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택

 


이승택
Lee Seung-taek


<colbgcolor=#343a94> 출생
1932년 4월 7일, 함경남도 고원
국적
대한민국 [image]
직업
설치미술가, 조각가, 화가
학력
홍익대학교 조각과
1. 개요
2. 생애
3. 작품
3.1. 고인돌에 링거 설치
3.2. 고드렛돌
3.3. 무제(1968)
3.4. 묶기
3.5. 하천에 떠내려가는 불타는 화판
3.6. 바람
3.7. 역사와 시간
3.8. 폭포 그림
4. 관련 동영상
5. 여담

[clearfix]

1. 개요


60년대에 자코메티의 조각은 인체의 형태나 근육을 배제하고 뼈만 남겼었다.

나는 여기에 한술 더 떠서 뼈마저 부정하면 뭐가 될까? 그렇다면 형체가 없는 작품 아닌가?

미술은 형체를 주로 다루는 것인데... '형체없는 미술이 가능할까?' 하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인터뷰 중에서 #

대한민국의 설치미술가. 조각가. 행위예술가. 화가. '한국 전위미술의 선구자'라고 불린다.
한국 실험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곽인식이우환으로 대표되는 60~70년대 당시 한국 미술계의 '물성' 연구를 뒤집어 엎고, 바람, 물, 연기 등을 작품으로 표현한 '비물질(비물성)'의 미술을 세계최초로 시작하였다.

2. 생애


1932년 함경남도 고원군에서 태어났다. 고원에서 19살 때까지 살다가 6.25전쟁을 겪으면서 남한으로 내려왔다. 고등학교 재학 시절부터 미술에 남다른 소질을 보였으며 철학에도 관심을 가졌었다고 한다. 1955년 홍익대 미대 조소과에 입학해서 대학교 2학년 때 '제2회 국전'에 출품할 작품을 심사받았는데, 심사위원들은 받침대 하나에 조각상 2점을 얹은 그의 작품[1]을 거절하였다. 그 뒤로부터 국전의 아카데믹한 심사방식과 미술계 내에서 서울대-홍대 출신들의 암투, 서구 사조 모방에만 혈안이 된 풍토 등에 강한 거부감을 가지게 되었고, 이후 주류 미술계에서부터 점점 멀어졌다. 그러나 아웃사이더에 있으면서도 1956년부터 인천 맥아더 동상과 같은 사실적 조각 제작에 참여하기도 하여 80여개의 동상, 기념물 등을 건립하면서 경제적으로도 여유가 생겼고, 의뢰받은 작품이 없는 시간에는 자유로운 실험미술에 몰두할 수 있었다.
이승택은 '설치'라는 개념조차 없던 1950~1960년대에 설치 형식의 작업을 실행한 전위미술의 선구자이다. 1950년대 〈역사와 시간〉을 발표하며 기성 조각의 문법에 도전하였고, 1960년대에는 옹기, 비닐, 유리, 각목, 연탄재 등의 일상 사물들로 새로운 재료 실험에 몰두함으로써 당시 미술 제도 내에서 통용되는 조각 개념과 서서히 결별하기 시작했다. 당시 곽인식이우환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작가들이 미술 작품에 있어서 '물성(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는데, 이승택은 이를 뒤집어서 구체적인 형태나 형체가 없는 '비(非)물질'의 작품에 주목했었던 것이다. 1970년 전후에 바람, 불, 연기 등 비물질적인 요소들로 작품을 시도하고 장소와 상황을 작품화하였으며, 사물과 자연물을 노끈으로 묶는 '묶기' 작업을 통해 사물의 고유한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바라보았다. 이러한 기성 미술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과 예술 실험은 1980년 무렵 '비조각'이라는 개념으로 정립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이승택은 사회, 역사, 문화, 환경 등 삶의 영역으로 관심의 지평을 확장하면서 퍼포먼스, 대형 설치, 사진 등으로 작업의 영역을 넓혀나갔다.
서울대와 홍익대학교의 파벌 활동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재야의 삶을 선택한 이승택은 한국 설치미술의 길을 앞서서 닦았음에도 불구하고 평단의 저평가로 인해 지난 50여년간 국내 미술계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2009년 백남준아트센터 국제예술상 제1회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비로소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80살이 넘은 늦은 나이에 이르러서야 세계적인 전위작가로 떠올랐다. 그를 두고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 영국 런던 서펜타인 갤러리 디렉터는 "세계 미술사에 남을 독자적인 작가" 라고 말했고, 토비아스 버거 홍콩 엠플러스(M+) 미술관 큐레이터는 "현대 미술사를 다시 쓸 작가"라고 평했다. 최근 한국 평단 내에서도 '한국현대미술의 역사를 이승택을 기점으로 다시 써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다. 이승택의 작품은 런던 테이트 모던 2층 전시장에 세계 유명 작가들의 작품과 함께 ‘테이트 콜렉션’으로 전시되어 있다. 2013년 한국 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은관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

3. 작품



3.1. 고인돌에 링거 설치



3.2. 고드렛돌



3.3. 무제(1968)



3.4. 묶기



3.5. 하천에 떠내려가는 불타는 화판



3.6. 바람



3.7. 역사와 시간



3.8. 폭포 그림



4. 관련 동영상




5. 여담


  • 이승택은 그동안 자신의 작업 세계를 알아보지 못했던 평단에 대해 "무식하니 알아볼 수가 있나"라고 말했고, 국내 화단에 대해서는 "한국 작가들의 의식 수준은 형편없고 머리는 텅 비었다"고 말했다. #
관련 기사를 쓴 기자가 기분이 상했는지, '작품은 그닥 파격적이지도 신선하지도 않다'고 평가를 했는데, 2014년도에 적은 기사라 아직 이승택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실 파격적이지도 신선하지도 않은 그 작품들이 '그 당시 세계에서 제일 처음 시도한 것'(형체가 없는 조각 작품을 만드려는 시도)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면 작품이 다시 보였을 것이다. 지금에 와서야 너도나도 저런 작품을 만드니 신선하게 보이지 않은 건 당연하다. 물론 기자이긴 하나, 이승택의 말대로 "무식하니 알아볼 수가 있나"가 맞는 말인듯..
[1] 작품명 〈설화〉, 수염 기른 양반과 젖가슴 드러낸 채 동이를 인 아낙네의 청동상을 한 좌대 위에 장승처럼 나란히 올려 놓은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