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전
1. 개요
시간을 벌기 위해 결전을 피하면서 적의 전진을 늦추는 전투. 보통 수비측에서 사용한다
2. 상세
일반적으로 수비는 공격보다 보급에 유리하고, 전선에 변동이 없는 것이 승리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비의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시간을 끄는것이 중요하다. 특히나, 일반적으로 선제공격은 결정권을 가진 공격측이 승산이 높다고 판단해야 전쟁 자체가 성립하기에 보통 수비측이 전력상 불리한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 경우 적을 무찌르고 이기기 보다는 적을 붙잡고 시간을 끄는 것이 국토 수비라는 목표에 유리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공격측은 피로가 누적되고, 보급을 유지하기 힘들어지며, 득보다 실이 많아질 수 있기에 공격측이 가장 조심해야 하는 상황이 "전쟁이 안끝난다"이다.
하지만 지연전도 한계가 있다. 전쟁이 길어질 때 피로가 누적되고 보급이 힘들어지는건 공격만큼은 아니지만 수비라고 예외인 것은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전면전으로 전시경제가 가동되면 그 순간 경제사정은 박살이 나므로 결국 공격이나 수비나 지연전은 잃을게 없는 쪽이 더욱 유리하다.
결정적으로, 수비측 또한 지연전을 벌이면 전선이 고정되므로 적에게 빼앗긴 영토를 되찾거나 반격을 하는 것이 힘들어진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 경우 적이 다른 세력에게 멸망하거나, 적의 사기와 전의가 꺾이기를 간절히 비는 것 말고는 뚜렷한 해결책이 없다. 이 경우, 보통은 협상으로 끝난다.
하지만 드물게 시간을 끌고 버티다가 승기를 잡고 전세를 역전하는 경우도 있다.
3. 사례
3.1. 고대 ~ 중세
3.2. 근대
3.3. 현대
3.4. 가상의 사례
- 일부 가공전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