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서(택견)
1. 개요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 택견의 전 전수장학생이자 위대태껸보존회의 회장.
어릴 적부터 집안의 영향으로 한학, 한의학, 병법을 공부했고, 국민학교 때부터 송덕기와 한 동네에서 살았다고 한다. 송덕기는 택견뿐만이 아니라 노인정 의사, 사정의 의사 소리를 들을 정도로 한의학에 조예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준서는 송덕기로부터 택견뿐만이 아니라 옛 의학도 함께 전수를 받았다고.
택견에 관심하게 된 이유는 지역적 요소[1] 와 무술 자체에 원래 호기심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린 시절부터 알음알음 택견을 배우다 1983년 택견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송덕기는 이준서를 위대태껸[2] 의 유일한[3] 전수장학생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1987년 5월 석촌호수 놀이마당에서 열린문화재 발표회 및 국가장학 전수생과 이수생 시연에서 낙방하여 국가장학 이수생이 되진 못했는데[4] 이 사건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당시 무형문화재 관련 법령상 국가장학 이수생 자격을 얻을 수 있는 기준은 인간문화재로부터 5년간 '''공식적'''[5] 전수였다. 그러나 문제는 시연이 있던 당시 국가장학 이수생 자격을 가진 인물이 아무도 없었다는 것이다. 실제 당시 택견 국가 전수생들 중 가장 오래 택견을 사사받았던 것이 박만엽으로, 신한승에게 4년 6개월간 가르침을 받았던 상태였다. 한마디로 '''실력 이전에 기간이 채워지지 않았던 것'''이다. 그럼에도 국가장학 이수생으로 발탁된 이가 하나 있었으니 바로 정경화였다.
그 까닭은 바로 정경화가 제시한, 5년 전 신한승과 함께 시연을 한 사진들이 주최 측에서 수련의 근거로 인정이 되었기 때문인데, 차후 송덕기가 돌아가자 충주택견 측에서 무형문화재로써의 택견의 지위를 독차지하기 위해 위의 사건을 문제 삼으며 웃대 택견의 계보가 끊어졌다는 주장[6] 을 내세워 국가 전수생 제도를 폐지시킴으로써 택견의 유일한 국가 공인 전승자는 송덕기 계열(웃대)이 아닌 신한승 계열(아랫대)로 넘어가게 된다.
사실 당시에는 부각되지 못하였으나 이는 상당한 문제거리가 될 수 있었다. 왜냐하면 충주 측의 주장과는 달리, 당시 행정적으로 이준서는 국가전수생을 '''공식적으로 수료'''했기 때문이다.[7] 즉, 시험만 치르면 바로 국가장학 이수생으로 인정받을 자격을 얻었을 텐데, 충주 측 농간 때문에 시험을 치룰 기회조차 얻지 못한 셈. 이는 박만엽 또한 마찬가지였다.
이후, 약 30년 정도 택견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다가 몇 해 전부터 전수를 위해 위대태견보존회의 회장으로 택견계에 돌아왔고, 현재 고용우와 함께 위대태껸을 계승하는 후진들을 양성 중이다.
태껸 무고춤 12마당(태껸춤)의 전승자다.
2. 여담
이용복이 저술한 바람이 불어도 가야 한다를 보면 미국에 사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전화를 했더니 아무 소리하지 않고 끊어졌고, 다시 전화했을 때는 그 전화번호가 없어졌다고 한다...고 하는데 정작 자신은 미국에서 산 적이 없으며, 따라서 미국에서 전화를 받은 적도 없다고 한다. [아무래도]
송덕기가 유명한 인간이라고 알려지지 않은 수많은 무술인들이 찾아 왔었고, 그들로부터 위대태껸의 정통성에 대한 호평을 들었다고 회고하기도 하였다.
현재 한국에 거주 중이며 위대태껸보존회를 이끌고 있다고 한다.
[1] 비단 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 전에도 사직골에서 송덕기는 택견꾼으로 유명한 분이었다.[2] 역사적으로 태껸은 청계천을 중심으로 경복궁 방향에서 행해진 웃대(上村)와 남산 방향에서 행해진 아랫대(下村)로 나뉘는데, 송덕기는 이중 웃대 택견꾼이었다고 한다.[3] 1대1 전수가 필요한 개인 종목 무형문화재는 당시에는 인간문화재가 각기 국가전수생 2명을 둘 수가 있었다.[4] 당시 송덕기는 병환으로 누워 있어 행사에 참석하지 못했고, 신한승은 대장암 말기로 참석은 하였으나 시연을 하지는 못 했다.[5] 즉 어떤 형태로든 기록이 남는 것.[6] 이준서가 탈락한 것은 수련을 게을리해 실력이 없었기 때문이고, 거기에 더해 전수장학생도 다 끝마치지 못했지 않느냐는 것.[7] 송덕기는 사망하기 전에 이준서가 국가전수생 과정을 모두 끝마쳤음을 선언했고, 이를 문화재청에 알리는 공문을 올리기도 하였다고 한다.[아무래도] 미국에 거주하던 고용우 선생과 착각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