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악기)
[image]
사진 출처는 네이버 백과사전
篪
1. 개요
중국의 전통 관악기이자 국악기이다. 대한민국에서도 문묘제례악에 편성되기 때문에 국악기로 분류하고 있다.
2. 상세
지(篪)는 악기 만드는 재료에 따른 분류 방법인 팔음 중 죽부(竹部)로 분류되는 관악기로서 현재 문묘제례악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수서(隋書)』와 『북사(北史)』등의 기록을 보면, 백제에서 ‘지’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고, 『통전』과 『신당서』에 고구려 악기로 의취적(義嘴笛)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악기가 계속 전승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려 예종 11년(1116)에 대성 아악의 한 가지로 고려에 수용된 이후 오늘날까지 아악에 편성되고 있다. 문묘제례악에 편성되는 ‘지’는 ‘훈’과 더불어 소개되기도 한다.
지는 길이 31㎝ 정도의 대나무에 취구 한 개와 지공 다섯 개, 그리고 십자공(十字孔)을 뚫어 만든다. 악기 모양은 소금과 어느정도 비슷하지만 일반 관악기류와 달리 취구에 별도로 만든 ‘의취(義嘴)’라고 하는 대용 취구를 덧대어 붙인다. 지의 재료는 일반 죽관악기와 같고, 의취는 관대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 밀랍으로 붙인다. 의취는 단소의 취구처럼 U자로 판다. 제1공은 뒤에, 제2공부터 제5공까지는 위쪽에 뚫는데, 특이한 것은 지의 끝 부분이다. 보통 관악기의 취구 아래쪽은 모두 열려 있지만, 지의 경우는 대나무의 마디 부분을 막히게 자른 후 십자 모양으로 뚫어 놓는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생김새가 상당히 특이한데, 옆으로 부는 악기인데 취구 부분이 소금같이 둥글게 뚫지 않고 단소 윗부분같이 생긴 취구[1] 를 따로 만들어 밀랍으로 접합해 놓았다. 소금 취구부분에 단소 위꼭지 부분만 잘라 붙인 모양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
음역은 소금보다 더 높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서는 지공을 다 막으면 황종음이 나고, 다 열면 응종음이 나온다고 하여 십이율을 내는 악기로 설명하고 있다. 즉 역취 기법을 써서 청성음을 내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십이율사청성(十二律四淸聲)을 모두 낸다. 지는 다섯 개의 지공만으로 십이 반음을 모두 낼 수 없기 때문에 십자공 부분을 손가락으로 막아 음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 지공은 뒤에 한 개, 앞에 네 개로 총 다섯 개가 있는데, 독특한 점은 악기 끝부분에 十자 모양으로 생긴 '십자공'이 따로 있어서, '''이 십자공을 새끼손가락으로 조절하면서 연주한다.'''
예를 들어 지공 다섯을 다 막은 상태에서 십자공을 ''' '|' '''모양으로 양 옆을 막으면 黃(C)음이 나고, 한 쪽만 막아 ''''ㅏ''''모양이 되면 大(C#), 십자공을 막지 않아 十모양이 되면 太(D)음이 나는 식이다. 이때문에 상당히 고 난이도를 자랑한다. 연주음원을 듣고싶다면 국립국악원 싸이트에 직접 들어가서 찿아보아도 나온다.
지의 연주법은, 소금을 연주할 때처럼 들고 취구를 입술에 갖다 댄다. 입 모양과 입김 불어넣는 방법은 단소와 같다. 지의 첫째 지공은 왼손 엄지로, 둘째 지공은 왼손 검지, 셋째 지공은 왼손 장지, 넷째 지공은 오른손 검지, 다섯째 지공은 오른손 장지로 막는다, 그리고 오른손 새끼 손가락은 지의 맨 아래 끝을 막는다.
요즘에는 거의 연주되지 않고 겨우 문묘제례악의 등가에 편성되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3D로 지를 복원하여 실제로 '지'를 보는것과 같이 '지'를 확대, 축소, 돌리면서 볼수있는 곳도 있다. 추천공공저작물-국악기 '지'
훈의 부드러운 저음과 대비되는 곱고 맑은 고음을 가지고 있어 훈과 잘 어울린다고 알려져 있다. 훈과 함께 훈지상화라는 고사성어의 주인공이다.
3. 중국의 지
[image]
[image]
[image]
정작 한국 국악기 지의 원본이라 할 수 있는 중국의 지는 한국과 약간 다르게 생겼다. 취구는 소금이나 디즈의 그것과 같지만 지공이 취구와 서로 90도 각도로 돌려진 위치에 있으며, 연주할 때는 손바닥을 위로 하여 마치 옥수수 하모니카를 불듯 연주한다.
악기의 유래가 재밌는데, 옛 중국에서 황제 앞에서 손가락을 황제 방향으로 가리키는 것을 불경스럽다고 여겼고 옛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연주되던 디즈(악기)[2] 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여 개발된 악기이다.
취구는 악기의 끝에 있을 수도 있고, 지공 사이에 있을 수도 있다. 관의 양 끝은 막혀있다.
한마디로 길다란 훈(악기)이라고 해도 되는데, 소리가 나는 원리는 물론 음색도 훈과 꽤 흡사하다.[3] 한국의 지와 이름만 같은 생판 다른 악기라고 봐도 된다.
훈지상화 이중주가 끊긴 한국과는 달리 중국에서는 현대에 와서도 지와 훈만을 가지고 합주하는 이중주를 흔히 볼 수 있다.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