 투표 결과 상위 10인'''
순위
이름
소속
득표수
1
이제동
화승 OZ
3,657
2
김택용
SK텔레콤 T1
3,196
3
이영호
KT 롤스터
2,710
4
이성은
공군 ACE
2,694
5
홍진호
KT 롤스터
2,399
6
정명훈
SK텔레콤 T1
2,014
7
박정석
KT 롤스터
1,706
8
도재욱
SK텔레콤 T1
1,703
9
오영종
화승 OZ
1,688
10
송병구
삼성전자 칸
1,687
  • 감독 추천 선수
'''감독 추천 선수 6인'''

선수
종족
MBC게임 히어로
염보성
T
하이트 스파키즈
신상문
T
웅진 스타즈
김명운
Z
위메이드 폭스
전상욱
T
STX SouL
서지수
P
STX SouL
김윤환
Z
  • 팀 구성
팀구성
구분
도전
열정
감독
박용운
이지훈
온라인 투표
송병구
박정석
이제동
홍진호
이영호
이성은
오영종
정명훈
도재욱
김택용
감독 추천
염보성
전상욱
서지수
신상문
김명운
김윤환

2.9.1. 결과


'''도전 vs 열정''' (2011.04.17)
송병구 rP

포트리스 SE

이성은 rZ
전상욱
박정석 Z
염보성

안드로메다

오영종
김명운 T
김윤환
이제동 T

써킷브레이커

정명훈 Z
홍진호 Z
서지수 T

라만차

신상문 Z
도재욱 P
이영호 P

벤젠

김택용 T
도전
4
결과
1
열정

[1] 예외적으로 2011년에 열린 올스타전은 시즌 종료 이후가 아니라 위너스 리그 결승전까지 끝난 이후 열렸다.[2] 팀밀리 메인 종족[3] 감독 특별전[4] 3대3 10분 릴레이 대전[5] 엔트리 당일 공개, 스페셜 매치[6] 3대3 10분 릴레이 대전.[7] 다른 올스타전들은 2005년을 제외하고 전부 토요일에 치러짐. 2005년 올스타전은 예외적으로 평일인 목요일에 치러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