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법/프랑스어
1. 개요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 중 프랑스어를 표기하는 방법.
2. 규정: 프랑스어의 표기 세칙
표 1[1] 에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프랑스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 제 1항: 파열음([p], [t], [k]; [b], [d], [g])
- 1. 어말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는다.
- 2. 구강 모음과 무성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구강 모음+무성 파열음+무성 파열음 또는 무성 마찰음'의 경우)은 받침으로 적는다.
- 제 2항: 마찰음([ʃ], [ʒ])
- 1. 어말과 자음 앞의 [ʃ], [ʒ]는 '슈', '주'로 적는다.
- 2. [ʃ]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슈'로 적는다.
- 3. [ʃ]가 [y], [œ], [ø] 및 [j], [ɥ] 앞에 올 때에는 'ㅅ'으로 적는다.
- 제 3항: 비자음([ɲ])
- 1. 어말과 자음 앞의 [ɲ]는 '뉴'로 적는다.
- 2. [ɲ]가 '아, 에, 오, 우'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각각 '냐, 녜, 뇨, 뉴'로 적는다.
- 3. [ɲ]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소리와 합쳐 '뉴'로 적는다.
- 4. 그 밖의 [ɲ]는 'ㄴ'으로 적는다.
- 제 4항: 반모음([j])
- 1. 어말에 올 때에는 '유'로 적는다.
- 2. 모음 사이의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예, 얭, 야, 양, 요, 용, 유, 이' 등으로 적는다. 다만, 뒤 모음이 [ø], [œ]일 때에는 '이'로 적는다.
- 3. 그 밖의 [j]는 '이'로 적는다.
- 제5항: 반모음([w])
[w]는 '우'로 적는다.
3. 문제점
3.1. 비모음 /œ̃/, /ɛ̃/ 발음의 문제
ㅐ 발음이 나는 /ɛ/는 ㅔ로 적는데, 비음화한 /ɛ̃/은 '앵'으로 적는다. 이렇게 된 것은 국제음성기호에 대한 외래어 표기법은 [ɛ]가 [æ]에 대립할 때에만 '에'로 적고 그 외에는 한국어 음성에 따라 '애'로 적으므로 비모음 [ɛ̃]는 [ɛ]('에'로 적음)와는 달리 '앵'으로 적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늘날 한국어에서 '에'와 '애'의 변별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을 반영한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ɛ/과 /ɛ̃/는 발음상 좀 거리가 있다. 비모음에서 모음추이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ɛ̃/의 북부 프랑스 중앙어 발음은 '앙'에 가까우며, '앵', '엥'과 같은 표기는 남부 방언의 발음에 가깝다. 만약 표기를 바꾸기로 결정한다면 프랑스어 외래어 표기법의 세칙에서 /ɛ̃/에 대한 규정을 따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문제는 /œ̃/도 마찬가지인데, /œ̃/도 파리식 발음으로는 /ɛ̃/로의 합류가 진행되고 있으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
3.2. /ʀ/ 발음의 문제
유성 구개수 전동음 /ʀ/(혹은 유성 구개수 마찰음 /ʁ/)에 대한 규정이 없다. 프랑스어 r의 발음은 /ʀ/, /ʁ/ 발음이 나는데,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에서도 /ʀ/, /ʁ/에 대한 규정이 없고, 프랑스어 표기 세칙에서도 규정이 없다. 이 문제는 국립국어원에서 프랑스어의 r에 대해 /r/ 발음으로 보고 /ʀ/, /ʁ/ 발음은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표기세칙 참고) 표기법으로는 문제가 없으나 대부분의 사전에서 표준 프랑스어의 r 발음은 /ʀ/ 혹은 /ʁ/로 규정하므로 프랑스어 세칙이나 국제음성기호에서 /ʀ/이나 /ʁ/ 발음을 ㄹ 혹은 ㅎ[2] 로 표기한다는 것으로 규정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해보인다.
3.3. /œ/ 발음의 문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걸 '외'라고 표기했으나, 실제 발음은 '어' 와 '아' 사이의 발음에 더 가깝다.
4. 보충설명: 프랑스어의 철자와 외래어 표기법의 대응
4.1. 모음
- /i/(이): i, î, ï, y, ÿ
- /y/(위): u, uë, û, ü
- /e/(에): e + 발음되지 않는 자음, 단음절에서의 es, et, e+2개의 자음, é
- /ɛ/(에): e + 발음되는 자음, è, ê, ë, ai, ei, e+2개의 자음
- /ə/(으): e(단음절, 단어 끝 개음절), 접두어 de-, re-
- /ø/(외): eu, œu+자음, cueil, gueil
- /œ/(외): eu, œu(단어 끝), eu+/ʒ/,/z/,/d/,/t/ 발음, eû
- /o/(오): o, ô, au, eau, o(단어 끝), o+발음되지 않는 자음, o+/z/ 발음
- /ɔ/(오): o+/z/를 제외한 발음되는 자음, ô, au
- /u/(우): ou, oû, où, aou, aoû
- /a/, /ɑ/(아): a, à, â
- /j/(이[어두/어중][A] , 유[어말] ): -il, -ille
- /w/(우): oi은 /wa/(우아)이다.
4.2. 비모음
- /ɑ̃/(앙): an, am, en, em, aen, aon, ient
- /ɛ̃/(앵): in, im, yn, ym, ain, aim, ein, eim, (i)en, (y)en, (é)en
- /œ̃/(욍): un, um
- /ɔ̃/(옹): on, om
- /wɛ̃/(우앵): oin
4.3. 자음
- /b/(ㅂ[어두/어중] , 브[어말] ): b, bb
- /d/(ㄷ[어두/어중] , 드[어말] ): d, dd, dh
- /g/(ㄱ[어두/어중] , 그[어말] ): g+(a,o,u), gu+(e,i,y)
- /f/(ㅍ[어두/어중] , 프[어말] ): f, ff, ph
- /v/(ㅂ): v
- /m/(ㅁ): m, mm
- /n/(ㄴ): n, nn
- /l/(ㄹ, ㄹㄹ): l, ll
- /p/(ㅍ[어두/어중] , 프[어말] ): p, pp
- /t/(ㅌ[어두/어중] , 트[어말] ): t, tt, th, d(연음될 때)
- /k/(ㅋ[어두/어중] , 크[어말] ): c+(a,o,u), c, cc, k, qu,[3] ch[4]
- /s/(ㅅ[어두/어중] , 스[어말] ): s, ss, sc+(e,i,y), c+(e,i,y), ç, ti+모음, x[5]
- /z/(ㅈ[어두/어중] , 즈[어말] ): z, 모음+s+모음, s, x(연음될 때 및 dix-huit 또는 dix-neuf에서)
- /ʃ/(시[어두/어중] , 슈[어말/e가_뒤따를_때/자음_앞] ): ch
- /ʒ/(ㅈ[어두/어중] , 주[어말/e가_뒤따를_때/자음_앞] ): j, g+(e,i,y)
- /ɲ/(니[A] ): gn
- /ʁ/(ㄹ[어두/어중] , 르[어말] ): r, rr, rh[6]
[1] 국제음성기호와 한글 대조표[2] 포르투갈어에서도 r은 /ʀ/ 발음이 나며,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이를 고려해 특정 상황에서 ㅎ으로 표기한다. 몇몇 사람들이 파리를 '빠히' 또는 '파히'라고 표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여기서 온 것.[어두/어중] A B C D E F G H I J K L M [A] A B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1음절로 적음[어말] A B C D E F G H I J K [3] 프랑스어에서의 q는 약어나 일부 고유어, 비유럽권 고유명사가 아닌 이상 반드시 u와 쓰이는데, u는 항상 묵음이다. 단적으로 quatre는 /katʁ/이다.[4] 어말에 오는 경우[5] ex의 형태로 오면 뒤에 자음이 올 때는 /ks/, 모음이 올 때는 /gz/로 발음한다.[어말/e가_뒤따를_때/자음_앞] A B [6] 위에서 서술했든 실제 발음은 목젖을 떠는 ㅎ 에 가까운데 외래어표기법에서는 혀끝을 떠는 ㄹ 발음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