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카기 스이메이
1. 개요
이세계 마법은 뒤떨어졌다!의 주인공. 드라마 CD 한정 성우는 오카모토 노부히코. 이름의 유래는 세이메이인듯 하다.이세계에 불려온 현대 마술사.[1]
아스텔의 궁정 마법사 페르메니아 스팅레이의 마법과 용사 소환진을 통해 이세계로 소환되었다. 다만 용사는 함께 소환된 샤나 레이지였으며, 스이메이는 어디까지나 소환에 휘말렸다는 사례이다.
아버지가 물려준 '목적'이 있기에 마왕 토벌에 가담하는 것을 거부하고 하루빨리 원래 세계로 돌아가려 한다. 원래 살던 세계에서는 '''마술결사에 소속된 현대 마술사'''이다. 위계는 '''하이 그랜드(위업자 급)''' 마술사 중에서도 다양한 계통의 마술을 다룬다. 현대의 마술은 과학의 발달로 인해 세계의 뒤편으로 밀려났다고 한다.[2] 때문에 모든 세력에게 도태의 대상이 되었고 그에 따라 자신이 마술사라는 것을 철저히 감추고 있다. 실제로 친구인 레이지나 미즈키도 스이메이가 마술사라는 것을 모르고 자신이 살던 세계에 마술이 존재한다는 것도 모른다. 작중에서 야카기가 상세히 작동 원리와 이론등을 풀어내며 사용되는 현대 마술은 카발라 수비학과 점성술에 기반하는 실존하는 현대 오컬드학인 헤르메스학에 기반되어있다. 다만 야카기가 소속되어 있는 결사에는 헤르메스학이 아닌 다른 계파도 있고, 아예 마법체계를 하나 창조해 써먹고있는 괴물같은 거물도 있다고 한다.
대개의 이세계물에서 소환된 주인공이 평범한 일상적 세계에서 살았거나 어떤 특별한 힘도 없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나름 그에 대한 안티테제라고 할 수 있겠다.
성격은 처음에는 살짝 능글맞은 편으로 보이며 작중 내내 농담을 일삼아서 살짝 가벼워 보일 수 있는데, 사실 속은 굉장히 계산적이고 진지하다. 그렇지만 진정한 스이메이는 그의 꿈이 대변해 주듯이 남을 위해주는 굉장히 다정한 성격. 1권의 왕과의 담판에서 이 3중의 인격이 모두 드러난다.
아스텔의 국왕에게 마왕 나크샤트라의 토벌을 부탁받았으나 거절하고 원래 세계로 돌려 보낼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귀환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말을 듣고 국왕 알마디아우스에게 화를 내며 일침을 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3] 이후 포기하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원래 세계로 귀환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로 결심한다.
마술사로서의 재능은 있지만 원래 세계 기준으로 중하급 수준의 마술사라는데, 소환된 이세계는 마술의 기초 원리도 잡혀있지 않은[4] 뒤떨어진 세계이므로 훌륭한 먼치킨. 하지만 결사에서 스이메이는 하이 그랜드라는 뭔가 중요한 위치에 속해 있다. 결사에 대해 자세히 밝혀진 것은 없지만 중하위에 머무는 마술사에게 저런 거창한 위계를 줄리가 없다.
후에 회상에서 밝혀진 바로는 유럽에 나타난 용족을 잡는데 동양 제일의 마술사였던 아버지 카자미츠와 함께 불릴 정도로 원래 세계에서도 상당한 실력자였으나, 마술사의 적은 자만이라는 아버지의 교육 탓에 자신의 실력을 중하급 수준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라고.[5][6] 실제로 아스텔 왕국 최강급이라 할 수 있는 페르메니아는 스이메이를 괴물이라고 부르거나 용사 이상이라고 여겼으며, 2권에서 단신으로 만 명의 마족 대군과 7대 마장 중 하나인 라쟈스를 물리쳤다. 참고로 라쟈스는 다 죽어가는 상태에서도 용사 한 명쯤은 간단히 압도하는 마족 장군이며, 작중에서 라쟈스는 마장 중에서도 '선봉장'의 임무를 수행할 만큼 강력한 개체라는 서술이 등장한다. 5권에서 용사 하츠미를 농락하던 마장 비슈다도 사실상 스이메이가 토벌한다.[7]
이세계에서 원래 세계의 풍수지리나 점성술을 적용하기 힘들고,[8] 용사에게 주어지는 영걸의 가호가 없고 외지인인 스이메이는 여신의 가호를 받지 않아 스이메이는 마족을 상대로 그 마술의 위력이 반감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세계에선 원래보다 더 약해져있는 상태. 그런 패널티에도 다른 특별한 능력도 없이 순수한 마술 실력으로 이런 전과를 올렸다. 작중에서 등장한 용사들과 비교해도 영락없는 먼치킨이다. 이게 어딜 봐서 중하위 마술사인가 의심이 들 정도.[9] 다만 이야기가 계속 전개 되면서 예상치 못하게 허를 찔려 큰 부상을 입기도 하고, 5권 후반에 등장하는 드래고뉴트 인르를 상대로 공포를 느끼기도 하는 등[10] 절대적인 강함의 소유자는 아니며 스이메이에 필적하거나 그 이상으로 보이는 적들도 꽤나 존재한다.
마술 시전 시 사용하는 영창은 라틴어이며, 주로 사용하는 마술로는 수은을 검의 형태로 만들어 내거나, 요새를 본뜬 황금의 방어벽이 있다. 2권에서는 Abreq ad Habra의 영창으로 신성한 번개를 퍼붓기도 했다. 1권과 4권에는 점성술을 이용한 엔드 아스트레일(유성락)도 사용하였다.
2권에서 스이메이가 가진 '사명',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꿈은 '''구원받지 못할 사람을 구원하는 것'''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이 비원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모든 마술사의 궁극의 목표인 '아카식 레코드'. 스이메이는 이 아카식 레코드를 찾는 연구를 위해, 그리고 친구들을 원래 세계로 돌려보내주기 위해 원래 세계로 돌아갈 방법을 연구하고 있지만, 동시에 눈앞의 구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지나치는 것은 그 꿈과 상반된다는 이유로 레피르나 리리아나를 구하려 한다.[11]
2. 사용하는 마술 목록
Archiatious overload
마력로,부하기동
- 마력로 과부하
Via gracitas
중력로 형성
중력계 마술. 말 그대로 중력을 경감시키고 질량을 감소한다. 스이메이는 상대에게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사용했다. 응용해서 비행이 가능하다.Mass gravitas reductio
중력경감. 질량감소
마술을 사용하기 전에 시약병에서 흘러나온 수은에 마술을 걸어서 형태를 자유롭게 변하는 검으로 사용한다.Permutatio coagulatio vis lamina
변질, 응고, 이루는 힘
수은에 마술을 걸어 형태를 채찍으로 만들어 사용한다.Permutatio.Coagulatio.vis flagellum
변질, 유동, 날카롭게 물결쳐라
장막 안. 밤에 흘리는 눈물의 위세.
Velam nox lacrima potestas
그대는 천지의 표를 물들이고
Olympus quod terra misceo misucui mixtum
지금 만연하는 부조리로
infestant malitia
아찔하게 쏟아진다.
Dezzmoror pluviaincessanter
별하늘이여, 떨어져라.
Enth astrarle
- Enth astrarle(엔스 아스트레일)
* 청명참The shine of end revolve
청명한 푸른빛으로 내려 색의 띠로 변하는 하늘
Aqua horizontal in hand
수천 방불 그 경계는 오로지 지금 내 손안에
serve the blue of blue
열려라 창공,그이름은 눈부신 푸름
Breath blade distract
하늘을 가로채 푸르게 물든 도신이여. 마를 물리쳐라
스이메이가 영어로 영창한 첫 마술이다. 궁정마술사가 폭주 소환시킨 트와일라잇 신드롬을 처리하는데 처음 사용하였다.
기본적인 복원 마술. 수리가 아닌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마술이다.Renovatio.Redivivus
복원, 다시 재구성
Flamma est lego.Vis Wizard
불꽃이여 모여라. 마술사의 분노와 찬 절규와 같이
Hex agon aestua sursum
그 단말마는 형태가 되어 불타오르고
Impedimentum mors
내 앞을 가로막는 자에게 가공할 운명을
Fiamma o asshurbanipal
빛나라! 아슈르바니팔의 눈부신 돌이여
- 아슈르바니팔의 불꽃
스이메이가 제일 많이 애용하는 마술이다. 일단 상대가 보이면 아슈르바니팔의 불꽃이나 돌부터 갈길정도. 작중에서 표현된바로는 그냥 일반적인 불이 아닌 생명체에 대한 저주에서 유래된 불꽃이라서,8권에서 등장한 골렘같은 물리적 열량이 통하지않는 무생물에게는 무력하다.
6권에서 돌을 주먹으로 쥐고 주먹을 불꽃으로 가속하면서 타격,불꽃을 해방하는 등의 활용을 보여주었다.
Abreq ad habra.
죽음이여, 그대는 나의 천둥앞에 멸하리...
- 아브라크 아드 하브라(그대의 천둥을 죽음에 퍼부어라)
정체는 모두가 아는 아브라카다브라의 어원이며, 그 원형을 현대 마술이론으로 공격성으로 전환한 마술로, 스이메이의 대악마, 대사령용으로 최강의 수라고.
Non amo munus scutum. Omnes impetum invictus
나의 방패는 방패가 아니니. 어떤 공격 앞에서도 더욱 견고한 것. 어떤 포화 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것.
Invincibility immobilitas immortalis.Cumque mane surrexissent castle
결코 무너지지 않는 부동의 반석.그것은 별의 숨결을 모아놓은 황금빛으로 장식된 견고한 성.
Firmus! Congrega aurum magnalea
그 이름은나의 견고함. 현란한 금빛 요새
- 현란한 금빛 요새(금색 마그나리아)
일명 광휘술식. 스이메이가 6권에서 인르와의 일기토에서 처음 시전한 마술. 숫자에서 숫자는 광휘술식의 종류를 의미하는듯하며, 살상용,무력화용,상태이상이 모두 있는것으로 보인다.Ad centum transcription. Augoeides radomizer trigger
광휘술식 양식가동. (숫자)~(숫자)까지 무작위 전개,전략폭격.
일정 영역의 중력을 연속해서 강화하는 술식. 인르의 일기토에서 사용한다.gravitatem bis coniunctum
중력식 이중 연결
gravitatem triple contexitur
중력식 삼중연결
영창은 인계법, 광명 진언, 오생광인을 개한한다. 말아쥔 왼손을 허리에 대고 다섯 손가락을 모두 펼친 오른손을 왼쪽 아래로, 진은 만다라.
영창은 '''진(眞)영창'''ㅡㅡㅡ.
Buddhi brahma Buddhi vidya Asat nadamahamaya om karuma Kalpa devanagarai Kalpaㅡㅡㅡ
눈떠라 힘이여, 거대한 지식과 함꼐, 울려퍼진 목소리는 하늘에 닿고 달콤한 울림으로 그대의 원죄를 해방한다. 그대여 들어라, 방일유순 끝나지 않는 목소리를. 그대여 들어라ㅡㅡㅡ[14]
- 칼라빈카의 달콤한 목소리[15]
효과는 상대의 마력을 강제 해방한다고 한다. 아직 위력은 불명.
하지만 후에나온 진(眞)영창이 조금 정신나간 마술이기에 위력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 이유 없는 이유의 빛Emerge from the sky of dawn. A person who has fulfilled all the wishes.
그는 여명의 하늘에서 와 천지의 모든 소원을 이루는자.
To release from the Apostle. To release from their own hands. The advent
사도로부터 자식들을 해방하기 위해. 그리고 자식들을 스스로의 손아귀에서 해방하기위해 그는 사도앞에 내려왔다
Apostle fell the ground. Because it deprived of wings to light.
그리하여 사도는 땅에 떨어졌다. 빛이 날개를 앗아갔기에
Apostle was dropped to hell. And because we affirm the evil
그리하여 사도는 떨어졌다. 몸에깃든 나쁜마음을 긍정했기에
The fall of the apostle. As punishment
그렇다면 떨어뜨려라. 그가 단죄로서 사도를 쫓아낸 것처럼
Please petition. As it has been so. In order to manifest the infinite light
그렇다면 바라라. 그가 나타낸 것처럼. 그래,그의 이유 없는 이유의 빛을 여기 이렇게 나타내기 위해서
hope those that do not know anyone
나의 모든것은 알수없게 될지니 ■ ■ ■||
모든 마술 중 위의 칼라빈카의 달콤한 목소리와 함께 유이하게 영창할때 '''진(眞)영창'''을 한 마술.[16] 영창 과정이 상당히 단축된 현대 마술임에도 영창이 엄청나게 길고, 영창 도중 세계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강력하다. 인르와의 일기토 마지막에 도박성으로 갈겼지만 '''스이메이에게도 아직 역량이 부족해 난전중에서 완전히 영창하지 못하였고'''[17] 리바운드 에어(반례풍)를 쳐맞고 리타이어 하지만,인르도 그 역풍을 같이 쳐맞고 서로 리타이어한다. 그래도 실패하여 폭발한 것만으로도 인르에게 중상을 입힌 것을 보면 완전한 시전에 성공할 경우의 위력은 엄청날 듯.
실패하자 공간이 비틀리는등 이상현상이 나타나는데, 언급된 바론 '''저속의 빛'''이 나타나 세계의 규칙이 어그러지고, 그게 다시 '''돌아간'''거라고. [18]
3. 작중행적
3.1. 1권
원래 세계로 돌아가겠다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행동한다. 아스텔 왕성에서 손님으로 지내면서 이세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이 익힌 마술과 지식을 동원해 영걸 소환 마법진[19] 을 조사한다. 다만 신비를 감추려는 마술사답게 사람들 눈에 띄지 않게 행동하는 탓에 페르메니아 스팅레이에게 마법진을 조사하는 것을 들키게 된다.[20] 이것을 국왕에게 보고하지만 국왕 알마디아우스는 오히려 스이메이에게 손대지 말라고 당부한다. 그 날부터 스이메이는 계속해서 용사 소환진을 조사하고 페르메니아는 그런 스이메이를 미행하며 감시한다. 결국 이것을 눈치챈 스이메이가 결계를 준비하고 그 장소로 페르메니아를 유인한다. 그렇게 마주한 그녀와 대화를 시도하지만 이 시점의 페르메니아는 스이메이가 국왕에게 해를 끼치려 한다고 오해하고 있어서 계속 적대적으로 대했다. 결국 두 사람은 각자의 마술과 마법을 내세우며 싸우게 된다. 즉 '''지구에서 불려온 현대 마술사 VS 마술사를 소환한 이세계의 마법사'''라는 대결이 되는 셈.
하지만 전투는 시종일관 스이메이가 압도한다. 현대의 마술이 이세계의 마법보다 넘사벽인 것도 있지만 불꽃 마법이 특기인 페르메니아에 비해 스이메이는 다양한 효과의 마술을 다루는 등 기본적인 역량부터 차이가 심했고 심지어 그 불꽃 마법조차 통하지 않았다. 결국 점성술을 응용한 '''엔스 아스트레일'''[21] 을 사용해 페르메니아에게 승리한다. 이때 페르메니아는 저항이고 뭐고 죽을 것 같아서 목숨 아끼려고 방어 마법으로 열심히 방어했다. 전투가 끝나자 페르메니아는 지금까지의 도도하던 모습을 버리고 살려달라며 엎드려 빌었다.싸움이 끝나고 페르메니아는 그만한 힘을 지니고도 어째서 마왕과 싸우려 하지 않는지 묻는데, 스이메이는 자신의 힘이래봐야 지구에서 겨우 중간에도 못미치는 평범한 마술사에 불과하다고 말해 그녀를 경악하게 한다[22][23]
3.2. 2권
3.3. 3권
작아진 레피르와 함께 크란트시를 거쳐 제국에 도착한 스이메이는 12우걸 중 한명인 리리아나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구세교회에서 수인족인 크라리사수녀를 만나고 최근 제국에서 혼수사건이 벌어진다는 소문을 듣는다. 그리고 레피르는 교회에서 용사를 따라가라는 신탁을 받게된다. 그 뒤 스이메이와 레피르는 집을 소개받기위해 질베르트를 만나 둘이 집에서 같이 살게된다. 그러다가 혼수사건의 범인과 미주하지만 범인은 물러나고 곧바로 페르메니아와 재회한다. 그리고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온다.
그뒤 땅거미정에 방문한 엘메이데의 용사가 레피르를 데리러 온다. 스이메이는 거절하지만 용사는 페르메니아한테 자신의 팀에 들어오라고 한다. 결국에는 무력행사가 될 뻔 했으나 크라리사 수녀의 거짓신탁으로 혼수사건의 범인을 찾는 것으로 중재된다.
3.4. 4권
3.5. 5권
리리아나가 동료로 합류한 후, 영걸 소환 유적이 있다는 사디어스 연합에 일행과 함께 향한다. 마술을 가르쳐주는 한편 페르메니아와 레피르의 질투싸움에 휘말리면서 곤란한 일상을 보내는 스이메이. 연합에 도착한 일행은 그곳의 모험가 길드 땅거미 정의 지부장인 루메이어와 인사하여 땅거미 정에서 묵게 된다.
그러던 중 용사 퍼레이드를 목격한 스이메이는 이곳에 소환된 검객 용사가 다름아닌 자신의 소꿉친구이자 사촌, 쿠지바 하츠미라는 사실을 깨닫고 그녀와 접촉하기 위해 왕궁에 잠입한다. 그러나 어렵게 찾아간 스이메이를 본 하츠미의 반응은 모르는 남자가 침실에 침입했다는 것 뿐. 하츠미는 기억상실로 인해 스이메이의 얼굴도 잊어버린 상태였던 것이다. 결국 하츠미의 동료에게 들켜버린 스이메이는 마술을 행사하여 그 동료들을 간단히 이겨버리고 루메이어의 도움으로 도주에 성공한다.
바깥에서 다시 정보를 수집하여 상황[24] 을 파악한 스이메이는 다시 왕궁에 잠입, 하츠미와 2번째 대화를 나눈다. 한편 하츠미는 떠오른 기억의 편린을 통해 스이메이가 하는 말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사실이라고 믿게 되었고, 스이메이는 같이 돌아가자며 그녀를 권하지만 스스로 마족 토벌의 임무를 맡은 이상 다해야 한다면서 하츠미는 거절한다.[25]
결국 스이메이는 그녀의 의사를 존중하고 물러나지만, 이후 마족들이 쳐들어오자 하츠미를 구하기 위해 일행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 신성한 번개를 다시금 사용하여 마족 군단을 날려버리고 혼자 남겨진 하츠미를 찾아내어 구하는데 성공한다. 이후 돌아오면서 하츠미를 사냥하기 위해 출전한 마족 장군 비슈다와 마주치는데, 안개로 몸이 이루어진듯한 그에게 어떤 공격도 통하지 않아 고전하며 포기하는 듯...했으나 간단하게 그 기술을 간파하고[26] 꿰뚫어서 하츠미가 벨 수 있게끔 해준다.
그리고 그 기술을 사용했었던, 예전에 싸운 적[27] 에 대해 회상하고 그가 이세계에 있을 가능성을 부정하며 하던 일로 돌아가려는 찰나, 드래고뉴트 인르에게 습격받으며 6권은 끝난다.
3.6. 6권
5권 끝부분부터 시작해 6권의 1/4에 걸쳐 스이메이는 드래고뉴트 인르와 싸움을 벌인다. 드래곤의 트라우마와도 싸우는 한편, 인르가 감탄할 정도로 그의 싸움방식과 가진 카드를 처음부터 잘 파악하고 대처하나, 인르에게 결정타 수준의 대미지를 주지 못하고 결국 현재의 스이메이한테는 과분한 마법까지 꺼내들지만 실패, 결국 열세에 가까운 무승부로 승부가 나고 인르는 물러난다.
연합의 마을로 돌아오고 얼마 뒤, 하츠미와 재차 얘기를 하고 성으로 향하던 도중 우니베르시타스의 난동을 목격하게 되고, 그들을 주도하던 크라리사와 질베르트의 정체를 파악하고 싸우게 된다. 그러나 도중에 스이메이가 전송당한 바람에 이들을 제압하지 못하고, 결국 황혼이 되자 트와일라잇 신드롬이 나타나 우니베르시타스는 철수하고 이들과 싸움을 벌인다.
이후엔 기억이 돌아온 하츠미에게 끝없이 설교당하고서 제국으로 돌아온 모양.
연합에서 제국으로 돌아와 고대용사의 무구를 찾아온 레이지와 중2병상태가된 미즈키와 재회한다.
3.7. 7권
3.8. 8권
드디어 레이지에게 마술사임을 들켰다. 정확히는 7권 맨 마지막에 쿠드라크와의 대화로 지구에서도 평범한 일반인이 아니었다는 것을 들켰고, 이 때문에 결국 8권에서 자백했다. 8권 중후반에 이오 쿠자미의 빙의가 풀려 다시 돌아온 미즈키에게도 어쩔 수 없이 들켰고, 이후 미즈키가 엄청나게 삐져버렸다.
연합에서 본 오리지널 소환 마법진을 토대로 해석한 끝에 결국 귀환 마법진을 완성했다. 리샤밤이나 고트프리트를 상대로 승기를 잡으려면 일단 지구로 돌아가서 다시 힘을 길러야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에필로그에서 자신의 일행 3인방과 하츠미를 데리고 일시 귀환한다.[28]
3.9. 8권 이후
귀환 마법진은 성공적으로 작동하여[29] 지구의 야카기 저택으로 귀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