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수용/오락 및 게임
1. 개요
일본 내수용은 일본 내에서만 통용되는 것을 가리키는데 앱 게임 과 오락실 게임도 이 범주에 해당하는 것이 있다.
2. 주의사항
간혹 문서 내용을 보면 일본판, 영어판 이런 내용이 작성되어 있는데 엄연히 일본 내수판, 영어(글로벌, 해외)수출판으로 분류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일본 내수용에서도 언급하듯이 일본인 전용 서비스로만 내놓은 게임들이 대부분이기에 해외에서는 할 수 없거나 소규모로 내놓은 것이 대부분으로 내수용, 수출용 으로 별도 언급을 해야 한다.
3. 오락실
우리가 흔히 가는 오락실에서도 이에 해당하는 것이 있다. 인터넷으로 돌리는 ALL.Net, 이어뮤, NESiCA 등이 있으며 신 태고의 달인, 이니셜D/아케이드 스테이지 시리즈,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 시리즈 등이 있다. 하지만 이 게임도 엄연히 내수용과 수출판 구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는데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3.1. 이니셜D/아케이드 스테이지 시리즈
이 게임은 면허증 이라는 별도의 저장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최신작 과 예정작인 제로 투[1] 와 더 아케이드[2] 는 제외하고 설명한다. 왜냐하면 통합형 ic카드를 사용하므로 인터넷이 끊기면 그 즉시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구 버전은 총 8개로1~8이 있으며 전용 카드(면허증)를 사용해서 플레이 하는 방식인데, 문제는 일본 내수판과 해외 수출판의 취급이 다르다는 점이 있다.
무슨 소리인가 하면 일본 에서 만든 카드는 해외에서 쓸 수가 없으며 반대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넷이 들어간 당시 해외(특히 6 더블 에이스)유저들은 자국내 카드 와 일본 전용 카드를 만들어서 여행 가는김에 원정을 했을 정도로 불편한 것이 상당하기 때문. 화면만 보면 '''같은 일본어(5부터)인데 왜 내수,수출을 구분해야가?''' 라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모르는 위키 위해 설명하자면 내수판 과 해외판의 구분법은 '''EXP''' 이것만 잘 보면 된다. 저 글자가 없으면 무조건 일본 내수판이다.[3]
2021년 기점으로 해외판을 들여온 오락실은 대부분 사용이 불가능 한데 신촌 펀시티만 유일하게 카드 사용이 가능한 매장이다. 내수판 카드를 해외판 기기에 넣으면 대응이 되지 않는 오류를 내면서 진행이 불가능하다.
대만 루텐이나 중국 타오바오 에서 구매하는 것 말곤 국내에선 구매할 방법이 전혀 없다.
3.2. 완간 미드나이트 MAXIMUM TUNE 시리즈
해외 출시 버전 과 일본 내수용 버전 출시일이 서로 달라서 같은 인터넷을 쓰지만 서로 호환이 안되므로 역시 구분해야 한다.
구작도 마찬가지로 전용 카드를 쓰는데 해외 수출, 일본 내수용이 서로 호환이 되지 않는다. 최신버전은 국내는 5DX+~6 일본도 6을 쓰지만 북미 와 호주는 버전이 무엇인지 불명.
이유는 아까 설명했듯 국가마다 출시 버전이 다른데 일본은 일본내(도도부현) 유저끼리만 전국대전이 가능하며 이니셜D 처럼 해외 유저와 전국 대전이 안된다. 해외도 마찬가지로 한국은 한국내,미국은 미국내 유저만 전국대전이 가능하며 반대인 일본 유저와의 대결은 전혀 안되므로 사실상 일본 유저랑 대결하고 싶으면 무조건 오락실 원정을 가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데이터도 호환이 안되는건 덤.
3.3. 신 태고의 달인
이 게임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동더 히로바가 있는가 없는가다. 일본 내수판은 동더히로바 서비스가 당연히 들어가 있지만 해외판은 없어서 갱신해달라 항의해도 공식은 계속 무시하고 있는 상태다. 그래서 일본으로 원정을 가는 편이다.
현재 한반도(제주도 제외)를 기준으로 일본 내수판이 있는 가장 가까운 오락실은 나가사키현 츠시마시(대마도) 에 있는 티아라몰 이다.[4]
3.4. 마리오 카드 아케이드 그랑프리 시리즈
구 버전인 1, 2는 마찬가지로 전용 카드를 사용하며 해외판과 내수판은 서로 호환이 안되므로 사용 불가,최신작인 DX 는 일본 내수판에서는 인터넷을 가동하지만 해외판은 넷 자체가 없는 기판을 들여서 가동 하고 있다. 이걸 아는 해외 유저는 원정을 가는 케이스.
3.5. 마이마이 시리즈, 츄니즘 슈퍼 스타 등 리듬게임
해외판에서 가동되는 곡 개수 와 일본 내수판의 개수가 달라서 없는 곡을 하기 위해 무조건 원정을 가야하는 케이스중 하나다. 특히 보컬곡,에로송 등 해외에서는 저작권 문제 때문에 도저히 내놓기 힘든 경우에 해당된다.
최신작인 츄니즘 슈퍼 스타는 첫 출시 당시 수십여곡이 잘린 채로 출시해서 이에 대해 말이 많았다.
3.6. 기타
타임 크라이시스 5,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스칼렛 던, 비시바시 도 인터넷을 가동하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해외에서는 인터넷이 아예 없는 기판으로 들여놓은 상태로 내수판(인터넷 버전)을 하려면 무조건 일본 으로 원정을 가야 한다.
3.7. 앱스토어 게임
당연하지만 앱 게임도 일본 내수판 구분을 해야 한다. 주위에서 많이 하는 스쿠스타, 스쿠페스, 뱅드림, 프리코네, 레뷰스타 등 대형 게임사에서 내놓은 게임들은 내수판, 수출판 이 존재한다. 내수용은 원칙적으로는 일본인 전용 게임으로 해외 유저는 이용할 수없으나 소문을 타면서 해외발 유저들도 많이 이용하면서 구별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고객센터 문의도 달라서 내수용은 내수용 만 해외판은 해외만 대응하며 별개 부서로 보기 때문이다. 레뷰스타 어플은 일본 에서 접속하지 않으면 아예 플레이가 불가하므로 VPN으로 우회하는 것 밖에 없다.
[1] 2021년 2월28일을 기준으로 일본 오락실에서는 대부분 최신 기판으로 정리중인 상태에 있다. 5월1일 새벽2시를 기점으로 인터넷이 공식적으로 끊긴다.[2] 2월 25일 을 기점으로 가동을 시작하였으며 해외서버는 아직 예정이 없다.[3] 해외에서 면허증 발급도 EXP 가 인쇄돼서 나온다.[4] 제주도는 사세보시가 가까우며 대마도와는 조금 떨어져 있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