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튬

 

[image]
일반 모델
[image]
스테이크아웃(stakeout) 이벤트 팩 한정판 모델

'''“Nil nos tremefacit”'''

'''(그 무엇도 우리를 흔들 수 없다.)'''

''- 흉갑기병 연대의 구호''

Jotums, Svalarheima Mechanized Cuirassiers. 미니어처 게임 인피니티의 진영 판오세아니아 소속 TAG.
1. 배경 스토리
2. 성능
3. 기타


1. 배경 스토리


[image]

'''요튬 (명사) /ˈyō-təm / 군사용어. (현대 군대 속어) 중장갑 판오세아니아 TAG 모델.'''

''- 컨실리아 보편 사전에서 발췌, 요약판, 마나하임, 컨실리엄 프리마 행성.'

요튬은 본래 얼어붙은 행성 스발라헤이마에 배치되던 태그로, 그 지시명에 걸맞은 거대한 몸집을 자랑한다. 이 요튬이란 지시명은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서리 거인들을 가리키던 고대 북구어 "요툰"의 변형이다. 요튬은 인류계 전체를 통틀어도 최고이자 최강의 병기로 손꼽히며, 중장갑과 무지막지한 화력의 조합 덕에 어느 전장에 배치되던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요튬은 다목적 스쿠알로 프레임을 기반으로 동체 구조를 강화하고 두꺼운 첨단 복합소재 장갑을 증설하였으며, 추가 중량을 감당하기 위해 더 강력한 동력부를 탑재했다. 요튬의 엔진과 서보모터에서 나오는 힘은 너무나도 강해 기술자들이 기능과 성능에 제약받는 일 없이도 장갑 내부에 무장을 추가 탑재할 수 있을 정도였다. 요튬의 장갑 아래에는 탈착식 플랫폼에 장착된 비유도 중장거리 대전차화기가 숨겨져 있다. 동체 내부에 무기를 내장한 방식 덕에 자유로운 손으로 주무장을 쥘 수 있고 근접전에서도 자유롭게 손을 쓸 수 있다. 이 판오세아니아제 거신의 높은 전술 능력의 비결 중 하나다.
요튬은 기갑 기병대 조직도에서 스발라헤이마 기갑 흉갑기병 연대에 소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얼어붙은 행성에서도 가장 살아남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비한다. 발바닥의 면적을 늘이는 시스템을 탑재해 표면적을 넓혀 눈이나 여타 연약한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처럼 다양한 환경 대응책이 적용된 것이다. 이에 더해 동력부에는 낮은 기온이나 여타 기후 조건에도 고장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도의 환경 보호 조치가 취해졌다. 여기에 교전 시 전술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일련의 통제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더해졌다. 유징 제국 병사들이 선산(铣山, 무쇠 산)이라고 부르는 스발라헤이마의 얼어붙은 평원 위에서 벌어진 청랑 부대와 요튬의 격돌은 스발라헤이마의 전설로 남아있다.
요튬은 판오세아니아 기술 패권의 상징이며, 인류계 전역에서 가장 단단하고 튼튼한 TAG[1]이자 그 누구에게라도 두려운 적수다. 이 강철 거수가 모습을 드러내는 곳은 보통 대전차 무기가 날아들 것으로 예상되는 격렬한 저항 지역이다. 다른 기갑 기병대라면 돌파에 실패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어떤 위협이 기다리던, 그 어떤 적이 그 어떤 무기를 들이대던, 전장에 선 이 중장갑 거인들을 막을 방법은 없다. 요튬은 그 어디에 배치되더라도 결코 멈춰세울 수 없는 거신으로 군림할 것이다.

2. 성능


[image]
중화염방사기와 판처 파우스트를 장착했다는 걸 제외하면 무장 자체는 스쿠알로와 큰 차이가 없는 태그. 하지만 장갑과 BTS는 그야말로 압도적인 수준으로, 이 정도의 맷집을 발휘하는 건 인피니티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나마 2판까지는 '''EI의 화신정도가''' 같은 방호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3판에서 아바타의 ARM이 1 깎이며 그야말로 인피니티 최고의 방호력을 자랑하게 됐다. 일반적인 소화기 피해는 무시하면서 돌격할 수 있기 때문에 기갑 기병대보다 더 적극적으로 적과 맞설 수 있다. 방어력을 제외하면 기갑기병대와 스팩이 같다고는 하지만 그건 곧 '''인피니티 최강급'''이라는 뜻이다. 강력한 방호력을 믿고 불도저처럼 적을 밀어버리는 것이 요튬의 주요 전술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무적은 아닌 것이, 커터처럼 아예 적의 명중률을 낮추는 방식이 아니라 일단 맞고 버텨내는 방식이기에 미사일이나 오토캐논 같은 AP+EXP에 명중당하면 쉽사리 박살날 수 있다. 모든 태그의 천적인 모노병기는 말할 것도 없고. 리액티브 턴에 HMG나 스핏파이어 사격을 당한다면 피해 굴림은 차치하더라도 크리티컬 확률만 5분의 1이기 때문에 의외의 손상을 감수해야 할 수도 있다. 강해 보인다고 무조건 단독으로 운용하지 말고 다른 병력과의 연계를 잊지 말자.
N4 개정 이전의 크리티컬 시 자동으로 운드를 잃던 환경에서는 운이 나쁠 경우 크리티컬이 난 '''권총탄'''에 장갑이 뚫릴 수도 있었다. 아무리 장갑이 두껍다고 해도 게임 시스템을 압도할만큼 초월적인 수준은 아니라서 커버 상태에서 HRL을 맞았는데 3+ 세이브를 두 번이나 실패해서 2운드를 입었다던가, 브레이커 속성의 오버로드 프로토콜에 당해 아군을 쏘다가 마지막 오더에 건물에서 6인치 위로 점프해 추락사당했다던가, 찾아보면 온갖 창의적인 방식으로 터져나가는 요튬의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다.
N4 개정으로 많은 수혜를 입은 모델로, 크리티컬 룰의 변경으로 인해 정말로 일반 소총탄 따위로는 커버를 받는 요튬에게 피해를 줄 방법이 아예 사라졌고, 악명높던 태그 처리 수단인 포제스드 후 낙사가 점프 룰의 변경으로 원천 봉쇄됐다. 전반적으로 투입 비용이 하락하여 상대적으로 투입에 들어가는 부담이 줄어든 것은 덤. 그리고 부무장이었던 DEP가 게임에서 삭제되며 판처파우스트로 변경되고, AP CCW가 추가되는 등의 소소한 개정이 이루어졌다.

3. 기타


스쿠알로 기반 기체라는 설정대로 떡장갑 안에 있는 소체는 의외로 가늘고 호리호리한 편. 실제 모델도 소체에 증가장갑을 부착시키는 식으로 만든다. 완성시 다른 동 소체 기반 태그들과는 비교가 안 되는 떡대를 자랑한다.

[1] Tactical Armored Gear,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