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원

 


[image]
이름
오상원(吳尙源)
출생
1930년 11월 5일
사망
1985년 12월 3일
첫 작품
유예 (1955)
마지막 작품
겹친 과거 (1985)
'''제3회 동인문학상 수상'''
선우휘
(1957)

'''오상원
모반
(1958)'''

손창섭
(1959)
1. 개요
2. 작품목록


1. 개요


한국의 전후소설가. 평안도 출신.
선우휘, 이범선과 함께 대한민국의 전후(6.25이후)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이다. 전후 소설가들 중 가장 문학적으로 뛰어난 작품을 쓴 작가로 평가받는다. 불문학과를 졸업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앙드레 말로의 소설과 흡사한 면이 있다고 한다. 실재로 졸업 논문도 앙드레 말로(인간의 조건)에 대한 것이었다고 한다.
몇몇 소설이 군사정권 시절, 정치적인 외압으로 연중된 안타까운 사건도 있다.

2. 작품목록


  • 황선지대 - 중편으로 미군기지를 털려고 땅팠는데, 정작 가보니 없다는 허무주의가 눈에 띈다. 서문에 "OFF LIMITS YELLOW AREA.여기는 전장의...."으로 시작되는 건 인상적이다.
  • 유예 - 오상원의 대표작으로 포로로 잡힌 장교가 북한군의 회유를 거절하고 총살된다는 이야기. 의식의 흐름기법을 사용하여 참 읽기 난해하다. '나'는 소대장이고, 아군을 이끌고 적진 깊이 들어온다. 그러던 중 추위 속을 걸어온 그들 중 낙오자가 생기고 적들과 교전 중 나머지도 전사한다. 결국 '나' 혼자 남하하게 되는데 남하하는 도중 적군이 아군을 처형하는 모습을 보아 적의 사수를 쏜다. 결국 그는 포로가 되어 그들이 전향하라고 회유를 하지만 끝까지 거절하고 '나'는 처형당한다.
  • 현실 - 낙오병은 선임하사를 만난다. 선임하사는 만나는 사람들에게 군대의 위치를 묻고 난뒤, 무조건 죽인다. 끝에 가면 이유가 밝혀지는데, 소박한 농민들은 총앞에는 굴복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죽여야지 우리들의 위치를 가르쳐주지 못한다는 이유다.
  • 모반 - 광복 직후 난립한 정치정당들의 혼란 속에서 갈등을 겪는 한 청년의 시선을 통하여 인간회복의 가능성을 묻고 있는 작품이다. 실존주의적 관점으로 서술되었다.
  • 백지의 기록 - 전쟁터에서 손이 잘려 버린 외과의사 중섭과 정신적 충격으로 방황하는 동생 중서 두 형제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중서는 형 중섭이 갇혀 있던 정신병원에서 우연히 옛 애인 정연과 재회, 열심히 간호하여 회복시키지만 정연은 과거 윤락녀로 전락했던 자신의 과거를 기억해 내고 괴로움에 자살한다. 정연의 죽음을 계기로 두 형제는 모두 고통에 시달리는 약한 존재임을 깨닫고 건강한 자아를 되찾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