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충의 난

 

1. 개요
2. 원인
3. 경과
4. 결과
5. 의의
6. 참고 자료


1. 개요


거란족장 이진충과 그의 처남인 손만영이 당나라의 지배에 항거하여 일으킨 반란이다. 영주 지역에서 일어난 반란이라서 ‘영주의 난’이라고도 한다.

2. 원인


당나라는 요서 지역의 영주(營州)에 도독부를 설치하고 그 일대의 여러 종족들을 관할 통제했다. 이곳에는 본래 거란족이 살고 있었으나 당나라의 사민정책에 의해 이주한 고구려· 말갈인 등도 상당수 거주하고 있었다. 이때 영주를 관할하던 인물은 영주도독 조문홰(趙文翽)였다. 조문홰(趙文翽)는 전형적인 탐관오리로 이민족들에가 가혹할 정도로 높은 세금을 매겨 착복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문홰에 대한 원성이 가득했다.
696년에 접어들면서 수년 째 거듭된 가뭄으로 영주 거주민들은 모두 혹독한 생활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주도독 조문홰의 수탈과 혹형은 지속되고 있었고 백성들의 고통을 보다 못한 이진충 휘하의 젊은 거란 장수 한 사람이 조문홰를 찾아가 백성을 구휼할 것을 요청하다가 오히려 혹형을 받아 반죽음 상태로 내쳐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모두 당나라에 의해 국가가 와해되면서 강제로 이주되어 영주까지 흘러오게 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모두 당나라에 대해 불신과 불만을 가슴 속 깊이 품고 있을 수밖에 없었다.

3. 경과


696년 5월 12일, 송막 도독이자, 거란족 연맹 수장인 이진충, 귀성주 자사 손만영이 반란을 일으켜 영주성을 함락시켰다. 5월 25일, 측천무후는 '''1차 진압군'''을 영주로 파견했다. 그러나 당군은 서협석황장곡에서 거란족의 매복에 걸려 대패하고, 장군 조인사, 마인절, 장현우가 포로로 잡혔다. 이 때 거란족에게 죽임을 당한 당나라 군사들의 시체가 골짜기에 가득 찼다고 하니, 사실상 전멸당했다고 볼 수 있다.
9월, 당은 범죄자와 노비들 중에 용력 있는 자들을 군에 충원하고 건안왕 무유의를 총사령관으로 삼아 '''2차 공세'''에 나섰다. 당군의 공세를 버틸 수 없었던 손만영은 단주로 가서 그곳을 습격했다. 돌궐의 묵철가한은 당의 왕자와 자신의 공주를 결혼시켜주면 거란을 토벌해주겠다고 제의한다. 측천무후는 이를 거절한다. 토벌은 명분일 뿐 거란에 영향력을 갖겠다는 것이라 혼인동맹을 안 줘도 어차피 알아서 칠 것이며, 이 사신을 보내는 순간에도 당을 노략질중이었으므로. 하지만 교섭은 계속 이어간다.
10월, 거란의 이진충이 병으로 사망하고 손만영이 연맹을 이끌게 되자, 이진충의 아들이 이에 불만을 품고 돌궐로 가서 구원을 청했다.
11월, 돌궐의 묵철가한은 당과 교섭해 당에 복속된 하서 일대의 돌궐인들을 돌려받는 대가로 거란족을 공격했다. '''돌궐이 거란의 후방을 습격해''' 이진충과 손만영의 가족들을 사로잡았을 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거란족들을 포로로 잡아 손만영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손만영은 잔여 세력을 수습해 기주를 함락하고 영주를 공격했다. 묵철가한은 같은 시기에 당의 승주도 노략질하는 양면 무력시위를 보인다.

4. 결과


697년 2월, 당은 (앞서 건안왕 무유의는 청변도행군대총관이라 새로 이름 붙이고) 왕효걸과 소광걸 및 안동도호부의 군사들까지 모집해 '''3차 공세'''를 시작한다. 안동도호 배현규는 모집하지 않았는데, 즉 이 무렵 안동도호부가 이미 거란 또는 고려부흥운동에 의해 붕괴했거나, 신성이 포위중임을 의미한다. 손만영은 당의 진압군을 동협석곡으로 유인하여 궤멸시키고 뒤이어 유주를 습격한다.
돌궐의 습격을 대비해 유성 서북쪽 400리에 성을 지으면서, 당의 단주를 포위공격하는데 후방의 해족들이 배반하여 잠시 철군한다.
6월, 우려대로 '''돌궐이 거란의 후방을 습격해''' 후방에 있던 거란인 가족들을 모두 사로 잡자, 손만영과 하북성 전방에 나와 있던 거란인 군대가 동요하고 결국 와해되고 만다. 당도 이에 맞춰 '''4차 공세'''를 보내고, 결국 하아소가 사로잡히고, 이해고와 낙무정은 항복했으며, 총수인 손만영은 도주 중에 노수 동쪽 인근에서 호위병에게 피살당하여 난이 종결된다.

5. 의의


이진충의 난은 거란족이 자신들의 힘을 깨닫게 된 사건이었으며[1] 당의 통제력을 약화시켜 대조영, 걸사비우 등이 이끄는 고구려 유민 · 말갈족들이 당의 영토에서 탈출해 동모산에서 발해를 세우는데 영향을 주었다.

6. 참고 자료


  • 경성대학교 교양수업 e러닝 <발해문화와역사> 강의 내용
  • 네이버 지식백과 이진충의 난 [李盡忠-亂] (한국고중세사사전, 2007. 3. 30., 가람기획) 3장

[1] 원래 거란족은 수나라 이전까지만 해도 모을 수 있는 군사가 고작 3천 명에 불과한 약소민족이었으나, 수나라가 들어서고 나서 중원 왕조들의 지원을 받아 점차 세력이 강해지다가 당나라 때에 들어서는 마침내 중원 왕조에 반기를 들고 정면으로 맞설 만큼, 세력이 커졌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