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문

 

[image]
1. 개요
2. 상세
3. 사용 무술
4. 작중행적
5. 기타


1. 개요


바키 시리즈의 등장인물.
성우는 테즈카 히데아키.
별명은 '흉마 서문', '미스터 구속불가(언체인)'
대뇌대전이 외부인과 중국무술인의 5:5 대전으로 변질될 때, 카쿠 춘성과 함께 참전했었다.

2. 상세


이미 예전 대만 대뇌대전에서 4년 연속 우승할 정도의 강자였으며, 이 경력이 대만암흑계의 눈길을 끌어 도박격투의 격투사로 고용되게 된다. 이 격투에서 25년이 넘는 세월 동안 무패였다고 한다. 올리버에게 패배하기 전까진 평생 무패였다.

3. 사용 무술


특기는 발권으로, 주머니 속에 손을 넣고 허리의 탄력을 이용해 손을 발도하듯 초고속으로 뽑아내어 공격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본자세는 주머니 속에 손을 넣고 있는, 상당히 건방진 자세가 된다. 이 기술은 주머니 속에서 이미 공격이 완성되어 있기에 상대방이 먼저 주먹을 뻗어도 최소한 호각이라는 괴이한 스피드를 자랑한다.
문제는 바키에 나오는 대부분의 이론들이 그러하듯 발권의 이론이 완전 엉터리 그 자체다. 직접적으로 발도와 비교하지는 않지만 유지로가 발권에 대해 설명할 때 뒷배경에 잠깐 발도의 이미지가 스쳐 지나가는데, 흔히 대중문화에서 묘사되는 발도는 칼 쓰는 손의 반대쪽 허리춤에 꽂아놨던 칼을 꺼내면서 베어버리는 동작이 일반적이다. 용서문은 그냥 손과 같은 쪽 주머니에서 손을 꺼내 찌르기 공격을 해대는데 저걸 발도에 대입시켜 생각해보면 일반 주먹질보다 빠를 이유도, 강할 이유도 전혀 없다.
주머니에서 손을 빼내 공격하려면 당연히 주머니가 걸리적거릴 수 밖에 없고, 작중 설명에 따르면 허리 탄력을 실어 주머니 안에서 손은 이미 가속되어 있으며 그걸 허리를 튕겨 손만 빼낸다는데 결국 손보다 허리를 더 빠르게 움직여야, 즉 허리의 가속이 손에 100% 실리지 않는다는 소리이다. 그냥 손을 뽑은 상태에서 그 허리 탄력을 100% 실어서 공격하는 게 더 빠르고 강력할 것이다. 물론 바키 월드에서는 나름대로의 강점은 있는 기술인지, 4부에서 유지로가 하나야마에게 발권을 선보이기도 했다.
여기에 더해 초반에 올리버의 턱을 올려치는 장면을 보면 손을 주머니에서 꺼낼 때와 턱을 올려칠 때의 궤도가 아예 다르게 그려져 있기도 하다. 2020년에 제작된 대뇌대전편 애니메이션에서는 빼는 장면과 치는 장면을 절도 있게 끊어서 보여주는 것으로 처리했다. 작화 자체는 박진감 넘치게 잘 뽑았다는 평이지만 상기의 기괴한 이론을 애니메이션으로 살려내는 것까지는 무리였는지 그냥 주머니에서 손을 빨리 뽑는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4. 작중행적


5:5대결에서는 또 다른 언체인 비스켓 올리버와 대전하여 그 스피드와 파괴력으로 어느 정도 선전한다. 급기야 '기관총으로도 안 뚫리는 근육'이라는 올리버의 하복부 근육을 뚫고 출혈상을 내서 그가 식은 땀을 흘리게 만들 정도였다. 하지만 이건 용서문의 실력을 알아보기 위해 올리버가 봐준 면이 있었으며, 진짜로 방어에 집중하자 근육을 뚫긴 커녕 용서문의 손가락뼈가 박살이 나버린다. 거기다 특기인 포켓핸드(상술했던 발권)마저 카피당하고 그 사기적인 맷집과 근력에 밀려 박치기 연타를 당해 패배하게 되지만, 기절하기 직전까지도 주머니에 손을 넣으며 끝까지 발권 자세를 취하는 등 투지를 잃지 않아서 올리버에게 '''마지막까지 스마트한 녀석'''이라고 인정받았다. 중국연합군에선 나름 대우가 후한 인물이다.
대뇌대전의 시합들 대부분이 다소 허무하게 끝난 감이 있음에도 용서문과 올리버의 싸움은 상당한 명승부였기 때문에 그다지 크지 않은 출연 비중에도 불구하고 인기는 상당하다. 본편에서도 담배를 꼬나문 용서문이 한 화의 표지로 등장했고, 카쿠 해황이 등장한 신장판 15권에 이어 신장판 16권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5. 기타


이름을 보아 실존했던 무술가 이서문이 유래가 된 듯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작사사쿠라이 쇼이치에서 모티브를 따온 캐릭터다. 외모도 비슷한 데다가 평생 무패였다는 컨셉, '마음의 따뜻함은 만능'이라는 좌우명을 살짝 비튼 대사인 '마음의 서늘함은 무적' 등등이 그렇다. #
마법선생 네기마의 등장인물인 타카미치 T. 타카하타의 전투방식은 이 캐릭터를 모델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