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동음이의어)

 

1. 乳頭
2. 流頭
3. 환상게임의 등장인물


1. 乳頭


유두 문서 참조.

2. 流頭


우리 나라 고유명절 중 하나. 음력 6월 15일[1]로, 신라시대의 풍속에 따르면 이날 나쁜 일을 덜어버리기 위하여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씻었다고 한다. 이날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으면 나쁜 일을 막고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오늘날에는 수단,[2] 수교위,[3] 상화병 같은 음식을 만들어 먹고, 농촌에서는 농사가 잘 되게 해달라고 고사(용신제)[4]를 올린다.
이날은 술과 안주 등 먹을 것을 가지고 계곡이나 물가에 가서 더위를 피하며 풍류를 즐기곤 했으며, 이를 유두잔치 또는 유두연이라 했다. 또한, 머슴이나 일꾼들에게 떡과 술을 내주고 머슴술메기ㆍ품앗이 대접ㆍ두레싸움[5] 등을 시키기도 했다고 한다.
이날에 내려와서 인간의 농사를 돕는다고 하는 신을 '유두 할아버지'라고 부르며, 이날에 유두면이라는 것을 만들기도 했다. 밀가루로 구슬 모양의 국수를 만들어 오색으로 물들이고 세 개씩 포개어 색실로 꿰어 맨 것인데 악신을 쫓는다 하여 몸에 차거나 문짝에 걸었다. 또한, 이날 아침에는 유두면과 떡을 곁들여 새로 나온 곡식과 오이ㆍ참외ㆍ수박 등의 햇과일을 사당에 차려놓고 제사를 지냈으며 이를 '유두천신(流頭薦神)'이라 했다.[6] 여기서 조상의 사당에 올리는 콩과 벼를 따로 유두콩, 유두벼라 불렀다.
농경시대에는 한참 태양이 뜨겁고 일이 많은 철의 보름이었으므로 중요했겠지만 현대의 도시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아 반쯤 잊힌 명절이다.

3. 환상게임의 등장인물


유두(환상게임) 문서 참조.

4. UDOO


단일 보드 컴퓨터. 해당 문서 참조.

[1] 양력으로는 대개 7월에 든다.[2] 水團, 쌀가루나 밀가루를 반죽하여 경단같이 만들어서 삶은 다음 냉수에 헹구어 물기가 마르기 전에 꿀물에 넣고 실백잣을 띄운 음식이다.[3] 밀가루를 반죽하여 얇게 빚어서 그 속에 고기와 오이 따위를 잘게 썬 소를 넣고 만두 모양으로 찐 음식이다.[4] 용신에게 비를 내려 풍년이 들게 해달라고 기원하며 올리는 제사로, 유둣날 외에도 음력 유월 용날이나 칠월 칠석에 지낸다. 유두고사라고도 한다.[5] 경기도 용인시, 충청남도 청양군 등지에서 전승되던 민속놀이다. 각 부락의 두레마다 농기(農旗)가 있었으며, 농사일에 동리의 농악대가 풍장(풍물놀이)을 치고 나가기도 했다. 이때 여러 농기들이 서로 마주치면 농기싸움을 벌였는데, 이 과정을 이르던 말이다.[6] 천신이란 계절의 새로운 과일 등을 신령에게 바치며 재수(財數)를 기원하는 굿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