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균류
[image]
대표적인 점균류인 '피사룸 폴리케팔룸(''Physarum polycephalum'')'의 모습.
점균류(Mycetozoa)는 아메바계에 속하는 단세포 진핵생물로, 영어로는 '''슬라임'''(Slime 또는 slime mold/mould) 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점균류는 습기 있고 부패한 유기물질이 많이 있는 곳에 서식하는데, 산에 올라가다가 죽은 나무나 낙엽 더미를 잘 관찰해보면 발견할 수 있다. 굉장히 원시적으로 보이지만 진핵생물이고 매우 독특하고 다양한 생활사를 가지는 등 생물 진화의 나름 승자이기도 하다. 이 원생생물들은 한때 균류로 분류되었으나 별도의 종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슬라임으로는 이끼벌레류와 같은 태형동물 등이 있는데, 이상증식을 하면서 자주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곰팡이와 비슷해보여서 균류(fungi)로 오해를 받기도 하기만 이동을 할수 있고 먹이를 포식하는 행동을 보이는 등 곰팡이와는 다르다. 포자를 만들어 번식한다는 점은 곰팡이와 비슷하다.
혼자서 생활하는 부류도 있고 많은 개체가 한꺼번에 모여 변형체(plasmodium)[1] 를 이루는 부류도 있다. 전자는 세포성 점균류라고 부르고 후자는 변형체성 점균류[2] 라고 부른다. 일단 이 녀석들도 아메바계에 속하므로, 위족을 이용해서 이동하고 먹이를 섭취한다.
점균류는 독특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아메바와 변형체를 거치는 면에서는 동물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자실체와 포자를 이루는 면에서는 균류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점균류를 동물과 균류의 중간 형태라 보는 것보다 곰팡이와 원생동물의 중간 형태라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단세포 아메바로서 생장하는 것은 원생생물로서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image]
변형체성 점균류는 대부분의 일생을 변형체로서 보낸다. 변형체는 마치 거대한 아메바처럼 땅을 움직이면서 먹이를 섭취한다. 수분이나 먹이가 부족할 때, 이 변형체에서 포자낭이 형성된다. 포자낭은 환경 조건이 나아졌을 때 반수체 세포들을 사방으로 퍼트린다. 곧이어 반수체 세포들이 다시 하나로 결합해서 변형체를 형성하게 된다.
[image]
세포성 점균류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독립적인 단세포로서 활동하는 기간이 더 길다. 세포성 점균류는 특정 상황에서만 배수체를 형성해서 생식을 하며 하나의 변형체를 형성하지 않는다. 평소에는 무성생식을 통해 알아서 생활하다가, 먹이가 부족해질 때 각각의 세포들이 응집해서 자실체를 만든다. '딕티오스텔리움 디스코이데움(''Dictyostelium discoideum'')'은 대표적인 세포성 점균류인데, 특이하게도 생활사 중에 단세포들이 모여서 민달팽이같은 집합체를 이루게 된다. 이 거대한 단세포 덩어리를 '가변형체(Pseudoplasmodium)'라고 하고, 빛이나 열, 습기등에 반응해서 움직인다. 이 집합체가 나중에 다양한 부위로 분화되어 자실체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만화판에서[3] 도르크 제후연합의 실험으로 인해 폭주하게 된 거대 점균이 나온다. 거대한 크기로 증식하여 주변의 모든 것을 집어 삼키는 모습이 공포 그 자체.
미래 동물 대탐험에서 나오는, 현재로부터 2억년 뒤의 생명체인 '슬리더서커(Slithersucker)'는 점균류의 후손이다.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브라키디오스가 체내에 배양시키는 것도 또한 점균이다. 점균이 폭발하는 것은 포자낭을 형성하고 이후 포자를 퍼트리는 변형체성 점균류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인 점균류인 '피사룸 폴리케팔룸(''Physarum polycephalum'')'의 모습.
1. 개요
점균류(Mycetozoa)는 아메바계에 속하는 단세포 진핵생물로, 영어로는 '''슬라임'''(Slime 또는 slime mold/mould) 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점균류는 습기 있고 부패한 유기물질이 많이 있는 곳에 서식하는데, 산에 올라가다가 죽은 나무나 낙엽 더미를 잘 관찰해보면 발견할 수 있다. 굉장히 원시적으로 보이지만 진핵생물이고 매우 독특하고 다양한 생활사를 가지는 등 생물 진화의 나름 승자이기도 하다. 이 원생생물들은 한때 균류로 분류되었으나 별도의 종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슬라임으로는 이끼벌레류와 같은 태형동물 등이 있는데, 이상증식을 하면서 자주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곰팡이와 비슷해보여서 균류(fungi)로 오해를 받기도 하기만 이동을 할수 있고 먹이를 포식하는 행동을 보이는 등 곰팡이와는 다르다. 포자를 만들어 번식한다는 점은 곰팡이와 비슷하다.
혼자서 생활하는 부류도 있고 많은 개체가 한꺼번에 모여 변형체(plasmodium)[1] 를 이루는 부류도 있다. 전자는 세포성 점균류라고 부르고 후자는 변형체성 점균류[2] 라고 부른다. 일단 이 녀석들도 아메바계에 속하므로, 위족을 이용해서 이동하고 먹이를 섭취한다.
2. 생활사
점균류는 독특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아메바와 변형체를 거치는 면에서는 동물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자실체와 포자를 이루는 면에서는 균류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점균류를 동물과 균류의 중간 형태라 보는 것보다 곰팡이와 원생동물의 중간 형태라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단세포 아메바로서 생장하는 것은 원생생물로서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2.1. 변형체성 점균류
[image]
변형체성 점균류는 대부분의 일생을 변형체로서 보낸다. 변형체는 마치 거대한 아메바처럼 땅을 움직이면서 먹이를 섭취한다. 수분이나 먹이가 부족할 때, 이 변형체에서 포자낭이 형성된다. 포자낭은 환경 조건이 나아졌을 때 반수체 세포들을 사방으로 퍼트린다. 곧이어 반수체 세포들이 다시 하나로 결합해서 변형체를 형성하게 된다.
2.2. 세포성 점균류
[image]
세포성 점균류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독립적인 단세포로서 활동하는 기간이 더 길다. 세포성 점균류는 특정 상황에서만 배수체를 형성해서 생식을 하며 하나의 변형체를 형성하지 않는다. 평소에는 무성생식을 통해 알아서 생활하다가, 먹이가 부족해질 때 각각의 세포들이 응집해서 자실체를 만든다. '딕티오스텔리움 디스코이데움(''Dictyostelium discoideum'')'은 대표적인 세포성 점균류인데, 특이하게도 생활사 중에 단세포들이 모여서 민달팽이같은 집합체를 이루게 된다. 이 거대한 단세포 덩어리를 '가변형체(Pseudoplasmodium)'라고 하고, 빛이나 열, 습기등에 반응해서 움직인다. 이 집합체가 나중에 다양한 부위로 분화되어 자실체를 형성하게 된다.
3. 대중매체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만화판에서[3] 도르크 제후연합의 실험으로 인해 폭주하게 된 거대 점균이 나온다. 거대한 크기로 증식하여 주변의 모든 것을 집어 삼키는 모습이 공포 그 자체.
미래 동물 대탐험에서 나오는, 현재로부터 2억년 뒤의 생명체인 '슬리더서커(Slithersucker)'는 점균류의 후손이다.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브라키디오스가 체내에 배양시키는 것도 또한 점균이다. 점균이 폭발하는 것은 포자낭을 형성하고 이후 포자를 퍼트리는 변형체성 점균류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1] 쉽게 말하면 거대한 세포질 덩어리에 여러 개의 핵을 가진 다핵체를 말한다. 위 사진의 ''P. polycephalum''이 그러한 예.[2] 원형질성 점균류라고 부르기도 한다.[3]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