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덕균

 


성명
신덕균(申德均)
이명
신덕순(申德淳), 신정회(申正會)
자/호
정효(正孝)/몽암(蒙庵)
생몰
1878년 9월 21일~1908년 11월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군 각화동
사망지
전라북도 고부군
추서
건국훈장 애국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신덕균은 1878년 9월 21일 전라남도 광주군 각화동에서 신태수(申泰洙)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일찍이 기우만전우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분노했고, 최익현의 창의 격문을 받은 뒤 동지를 규합해 기회를 엿봤다. 1906년 말 고광순이 의병을 일으켜 남원의 양한규와 함께 남원성을 공략하려 했지만 양한규가 이미 패사했기에 그만두고 1907년 4월 25일 동복으로 진군했다. 이 소식을 접한 신덕균은 종제인 신상철(申相徹)과 함께 동복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그가 도착했을 때 고광순이 패해 후퇴한 뒤여서 부득이 집으로 돌아가 의병을 일으키는 일을 계획했다.
1907년 8월, 신덕균은 고광순의 의병대에 가담하여 창평 제심리를 중심으로 집합해 대규모의 거사를 계획했다. 고광순과 신덕균은 기황(自起黃) 및 새 총기 등을 개량 제조하며, 기정허실(奇正虛實)·변장 역진(易陣)의 여러 가지 전법을 훈련하였다. 또 태극기 위에 불원복(不遠復)이라는 3글자를 크게 쓴 불원복기를 고안하여 군기로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주역 복괘(復卦) 중의 다 없어졌던 양기(陽氣)가 머지 않아 회복된다는 의미를 붙여서 군사들을 격려 고무하게 한 것이었다.
1907년 9월 11일, 신덕균은 고광순을 도독(都督)으로 하고, 박성덕(朴聖德)·고제량을 도총(都總) 및 선봉으로 하고, 자신은 윤영기(尹永淇)와 함께 참모로 임명되었다. 고광순은 이튿날 행군하여 동복 땅을 지나 곡성, 구룡산 아래로 이르러 장차 지리산에 들어가 장기 항전하려 했다. 이때 신덕균이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동복읍을 공략할 것을 제의했고, 고광순은 이에 따라 9월 14일 새벽 회군하여 동복읍을 공략하고 많은 일본인들을 살해했다.
이후 남원, 곡성 등지를 지나며 격문을 각 곳으로 보내 인심과 사기를 고무하게 하면서 9월 17일에는 지리산 화개동으로 들어가 유진하고 군사들을 훈련시켰다. 이때 동복·순천·곡성·광양·구례 등지에서 군사로 참가하는 자가 1천을 헤아리게 되었다. 이후 신덕균은 윤영기와 함께 산을 벗어나서 광주 진위대의 해산병 등을 수습하여 많은 군사들을 얻었다.
그러나 10월 16일 일본군이 의병대 본영을 급습하는 바람에 고광순을 비롯한 여러 의병장들이 전사하고 의병대가 무너지자, 그는 윤영기와 함께 살아남은 병사들을 인솔해 운봉, 함양, 순창 등지에서 의병 활동을 전개했다. 그 후 1908년 11월 전북 순창 회문산에서 일본군에게 체포된 뒤 고부군에서 피살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신던균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