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산 전투

 


'''직산 전투'''
稷山戰鬪

'''시기'''
1597년 10월 17일 (음력 9월 7일)
'''장소'''
조선 충청도 직산
'''교전국'''
[image]
일본 [image]
'''지휘관'''
양호
마귀
해생[1]
구로다 나가마사
'''병력'''
기병 4,000여기
보병 5,000명
'''피해'''
200명 전사(일본 주장)
29명 전사(일본 주장) 600+
'''결과'''
일본군의 북진 저지.
1. 개요
2. 전투 전야
3. 전투 전개
4. 전투 결과
5. 여담

[clearfix]

1. 개요


1597년 정유재란 당시 직산[2] 소사벌에서 벌어진 명군과 일본군 간의 전투.

2. 전투 전야


1597년(정유년) 음력 1월부터 병력을 증강시킨 일본군은 음력 7월에 6백여 척의 선박으로 추가 병력을 경상도 해역에 상륙시키는 등 총 14만의 병력을 동원하여 경상·전라 지역을 석권하였다. 일본군은 음력 7월 보름에는 칠천량 해전에서 승리했으며, 이어 충청도까지 장악하고 계속 북진하여 경기 지역으로 진공하였다.
북상하는 일본군을 막기 위해 조선은 한강에 방어선을 구축하였고, 명군 주력 부대는 남하하여 일본군을 차단하려 하였다. 1597년 음력 9월 3일 한성에 도착한 경리 양호는 제독 마귀에게 병력을 남파하여 일본군의 북진을 저지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에 마귀는 9월 5일 기병 2000여기를 남파시키고 뒤이어 2000여기를 증파하였다. 부총병 해생이 지휘한 명군 기병대는 급행군으로 9월 7일 새벽에 평택을 지나 날이 밝기전에 직산 남쪽 1Km인 삼거리에 도착하였다. 일본군의 우군 선발인 구로다 나가마사 군의 선발 부대도 삼거리에 이르렀을 때 명군을 발견하고 공격 준비에 들어갔다. 이에 명군도 방어 태세를 갖춰 일본군과 대치했다.

3. 전투 전개


[image]
일본군 보병
[image]
명군 기병
[image]
먼저 공격을 개시한 것은 일본군이었다. 일본군은 조총 사격을 퍼붓고 나서 칼을 휘두르며 명군 진영에 저돌적인 공격을 하였고 이에 명군은 포격과 백병전으로 응수했다. 그러자 구로다는 천안의 본대에 증원을 요청해 병력을 좌우로 나누어 전개시키고 명군에 사격을 퍼부었다.
오후가 되자 증파된 2000여 기의 명군이 도착하여 해생은 중, 좌, 우 보대로 일본군을 공격하였고 4000여명의 명군 기병과 5000여 명의 일본군이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이때 천안에서 증원된 일본군 기병이 전투에 가세했지만 명군은 일본군을 압도하여 이들을 격퇴했다.[3]

4. 전투 결과


구로다 군이 직산에서 철수하자 기세가 꺾인 일본군 우군은 일단 진격을 멈췄다. 그러나 큰 타격을 입지 않았기에 일본군은 다시 공세를 준비했는데, 하필 명량에서 보급과 후방 상륙 임무를 맡은 수군이 이순신이 이끌던 12척의 소함대에게 큰 피해를 입고 퇴각하는 사태가 벌어진다.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명량 해전'''. 이 전투에서의 패배로 일본군은 사실상 후방 보급 역량을 상실하여 전면 퇴각해야만 했다. '''그리고 그 이후 다시는 북상하지 못했다.'''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이 전투에서 화살에 맞거나 곤봉에 맞아 죽은 왜적이 거의 5백∼6백 명에 이르렀고 수급(道級)은 30여 개를 베었다고 한다.

5. 여담


승패의 결과가 아주 압도적이지는 않았지만 일본군의 북상을 저지한 승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전투의 주력이 명군이었다는 이유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전투이다. 단, 당대에는 '대첩'이라 불릴 정도로 고평가되었는데 그 원인은 바로 선조(...). 일본군은 얼마 뒤 벌어진 명량 해전에서 참패하여 퇴각하였지만 명량 해전 항목의 전과 부분에 서술된 것처럼 선조는 어떻게든 이순신이 이룬 명량 해전의 성과를 최대한 깎아 내리고 직산 전투의 성과를 실제보다 더 고평가해서 일본군이 후퇴하게 만든 공로를 죄다 명군에게 돌리려 했다. 오죽하면 명군 장수 경리조차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알고는 이순신을 칭찬하며 그의 품계를 올리라고 요청할 지경이었다.

상이 말하기를,

"흉적이 조금 물러가고 종묘 사직이 다시 돌아왔으니 이는 참으로 대인의 공덕이라 감사함을 무엇으로 말하겠습니까. 절을 하여 사례하겠습니다."

하니, 경리가 말하기를,

"이게 무슨 말씀이오. 제가 무슨 공이 있습니까. 이러한 예는 감당할 수 없습니다."

하고, 상이 굳이 청해도 따르지 않았다. 상이 말하기를,

"통제사(統制使) 이순신(李舜臣)이 사소한 왜적을 잡은 것은 바로 그의 직분에 마땅한 일이며 큰 공이 있는 것도 아닌데, 대인이 은단(銀段)으로 상주고 표창하여 가상히 여기시니 과인은 마음이 불안합니다.

"하니, 경리가 말하기를,

"이순신은 좋은 사람입니다. 다 흩어진 뒤에 전선(戰船)을 수습하여 패배한 후에 큰 공을 세웠으니 매우 가상합니다. 그 때문에 약간의 은단을 베풀어서 나의 기뻐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하자, 상이 말하기를,

"대인에 있어서는 그렇지만 과인에 있어서는 참으로 미안합니다."

-선조 30년 10월 20일자 기사

김경진의 소설 <임진왜란>에서는 전반적으로 명군을 폄하하는 경향 때문에 이 전투 자체를 제대로 된 교전이 아니고 명군에 전투 의지가 없었기 때문에 견제를 위한 기동 정도만 하다가 돌아갔다고 각색하였다. 한동안 한국 인터넷 상에 이 소설 내용이 정설처럼 퍼진 적이 있었다.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전투이나 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 실려있는 몇 안되는 정유재란 전투 중 하나다.

충청 병사 이시언이 사로잡은 왜적 복전감개(福田勘介)의 공초는 다음과 같다.

"아비는 전 국왕의 장수였는데 관백(關伯)이 찬탈할 때 피살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나를 혐오하여 쫓아내서 가등청정(加藤淸正)의 부하가 되었습니다. 군사 1백여 명을 거느리고 처음에는 서생포(西生浦)로부터 청정을 따라 전라도로 향했습니다.

(중략)

'''또한 직산(稷山)의 싸움에서 갑비수(甲斐守)의 군대가 많이 죽었으므로 부끄러워서 숨기고 있다 합니다마는 자세한 것은 알지 못합니다.''' 내가 이미 사로잡혔으니 항복한 왜인과 같이 대해 주면 죽도록 힘쓰겠습니다. 칼이나 창 쓰는 재주와 포 쏘는 기술은 남의 모범이 되지는 못하지만 몸을 방어할 수는 있습니다. 그 중에도 조총의 묘기는 잘 압니다."

선조실록 93권, 선조 30년 10월 3일 경신 3번째기사

한편 1597년 조선의 충청 병사 이시언한테 사로잡힌 일본군 장수 후쿠다 간스케(복전감개福田勘介)는 "직산(稷山)의 싸움에서 갑비수(甲斐守)의 군대가 많이 죽었으므로 부끄러워서 숨기고 있다."라고 증언했다. 여기서 말한 갑비수란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를 뜻한다. 그러니까 실제로 직산 전투에서 왜군이 입은 피해는 꽤 컸을텐데, 그것을 왜군 측에서 사기가 떨어질까봐 숨기거나 실제보다 적게 말했을 수도 있다.출처
또한, 우선 명군 200명 전사에 일본군 29명 전사 등 직산전투의 사상자 수 및 결과의 근거는 『日本戦史・朝鮮役』이지만 위의 왜장 복전감개의 공초 등, 당대 여러 사람들의 증언을 종합해 보자면 저 수가 정말 객관적으로 진실에 가까운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떨치기 어렵다.

접대 도감(接待都監)이 아뢰었다.

"방금 당보(塘報)가 경리 아문(經理衙門)에 들어왔습니다. 전일에 떠난 중국 군대가 직산(稷山) 남쪽 10리쯤 되는 지역의 험하고 좁은 데가 많은 곳에 매복해 있다가, 어떤 장수의 수하인지 모르는 왜적의 선봉을 만나 말에서 내려 시살(廝殺)하다가 잠시 서로 물러났습니다. '''중국 병사들이 급한 나머지 수급을 벨 겨를도 없이 마구 죽이자 나머지 왜적들이 사방으로 흩어졌는데, 어제 떠나 보낸 3천 군사가 이미 도착하여 추격 중이라 합니다.''' 이것은 바로 오늘의 소식입니다.

'''또 중국 병사가 진중(陣中)에서 달려와 구두로 보고하기를 ‘적의 머리 30급을 베었고 총에 맞아 죽은 자는 부지 기수이다. 오후에 각각 수습하여 진을 쳤는데 벤 수급(首級) 중에는 금회(金盔)와 금갑(金甲)을 입은 자가 몇 명 있었다. 이들은 필시 왜적의 우두머리일 것이다.’ 하였습니다.'''"

선조실록 92권, 선조 30년 9월 8일 을미 2번째기사

제독 접반사(提督接伴使) 장운익(張雲翼)이 아뢰기를,

"방금 직산(稷山)의 전쟁터로부터 돌아온 중국 병사가 말하기를 ‘천안(天安)과 직산 사이에서 뜻밖에도 왜적의 선봉이 모두들 흰 옷을 입고 들판을 뒤덮어 오기에, 중국 병사들이 처음에는 조선 사람으로 생각하여 진격하지 않았다. 그런데 얼마 후에 왜적의 선봉이 먼저 포를 쏘므로 중국 병사들이 일시에 말을 달려나가 시살(廝殺)하며 한참 동안 교전(交戰)하였는데, '''화살에 맞거나 곤봉에 맞아 죽은 왜적이 거의 5백∼6백 명에 이르렀고 수급(道級)은 30여 개를 베었으며 해 부총(解副摠)[4]

 과 양 참정(楊參政) 도 각각 손수 수급 2개를 베었다.''' 그런데 왜적이 산에 올라가 백기(白旗)를 드니, 천안의 대군(大軍)이 즉각 구름처럼 모여들었으므로 중과 부적(衆寡不敵)으로 각자 퇴각하여 지켰는데 해 부총 등 네 장수는 지난밤에 직산을 떠나 올라오고 있으며 중국 병사들도 죽은 사람이 많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제독이 즉각 각 군영에 명을 내려 모조리 강변(江邊)으로 나가 진을 치고 그대로 야영(野營)하게 하였다고 하며, 또 영기(令旗)를 보내 파 유격(擺遊擊)으로 하여금 정예병 2천 5백 명을 뽑아 거느리고서 수원(水原) 길에서 왜적을 맞아 치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선조실록 92권, 선조 30년 9월 9일 병신 1번째기사

보듯이 일본측의 기록과는 다소 상이한 부분이 많다. 추후의 교차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인 듯 하다.

[1] 총사령관 양호와 도독 마귀는 한양의 명군 본진에서 작전을 총괄하였고 전장에서 직접적인 지휘를 한 것은 부총병대장 해생이다.[2] 지금의 천안시의 일부[3] 애초부터 일본 기병은 말 탈줄 아는 하급 사무라이들을 모아서 급조하다보니 전투로 단련된 명나라 기병한테 상대가 될수 없다. 게다가 명군에는 기마술과 마상전을 잘하는 중앙아시아 출신 병사들도 상당했다.[4] 명나라 부총병대장 해생을 말한다.