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2년
1. 개요
만주사변이 발발하면서 일본군과 중국 군벌군, 한국 독립세력의 전쟁이 가장 격화되었던 시기였다. 이봉창, 윤봉길 의사의 의거가 있었던 해이기도 했다.
1932년은 이라크 왕국이 독립하던 해이기도 하다.
2. 사건
2.1. 실제
- 1월 1일: 난징 국민정부와 광저우 국민정부 통합, 1차 양광사변 종식, 영월합작 달성.
- 1월 3일: 진저우 침공
- 1월 5일: 광저우 국민정부 정식 취소.
- 1월 7일: 중국 공산당 중앙국 1차회의에서 저우언라이가 마오쩌둥을 비판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킴. 부전사변의 일단락.
- 1월 8일: 일본 제국 도쿄에서 조선의 독립운동가 이봉창 의사가 히로히토 암살을 위해 마차에 폭탄을 투척했으나 불발하고 체포되었다. 그리고 10월 10일에 사형집행되었다.
- 1월 12일: 미국에서 헤이티 케러웨이(Hattie Caraway)가 상원의원에 당선되며,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상원의원으로 기록된다.
- 1월 18일: 마옥산 사건 발생.
- 1월 19일: 신빈사건. 조선혁명당의 주요 간부가 신빈현 하북에서 모였으나 일본 경찰에게 발각되어 10명 이상이 체포되었다. 조선혁명당 중앙집행위원장(대표 격) 이호원[2] 과 조선혁명군 사령관 김보안이 체포된 것이 결정타였다. 이에 정치부장 고이허와 부사령관 양세봉이 각각 위원장과 사령관으로 취임하여 조직을 재건하였다.
- 1월 28일: 일본군이 제1차 상하이 사변을 일으키고 상하이를 무력으로 점령했다.
- 2월 18일: 일본 제국이 중화민국으로부터 만주국이 독립, 건국하였음을 선포했다.
- 2월: 만주 관전현에서 양기하 휘하 수십명의 독립군이 혈투 끝에 일본군과 만주국군의 협공으로 모두 전사하였다.
- 3월 1일 저녁: 대서양 횡단으로 유명한 찰스 린드버그의 장남인 생후 20개월 된 찰스 린드버그 주니어가 유괴되었다. 아이의 시신은 그해 5월 12일에 발견되었다.
- 3월 9일: 푸이(선통제)가 만주국 집정으로 취임했다.
- 4월 1일: 일본 제국 문부성이 야구를 금지하는 야구통제령을 실시, 일본 본토와 한반도 전역의 야구 대회를 금지시켰다.
- 4월 10일: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 선거 결선투표에서 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아돌프 히틀러를 꺾고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히틀러 역시 이 선거로 자신의 인지도를 크게 높이며 또 다른 승자로서 우뚝 섰다.
- 4월 29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일본 제국의 천장절 및 상해사변 전승기념식장에 윤봉길 의사가 폭탄을 투척, 단상을 초토화시키고 시라카와 대장을 죽이고 주요 인사들을 중상을 입혔다. 그리고 12월 19일에 사형이 집행되었다.
- 4월: 신빈현(신징현. 혹은 흥경현) 영릉가(융링제)에서 양세봉의 조선혁명군이 이춘윤 등의 중국의용군(요녕민중자위군)과 연합해 영릉가를 점령했다. 이들 조중연합군은 3월 10일 초전 이래 80명의 일만연합군을 사살했으나, 중과부적으로 읍내에서 후퇴하였다가 다시 되찾았다. 조선혁명군은 이때 중앙군 300명, 총병력 1천으로 2천 규모의 중국의용군과 요녕민중자위군 특무대(11로군)란 이름으로 연합했다.
- 5월 5일: 송호정전협정 체결.
- 5월 8일: 일만연합군이 다시 영릉가를 침입했으나 이틀간의 전투에서 격퇴하였다.
- 5월 15일: 5.15 사건 발발.
- 5월~6월: 영릉가의 계속된 전투와 신개령(新開嶺) 전투(200명 살상) 등 잇단 6차례의 전투에서 조중 연합군이 일만 연합군에게 천명의 사상자를 냈다.
- 5~6월: 국민혁명군의 제4차 초공작전이 발동되었다.
- 6월 24일: 시암에서 시암 혁명이 일어나 시암은 입헌군주제가 되었다.
- 7월 4일: 지리산 쌍계사 지진이 발생했다.
- 7월 5일: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가 포르투갈의 총리로 취임한다. 이후 그는 무려 36년간 총리로 재임, 독재를 하게 된다.
- 7월 17일
- 7월 28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자와 그 가족들, 이른바 보너스 군대가 연금삭감에 항의하며 가두시위를 벌이자 더글러스 맥아더와 조지 S. 패튼이 군 병력을 투입하여 강제로 해산시켰다.
- 7월 30일: 미국에서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이 개막했다.
- 7월 31일: 바이마르 공화국 총선에서 나치당이 230석을 쓸어담으며 압승, 원내 제1당이 되었다. 그러나 과반획득에 실패하고, 연정구성도 하지 못하면서 나치의 집권은 일단 막아냈다.
- 7월 하순: 최윤구 조화선의 조선혁명군이 단독으로 통화현 쾌대무자快大茂子에서 일만군 80명을 사살했다.
- 8월 6일: 이탈리아 왕국에서 제1회 베네치아 영화제가 개막했다.
- 8월 10일: 덴마크에서 올레 키르크 크리스티얀센이라는 목수가 나무 장난감을 만들었다. 오늘날 레고의 시작인 셈.
- 9월 20일: 인도 제국의 마하트마 간디가 옥중 단식을 개시했다.
- 9월 23일: 아라비아 반도의 네지드 왕국이 헤자즈 왕국을 공격해 합병했다. 이로서 사우디아라비아가 탄생했다.
- 11월 6일: 바이마르 공화국의 정치적 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4달만에 다시 총선이 치뤄졌다. 여전히 나치당이 제1당이었으나 의석수는 줄었고, 나치는 위기를 맞이하는 듯 싶었으나…
- 11월 8일: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가 허버트 후버 대통령을 꺾고 당선되었다.
2.2. 가상
- 4월 29일: 상하이 홍커우 공원 테러미수사건 발생. 테러범 윤봉길은 현장에서 사살되었다. - 2009 로스트 메모리즈
- 각시탈의 배경연도.
- <캠벨> 평행계에서 SF잡지 편집자 존 캠벨이 사망하면서 SF는 발전하지 못했고, 이것은 평행계의 과학발전의 후퇴로 이어졌다. - 겁스 무한세계
- 시카쿠몬 평행계에서 희생전쟁에서 스웨덴, 영국, 일본의 동맹군이 프랑스, 브라질의 연합군에 어느정도 승리를 거두고 나서 종결되었다. - 겁스 무한세계
3. 탄생
3.1. 실제
3.1.1. 1월
- 1월 5일
- 1월 8일 - 이상희: 대한민국의 정치인
- 1월 10일 - 하재완(~1975년): 인민혁명당 사건 사형수
- 1월 11일 - 이시모리 탓코우(~2013년): 일본의 성우
- 1월 24일 - 백기완(~2021년):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사회운동가, 작가
- 1월 25일 - 구민(~생존 중): 대한민국의 성우
3.1.2. 2월
- 2월 5일 - 체사레 말디니(~2016년): 이탈리아의 축구 선수
- 2월 9일 - 히로오카 타츠로(~생존 중): 일본의 야구선수
- 2월 17일 - 박성용(~2005년): 대한민국의 기업인
- 2월 25일 - 이만섭(~2015년):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 전 국회의장
- 2월 26일
- 2월 27일 - 엘리자베스 테일러(~생존 중): 미국의 배우.
3.1.3. 3월
- 3월 7일 - 김문기(~생존 중): 대한민국의 정치인
- 3월 15일 - 이호철(~2016년): 소설가
- 3월 21일 - 월터 길버트(~생존 중): 미국의 화학자, 노벨화학상 수상자
- 3월 22일 - 염보현(~생존 중): 대한민국의 정치인
- 3월 27일 - 신춘호(~생존 중): 대한민국의 기업인
- 3월 31일 - 오시마 나기사(~생존 중): 일본의 영화 감독
3.1.4. 4월
- 4월 4일
- 4월 6일 - 갈봉근(~2002년): 대한민국의 前 정치인
- 4월 10일 - 오마 샤리프(~2015년): 이집트의 배우
- 4월 11일 - 조엘 그레이(~생존 중): 미국의 배우
- 4월 27일 - 케이시 케이젬(~2014년): 미국의 방송인, 아메리칸 탑 40의 진행자
3.1.5. 5월
- 5월 1일 - 야마우치 카즈히로(~2009년): 일본의 야구선수
- 5월 7일 - 코세키 하지메(~2013년): 일본의 성우
- 5월 9일 - 이길여(~생존 중): 가천대의 총장
- 5월 11일 - 지관 스님(~2012년): 대한민국의 제32대 조계종 총무원장
- 5월 22일 - 로버트 스피처(~2015년): Robert Spitzer, 미국의 정신의학자
- 5월 28일 - 박영숙(~2013년): 한국 여성운동계의 대부
3.1.6. 6월
- 6월 6일 - 데이비드 스콧(~생존 중): 미국의 우주비행사
- 6월 10일 - 헤들리 불(~1985년): 영국의 학자
- 6월 21일 - 랄로 쉬프린(~생존 중): 아르헨티나의 피아니스트
3.1.7. 7월
- 7월 9일 - 도널드 럼즈펠드(~생존 중): 미국의 정치가, 사업가
- 7월 19일 - 타노나카 이사무(~2010년): 일본의 성우
- 7월 20일 - 백남준(~2006년): 대한민국의 예술가
- 7월 31일
3.1.8. 8월
- 8월 2일 - 피터 오툴(~2013년): 아일랜드 출신의 영국 배우
- 8월 7일 - 아베베 비킬라(~1973년): 에티오피아의 육상선수
- 8월 14일 - 소 마사에(宗正惠)(~1956년?): 덕혜옹주의 무남독녀, 소 다케유키[3] 의 장녀.
- 8월 27일 - 나오연(~생존 중): 대한민국의 정치인
3.1.9. 9월
- 9월 4일 - 김사복(~1984년): 독일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를 광주광역시까지 태워다 준 호텔 택시 기사
- 9월 10일
- 9월 12일 - 니시오 토쿠: 일본의 성우
- 9월 17일 - 셰이크 칼리파 빈 하마드 알 타니(~2016년): 카타르의 국왕
- 9월 25일 - 글렌 굴드(~1982년): 캐나다출신의 피아니스트
- 9월 30일 - 이시하라 신타로(~생존 중): 일본의 정치가, 도쿄 도지사
3.1.10. 10월
- 10월 5일 - 이양우(~생존 중): 한국의 변호사, 정치인, 전 군인
- 10월 8일 - 법정(~2010년): 대한민국의 승려, <무소유>의 저자
- 10월 20일 - 나야 로쿠로(~2014년): 일본의 성우
3.1.11. 11월
- 11월 10일 - 로이 샤이더(~2008년): 미국의 배우
- 11월 13일 - 김종완(~2013년): 통합민주당의 국회의원
- 11월 15일 - 페툴라 클락(~생존 중): 미국의 가수 및 영화 배우
- 11월 22일 - 로버트 본(~2016년): 미국의 배우
3.1.12. 12월
- 12월 1일 - 임택근(~2020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 12월 4일 - 노태우(~생존 중): 대한민국의 군인, 13대 대통령
- 12월 5일 - 리틀 리처드(~2020년): 미국의 가수
- 12월 12일 - 밥 페팃(~생존 중): 미국의 농구선수
- 12월 29일 - 최일남(~생존 중): 대한민국의 소설가
3.1.13. 일자불명
3.2. 가상
4. 사망
4.1. 실제
- 1월 13일 - 조피 도로테아 울리케 알리체(~1870년): 프로이센 왕국의 공주, 그리스 왕국의 왕비
- 1월 26일 - 윌리엄 리글리 주니어(~1861년): 미국의 기업인
- 2월 29일 - 라몬 카사스 이 카르보(~1866년): 스페인의 화가
- 3월 31일 - 에벤 바이어스(~1880년): 미국의 골프선수이자 사업가
- 4월 23일 - 최영숙(~1906년): 한국 최초의 스웨덴 유학생, 경제학사
- 7월 9일 - 최서해(~1901년): 대한민국의 소설가
- 9월 3일 - 장쭝창(~1881년): 중화민국의 군벌
- 10월 10일 - 이봉창(~1900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11월 17일 - 이회영(~1867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 12월 18일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1850년): 독일의 사회주의 혁명가
- 12월 19일 - 윤봉길(~1908년):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