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역모
[image]
해당 사진의 예비군모는 인터넷, 군장점 등에서 파는 사제 중 하나다.
[image]
일반적인 모자용 예비군 마크는 배경이 단색이다. 또한 현재 군복에 박을 수 있는 예비군 마크 색은 금색이 아닌 갈색이다. 예비군 항목 참고.
[image]
1. 개요
전역할 때 쓰고 가는 모자. 넓은 의미에서 전투복 튜닝의 한 유형이라 볼 수 있다.
전투복의 계급장/부대마크 등을 오버로크가 아니라 벨크로 방식으로 부착하게 되면서[1] 떨어진 매출을 보완하기 위한 군장점의 새로운 먹거리.
군에서 만들어주는 건 아니고, 다른 전우들이 만들어주게 된다.[2] 그래서 전역모가 어떻냐에 따라 해당 인물의 평판 및 개성을 판별할 수 있다.[3] 심지어 자신이 직접 전역모를 만들어서 가는 경우도 있는데, 어차피 전역하고 나면 쓸 일이 없지만 대부분 멋 등의 이유로 전역모를 산다. 전역모 없이 나가면 자신의 군생활 평판이 좋지 않아 보인다고 생각해서 자비로 맞추는 경우도 있다. 자기가 쓰던 모자 쓰고 나가면 그게 전역모인 부대도 있다고.
공군의 경우 베레모를 쓰지 않고 전투모에 계급을 달아서 쓰기 때문에 보통 맞선임이 맞후임의 진급 시마다 모자를 사주고 맞후임은 맞선임이 전역할 때 전역모를 맞춰주는 경우가 많다.[4] 해군도 공군과 같은 전역모를 쓰며 해병대는 팔각모에 예비군 마크를 붙인다.
전역모 자체는 별로 비싸지 않지만 이런저런 장식[5] 이나 오버로크[6] 를 박다 보면 배보다 배꼽이 몇 배는 큰 상황이 오게 마련이다. 친한 동기와 후임이 많아서 그들의 이름을 전부 새기다 보면 모자 하나에 5만원이 넘어가는 경우도 부지기수. 심지어 업체에 따라 10만원을 찍는 경우도 많다. 흠좀무. 사실 예비군 경험상 가장 적절한 전역모는 분실, 혼동을 막기 위해 검은 실로 이름 정도만 작게 세긴 게 가장 좋다. 그 외에는 전역 후에는 머리가 길어지니 이를 고려해 치수를 한두 사이즈 크게 보급받자.
각종 뱃지와 오버로크를 휘황찬란하게 박은 전역모를 받은 경우 전역일 당일에는 전역뽕(...)에 취해 그 모자를 자랑스럽게 집까지 쓰고 가지만, 다음 해에 예비군을 갈 시기가 오면 급격하게 느껴지는 쪽팔림에 아무 장식없이 예비군 마크 하나만 있는 민짜 예비군모를 새로 사서 가는 경우도 있다.
이제는 금전 거출을 금지함에 따라, 돈을 걷어 전역모를 만들어주려다가는 '''영창에 갈 수도 있다.''' 친했던 선임들에게 전역모 다 만들어줬더니 규정이 엄격해지고 금전거출이 금지되어 정작 자기 전역모는 못 받고 나가는 불쌍한 경우도 있었다. 심지어 간부에게 걸려서 전역 당일에 전역모를 빼앗긴 경우도 존재한다.
형태는 보통 캡이 달린 모자 형태가 많이 쓰이며, 마이너하게는 정글모 형태가 사용되기도 한다.
육군은 동원훈련 시에 베레모 외에는 입소를 받아 주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육군에서는 전역모라는 것이 병 전역자에 한해서만 존재하며 간부들은 그냥 계급장이 달린 군모를 사용하지만 해군 & 해병대 & 공군은 수병 & 해병 & 공군병, 부사관, 장교 할 것 없이 모든 전역자는 전투모에 예비군 마크를 부착하여 전역하고 예비군 훈련을 받을 때에도 예비군 모자를 착용하고 소집에 임한다.
2. 베리에이션
사제로 만들어주는 물건이다 보니 온갖 장식이 범람하게 되는데, 전우의 이름이나 평소에 전역자가 좋아하는 주제 등과 관련된 문구 등은 기본이고, 모자에서 툭 튀어나오는 화려한 장식도 있다 보니 해괴함의 영역에까지 오르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전역모 케이크도 있다고.
[image]
[image]
그 유명한 호로관 메뚜기 전역모.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전역모가 있다.##
3. 관련 문서
[1] 계급장 하나는 보통 1,500~2,500원밖에 안 한다. 게다가 벨크로로 바뀌고 계급장 물려주기가 생기면서 매출은 떡락.[2] 보통 전역자가 마지막 휴가 나가고 난 뒤 소대 후임 중 출타가 있으면 그 사람이 천 원, 이천 원씩(본인 재량) 걷어서 만들게 된다.[3] 전우들 사이에서 평이 좋지 않거나 관계가 서먹한 경우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4] 부대마다 차이가 있다. 복무 중에 쓸 사제모를 이런 식으로 사주는 대신 전역모는 당사자 본인 돈으로 맞추는 곳도 있다.[5] 주로 금속뱃지류. 봉황, 알통, 부대(군단~여단)뱃지 등이 있다.[6] 그림이나 별명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